KR0129646Y1 - 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646Y1
KR0129646Y1 KR2019950027893U KR19950027893U KR0129646Y1 KR 0129646 Y1 KR0129646 Y1 KR 0129646Y1 KR 2019950027893 U KR2019950027893 U KR 2019950027893U KR 19950027893 U KR19950027893 U KR 19950027893U KR 0129646 Y1 KR0129646 Y1 KR 0129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llecting
discharge
insulating resin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349U (ko
Inventor
장준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7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646Y1/ko
Publication of KR970016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집부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포집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전거리를 짧게 하여 제품의 슬림화를 꾀하는 전기집진기의 포집부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포집부(23)의 면에는 양측이 트이게 돌출되어 다리형상을 하고 있는 슬릿가공부(23a)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집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방전부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방전부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방전부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집진기의 방전부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집진기의 방전부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서 화살표 E-E선을 따른 포집부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압발생기 3 : 송풍팬
7 : 방전부 9 : 대전부
13 : 방전전극 15 : 절연성수지
23 : 포집부 23a : 슬릿가공부
본 고안은 실내의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집부의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포집효율을 향상시키고, 대전거리를 짧게 하여 제품의 슬림화를 꾀하는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압발생기(1)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면 정(+)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송풍팬(3)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입자를 양(+)이온화 시키는 방전부(7)와, 상기 방전부(7)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부(-)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방전부(7)에 의해 양(+)이온화 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대전부(9)와, 상기와 같이 먼지가 대전부(9)에 집진됨에 따라 청정해진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전부(7)는 정(+)전위가 인가되는 방전전극(13)과, 상기 방전전극(13)에 외감되어 상기 방전전극(13)사이 및 다른 도체(대전부)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성수지(15)와, 상기 절연성수지(15)의 일측에 구비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포집부(17)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연성수지(15)와 포집부(17)는 지지대(19)를 중심으로 여러 겹을 이루며 외감됨에 따라 일정간격(d)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포집부(17)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절개되어 세워진 침형상을 한 다수의 돌출부(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3도와 제4도참조)
상기 대전부(9)에는 대전전극(21)이 구비되어 전압발생기(1)에서 인가되는 부(-)전위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전압발생기(1)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부(7)의 방전전극(13)에 정(+)전위가 인가됨과 동시에, 대전부(9)의 대전전극(21)에 부(-)전위가 인가되고, 상기와 같이 방전부(7)의 내측에 구비된 방전전극(13)에 정(+)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송풍팬(3)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입자가 양(+)이온화되고, 상기와 같이 양(+)이온화 된 먼지입자는 대전전극(21)에 의해 부(-)전위로 대전된 대전부(9)에 집진되어짐으로써, 청정공기만이 토출구(11)로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방전부(7)에 구비된 포집부(17)가 웨이브 형상이나, 침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단면적이 작아 포집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대전거리(d)가 길어 제품이 콤팩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집부의 단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전거리(L)를 짧게함으로써, 포집효율을 증대시키고, 제품의 슬림화를 꾀하는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전기집진기는 소정의 공간간격을 두고 배열된 방전전극과, 절연하도록 상기 방전전극사이에 배설된 절연성 수지와, 상기 절연성 수지의 일측에 배설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판형태의 포집부를 구비한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면에는 양측이 트이게 돌출되어 다리형상을 하고 있는 슬릿가공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인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입자를 양(+)이온화 하는 방전부(7)에는 정(+)전위가 인가되는 방전전극(13)과, 상기 방전전극(13)에 외감되어 상기 방전전극(13)간 및 다른도체(대전부)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성수지(15)와, 상기 절연성수지(15)의 일측에 배설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판형태의 포집부(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연성수지(15)와 포집부(23)는 지지대(19)를 중심으로 여러 겹을 이루며 외감됨으로써, 일정간격(후술함에 있어 대전거리(L)라 칭함)을 이루고 있다.
상기 포집부(23)의 면에는 사다리꼴로 절개되어 포밍됨에 의해 폭이 좁은 다수의 슬릿가공부(23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포집면적은 증대시키고, 대전거리(L)는 짧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슬릿가공부(23a)는 양측이 트이게 돌출된 다리형상을 하고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기집진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전압발생기의 정전위(+)가 방전전극(13)에 인가됨에 따라, 포집부(23)에 포집된 먼지입자가 양(+)이온화 되고, 상기 양(+)이온화된 먼지입자는 부전위(-)로 대전된 대전판(도시되지 않음)으로 집진되어 진다.
이때, 상기 방전부(7)의 포집부(23)면 및 다수의 슬릿가공부(23a)는 포집면적을 증대시켜 포집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대전거리(L)를 짧게하여 제품의 슬림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슬릿가공부(23a)에서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도8의 화살표방향으로 통과함에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여 저항이 적으므로 공기의 유동량의 증가로 단위시간에 처리할 수 공기의 양, 즉 송풍량이 증가하는 한편, 다리형상의 슬릿가공부(23a)의 저면에도 먼지가 달라붙으므로, 먼지의 포집량이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집진기에 의하면, 포집부에 다리형상의 슬릿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송풍량 및 포집면적을 증대시킴에 따라 포집효과를 높이고, 또, 대전거리(L)를 짧게 함으로써, 제품의 슬림화를 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소정의 공간간격을 두고 배열된 방전전극(13)과, 절연하도록 상기 방전전극(13)사이에 배설된 절연성 수지(15)와, 상기 절연성 수지(15)의 일측에 배설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판형태의 포집부(23)를 구비한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3)의 면에는 양측이 트이게 돌출되어 다리형상을 하고 있는 슬릿가공부(23a)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KR2019950027893U 1995-10-05 1995-10-05 전기집진기 KR0129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893U KR0129646Y1 (ko) 1995-10-05 1995-10-05 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893U KR0129646Y1 (ko) 1995-10-05 1995-10-05 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49U KR970016349U (ko) 1997-05-23
KR0129646Y1 true KR0129646Y1 (ko) 1998-12-15

Family

ID=1942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893U KR0129646Y1 (ko) 1995-10-05 1995-10-05 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6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49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421B1 (ko) 집진전극
KR950004657B1 (ko) 전기 집진기
JPH02500727A (ja) エレクトロフィルタで使用するための静電集塵器
JPH07108375B2 (ja) 電気集塵機
CN1227905A (zh) 带有电吸尘器的空调机
US3685258A (en) Electronic air purifier
KR0129646Y1 (ko) 전기집진기
KR100229368B1 (ko) 공기 청정 장치
JP2753332B2 (ja) 電気集塵式空気清浄器
KR100281240B1 (ko) 공기 청정 장치
JPH05154408A (ja) 電気集塵装置
JPH09248489A (ja) 空気清浄装置
KR0152143B1 (ko)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JPH09232068A (ja) 負イオン発生装置
KR200179330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H04187252A (ja) 電気集塵機
JPH09974A (ja) 電気集塵装置
JPH01262955A (ja) 電気集塵装置
KR20030075696A (ko) 공기 청정기의 전기식 집진 필터
KR20190007307A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79856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KR200179858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H1057837A (ja) 空気清浄装置
KR970020199A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JPH02131152A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