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92B1 -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반응 캐니스터 - Google Patents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반응 캐니스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92B1
KR0129492B1 KR1019940000286A KR19940000286A KR0129492B1 KR 0129492 B1 KR0129492 B1 KR 0129492B1 KR 1019940000286 A KR1019940000286 A KR 1019940000286A KR 19940000286 A KR19940000286 A KR 19940000286A KR 0129492 B1 KR0129492 B1 KR 012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body portion
reaction canister
airba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 로우리젠 도날드
디. 로즈 래리
제이. 그린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제럴드 켄트 화이트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043,960 external-priority patent/US5407226A/en
Application filed by 제럴드 켄트 화이트,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럴드 켄트 화이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92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단면의 형상의 일부가 원형이며 일체로 형성된 팽창기 홀더를 구비하며 팽창가능한 안전 장치의 반응 캐니스터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

Description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반응 캐니스터
제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를 구비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를 지닌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의 전개 사시도.
제3도는 a)냉각 공동내에 자리한 열전달 물질과, b) 반응 캐니스터의 외주부 둘레로 에어백 구속용 공동을 덮는 보호용 커버를 도시하며,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를 구비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의 단면도.
제5도는 팽창기 챔버 튜브를 갖는 팽창기 장치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의 전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 12 :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6 :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 18 : 팽창기 홀더
20,22 : 제 1, 2 측벽부 24 : 베이스부
26 : 간극 개구부 30,32 : 상부 및 하부 측벽
36,38 : 제 1 및 제 2 대향 단부 42,44 : 측벽 연결부
50 : 팽창기 54 : 제 1단부 플레이트
56 : 제 2단부 플레이트 58 : 에어백 구속용 공동
60 : 에어백 64 : 개구부
68 : 플랜지 72 : 키이 스터드
84 : 배기 포트 90 : 리테이너/디퓨저
106 : 통기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충동시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량용의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passive restraint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 발생기와 팽창가능한 백을 차량에 수납 및 배치시키는 구조체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조작자의 조정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비전개된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작동하는 구속 장치, 즉 “수동식 구속 장치”와, 그리고 팽창 가능한 백 또는 쿠션과 협동하는 구속 장치외에 자동차에 탑재된 이러한 장치들은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취급 승인을 받은 장치로서 보급이 장려되어 왔다.
차량이 충돌등과 같이 급속한 감속을 직면할 때, 가스로 팽창되는 쿠션 혹은 백, 즉“팽창 가능한 백” 또는 일반적으로 “에어백”이라고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방법이 공지되었다. 전개되는 동안, 통상 백에 채워지고 신속히 팽창하는 가스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이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통상 팽창 가능한 백은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부풀어 지지 않고 접힌 상태로 내장된다. 상기 구속 장치가 작동되자마자, 가스는 백을 신속히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기로부터 방출된다. 그 다음, 백은 충돌시 탑승자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는 지정된 차량의 본체 및/또는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또는 그 주위에 통상 장착된 복수의 충돌 센서를 포함하며, 이센서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을 감지한다. 다시 말해서, 이 센서는 에어백의 전개를 개시하도록 차량의 실내에 배치된 팽창 가능한 백 모듈/조립체에 신호를 전송한다. 통상적으로, 차량 운전자의 보호를 위해 제공되는 팽창 가능한 백 즉, 운전석 쪽의 에어백은 차량의 운전대 칼럼에 위치한 저장실내에 장착된다. 한편, 앞좌석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팽창 가능한 백 즉, 조수석편의 에어백은 통상 차량의 계기판/데쉬 보드내에 장착된다.
통상의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는 보통 “반응 캔” 또는 간단히 “캔”이라고 불려지는 외측 반응 하우징 혹은 케니스터(canister)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module)을 사용한다. 이 반응 캐니스터는 “에어벡 팽창기” 또는간단히 “팽창기”라 불려지거나, 또다르게 “발생기(generator)”로 칭하는 부품들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 시스템의 구성품들을 내장 또는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팽창기는 작동하자마자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가스를 공급한다.
추가적으로, 팽창 가능한 백이 전개될 때가지 가스 발생기 및 상기 백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우징 구조체는, 백의 전개에 의해 발생된 부하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부하는 크며 만약 충분히 흡수되지 않으면 차량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는데, 특히 조수석 쪽에 장치될 경우 계기판을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파손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또는 방지시키기 위해 팽창기, 특히 조수석 쪽의 팽창기를 수납 및 배치시키는 강철과 같은 중량의 구조체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자동차의 중량 감소가 중점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조수석 쪽의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의 중량을 경량화시키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의 중량 감소 방법의 예로는, 팽창기와 팽창 가능한 백을 수납 및 배치시키도록 사용된 반응 캐니스터 구조체로서 공지된 중량의 강철 대신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1985.10.15자 아담스(Adams)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제4,547,342호, 1985.12.31자 아담스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61,675호에 개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1990.7.17자 로리젠(Lauritizen)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제4,941,678호에는 벨모양의 주둥이를 갖지 않는 구조의 경량의 하우징 캐니스터 조립체가 개시되었다. 이 조립체는 연속적인 알루미늄 압출 가공으로 성형된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 조립체는 백의 내측 입구에 위치한 구속용 스트랩(tether strap)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속용 스트랩은1) 횡방향으로 배치된 반응 캐니스터의 부하를 구속하며, 2) 백이 전개되자마자 캐니스터의 입구에서 펼쳐지는 작용력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캐니스터의 입구에서 더욱 경량 부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그리고 캐니스터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장치의 중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게 될 보강 플랜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전술한 로리젠 등에 허여된 특허의 구성 배치는 모듈의 조립에 있어 팽창기를 설치하는 단계가 마지막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경량의 조립체들을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개선된 구성 배치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대부분의 자동차용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는 기본적인 구성 부품인 에어백, 팽창기 및 반응 캐니스터를 구비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자동차에 설치된다. 더욱이, 다양한 종류의 팽창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예로서 불꽃식 팽창기, 가스 수장식 팽창기 혹은 하이브리드(hybrid)식 팽창기를 들 수 있으며, 또한 특별한 응용에 사용되도록 다양한 형상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팽창기 장치에 사용되고 광범위한 응용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반응 캐니스터 구조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더욱 광범위한 융통성 및 적합성을 갖는 반응 캐니스터 구조체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여러가지의 요구조건, 예를 들면, 특수 차량의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의 설계에 적합해지도록 다양한 장착 혹은 고정을 위한 개선책을 얻을 수 있는 개량형 배치 구조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팽창기의 설치를 에어백 모듈의 조립 단계중, 최종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량형 배치 구조도 요구되고 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의 팽창기 및 팽창 가능한 백을 수납 및 배치시키는데 사용하는 개량형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또다른 목적은, 이러한 개량점을 구비한 반응 캐니스터에 있어서, 전술한 구속 장치 및 안전 장치에 불가피하게 책정된 높은 기준 및 요건에 부합되고, 보다 저비용으로 생산성이 뛰어난 단순한 구조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몸체부를 특수한 형상으로 성형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몸체부는 압축 성형되고 홈통 모양을 취한다. 몸체부는 일체형으로 된 팽창기 홀더를 포함하는데, 이 홀더는 부분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지닌다. 또한, 몸체부는 제 1 및 제 2 대향 단부와, 제 1 및 제 2 대향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 단부의 각각에는 다수의 단부 플레이트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는 팽창기를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에 사용된다.
종래 기술로는 차량의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에 사용되는 단순하고, 제작 효율성이 양호하고, 신뢰도 높은 배치 구조, 예를 들면, 1)경량의 조립체들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조와, 2) 다양한 장착 혹은 고정을 위한 방법등과 같은 다양한 특성에 대해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제공하는데 실패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에 사용되면서 경량인 반응 캐니스터는 압출성형된 홈통형의 몸체부를 구비하는데, 이 몸체부는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와, 대향 단부와, 대향 측벽과 그리고 상기 대향 단부 각각에 설치된 다수의 단부 플레이트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는 해당하는 단부 플레이트 고정 수단과 협동되어 배치된 수단에 의해 몸체부의 해당되는 대향 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 1 및 제 2 패쇄체(clouser)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부 플레이트 각각은 또한 가늘고 긴 팽창기용 가스 발생기의 일단과 연관된 부분을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 팽창기 플랜지 자리부(seat)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스러스트 중립(thrust neutral)”은 팽창기가 시동될 때, 즉 전개될 경우나 운송, 보관 및 취급시 부주의로 팽창될 때, 팽창기의 스러스트가 “0”영이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팽창기의 가스 배출구를 이것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팽창기의 물리적 이동을 초래하는 추진력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팽창기는 그곳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통상 정위치에 방출하게될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지향성”은, 팽창기가 개시될 때, 즉 전개될 경우나 운송, 보관 및 취급시 부주의로 팽창될 때 일어나는 가스의 방출을 위해 소정의 방향으로 팽창기의 추진력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팽창기의 가스 배출구는, 팽창기의 물리적 이동을 초래하는 경향을 지닌 추진력이 조립체와 관련하여 어떠한 구속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과 연관지어 설명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들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충돌시 탑승자의 이도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용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에 사용되는 개량형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 및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승합차, 픽업, 트럭 및 특수차를 포함하는 조수석 쪽의 에어백 모듈 장치와 연관지어 아래에 설명되겠지만, 본 발명은 또다른 종류의 차량, 예를 들면 비행기 등에 응용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운전석 쪽의 구속 장치와 같이 다른 형태 또는 종류의 자동차 에어백 모듈 장치에도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자동차의 경우, 조수석 쪽의 에어백 모듈 장치와 운전자 쪽의 것은 보통 외형에서 차이가 나는데, 조수석 쪽의 에어백은 대개 운전석의 것보다 더 크다는 차이점 때문에, 본 발명은 조수석 쪽의 에어백 모듈 장치에 특히 유동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첨부된 도면중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좁고, 개방 용기 혹은 홈통부 형상을 지니면서, 압출 성형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가 도시되어 있다.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면 부호 (16)으로 표기된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내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12)의 일부로서, 제1도에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는 차량이 어떤 적당히 작동하는 부분에 통상 에워싸이거나 고정되는 완전한 모듈 장치의 구성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도 인지하여야 한다. 조수석 쪽의 모듈을 설치할 경우, 이러한 조립체는 조수석의 맞은편에 있는 차량의 계기판/데쉬 보드(도시 생략)에 보통 내장된다. 운전자 쪽의 모듈을 설치할 경우, 이러한 조립체는 운전대에 고정되거나 그 곳에 내장된다.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는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18)를 포함한다. 팽창기 홀더(18)는 부분적으로 대개 원형 단면을 가지며, 일체 성형된 구조체의 일부로서 오목한 베이스부(24)에 의해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부(20),(22)를 각각 구비한다. 따라서, 팽창기 홀더(18)는 간극 개구부(26)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팽창기 홀더가 팽창기의 구속 수단으로 작용하도록 하는것 뿐만 아니라 적당한 공간을 제공하고 고정 수단의 위치를 확보하게 하면서 금형 텅 비율(die tongue ratio)로 연류되는 것과 같은 압출 성형의 제약과, 그리고 적당한 가스의 유출이 관통되도록 한 크기의 개구부를 지닌 몸체부와 같은 작동상의 제약 때문에, 일부 원형의 단면을 지닌 팽창기 홀더를 구비하는 압출 성형된 몸체부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45°,양호하게는 약90°, 그리고 통상 약180°미만, 양호하게는 약135°미만의 원호각을 이루는 간극 개구부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반응 케니스터의 몸체부(10)에는 제 1 및 제 2 대향 측벽 혹은 대향 패널(panel)이 설치되어 있는데, 즉 상부 측벽(30)과 하부 측벽(32)과, 그리고 제1 및 제 2 대향 단부(36),(38) 를 각각 포함한다.(제2도 참조). 이 측벽들은 일반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양호하게는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18)와 직접 연속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연결부(42),(44)를 경유하여 그것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30),(32)들 중 하부 측벽(32)의 길이가 상부측벽(30)의 길이 보다 더 길게 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형성된 반응 케니스터는 자동차의 계기판/데쉬 보드내에서 더욱 편리하게 협동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차이 나는 길이의 측벽을 갖는 반응 케니스터와 연관지어 사용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은 상부 측벽의 길이가 하부 측벽의 길이를 초과하는 반응 케니스터의 몸체부 뿐만 아니라, 유사한 길이의 측벽을 지닌 반응 케니스터 몸체부와 연관지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도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 홀더(18)는 제 1 및 제 2 단부(52),(53)와 팽창기 챔버 부분(51)으로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용 팽창기(50)가 배치될 수 있게끔 그 크기와 형상으로 지닌다.
전술한 바와같이, 팽창기 홀더는 일반적으로 외측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이러한 용도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팽창기 장치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팽창기 홀더의 직경은 이곳에 팽창기 장치가 배치되어 지지되도록 팽창기 장치의 직경보다 큰 원형의 단면을 통상 구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팽창기 홀더는 팽창기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 장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팽창기 홀더의 측벽(20),(22)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4)와 협동하도록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그곳에 지지된 팽창기가 심지어 지향성을 지닌 팽창기와 연관지어 사용될 때도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폭을 지닌 간극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 측벽(30),(32) 각각은 일반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팽창기(50)와 연관지어 이격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 1 단부 플레이트(54)와 제 2 단부 프레이트(56)는 도면부호(58)로 표시된 에어백 구속 공동을 형성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접혀있는 에어백(60)은 상기 공동(58)내에 수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격된 측벽(30),(32)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면서 더욱 균일한 형상의 에어백 구속 공동을 확보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공동에 수용된 에어백은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의 가장자리 혹은 돌출 표면에 의해 걸리게 되거나 장애가 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측벽들은 특수한 용도, 예를 들면 특수한 형상을 지닌 데쉬 보드나 계기판의 개구부에 반응 캐니스터를 수용시키는 것과 같은 용도에서는, 이들 측벽들 서로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배출될 수 있다.
팽창기(5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 챔버(51)를 포함하는 가늘고 긴 원통형을 지니며, 팽창기 홀더(18)내에서 이것과 동심을 이루면서 단부 플레이트(54),(56) 사이에 지지된다.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듯이, 단부 플레이트(54),(56) 각각은 다수의 파스너용 구멍(57)을 포함한다(파스너용 구멍(57A)은 단부 플레이트들을 몸체부(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파스너용 구멍(57B)은 필요할 경우 팽창기 장치를 본 조립체속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조립 공정에 있어, 팽창기가 최종 조립 단계로서 팽창기 홀더에 삽입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원형의 개구부(64)는 제 2 단부 플레이트(56)에 형성되며, 제 1단부 플레이트(54)에는 소형의 키이용 슬롯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50)의 제1 단부(52)에는 플랜지(68)가 형성되며, 그리고 팽창기(50)의 제 2 단부(53)에는 팽창기 수단에 통상 사용되는 나사가 형성된 키이 스터드(7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4)의 크기는, 이 개구부(64)를 중심으로 제 2 단부 플레이트(56)에 대응하는 제 1 단부(52)에서 팽창기(50)의 제 2 단부(53)가 개구부를 관통하여 플랜지(68)와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크기로 채택된다. 필요한 경우, 조립체내에서 팽창기를 더욱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팽창기 장치에 또는 팽창기의 베이스 플랜지에 파스너용 구멍(57B)과 정렬되는 파스너 구멍(도시생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단부 플레이트(54),(56)들 중 하나 또는 무두에 또는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의 대응하는 단부(36),(38)에 단부 베이스 고정 수단(78)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볼트, 리벳 등의 파스너를 단부 플레이트와 팽창기 베이스 플랜지에 형성된 파스너용 구멍과, 그리고 반응 캐스니터의 몸체부에 형성된 단부 베이스 고정 수단의 파스너용 구멍과 체결되도록 사용함으로써, 조립체내에 팽창기 연결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키이가 형성된 개구부(66)의 크기는 스터드(72)을 깊숙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채택한다. 이러한 배열은,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내에서 팽창기(50)의 종축(80)을 중심으로 한 팽창기의 상대 각위치가, 키이가 형성된 개구부(66)와 키이가 형성된 팽창기 스터드(72)에 의해 결정되도록 해준다. 너트(도시생략)는 단부 플레이트(54),(56)를 팽창기(50)의 제 1 및 제 2 단부(52),(53) 각각에 반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스터드(72)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팽창기(50)는 최소한 표기된 일측면(85)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기구 혹은 포트(84)를 포함하는데, 가스는 팽창실(51)에서 배출되어 제 2,3도에서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듯이 에어백(60)의 팽창을 위해 방출된다.
팽창하는 에어백속으로 가스를 더욱 균일하게 또는 순차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돕기 위해, 즉 팽창하고 있는 에어백의 전개가 균일하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가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내에 장치된다. 예를 들면,이러한 유동 안내 장치는 배플(baffle) 형상이나 특수한 크기, 형상 및 구조의 가스 포트 통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유동 안내 장치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장치(90)는 가스가 관통할 수 있게 한 다스의 개구부(92)를 포함한다. 이 개구부(92)는 가스를 에어백(60)속으로 양호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그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러한 장치 혹은 시스템은, 예를 들면 1992.12.18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93,280호에 개시된 리테이너 장치이며, 이것은 1992.12.18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93,277호에 개시된 디퓨져의 패이스 부재의 특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 특허 출원을 참조하였다. 이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통로 개구부의 크기, 모양 및 구조는 구체적인 용도에 부합되도록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어떠한 구체적인 형상을 갖는 가스 통로 개구부를 구비하는 디퓨져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디퓨져 장치/시스템은 양호하게 가스 분사를 촉진하는 것외에 , 1) 모듈 조립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2) 에어백을 조립체내에 적합하게 구속 유지하며, 그리고 3) 뜨거운 팽창기 표면을 차량 탑승자에 의한 접촉 뿐만 아니라 에어백의 양쪽 표면에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에어백을 조립체내에 구속시키는데 있어 이러한 에어백 구속용 수단은 나사, 리벳등의 파스너 수단을 이용한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이러한 파스너 수단의 필요성을 없애거나 최소화시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90)와 같은 디퓨져 장치는 벨 모양의 입구를 지닌 반응 캐니스터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응 캐니스터의 일체성을 유지하는데 있어 유리하다.
상기 디퓨져 단부에서, 반응 캐니스터으 몸체부(10)는 측벽(30),(32)의 일부와 일체 성형된 고정 슬리브(94)를 포함한다. 전기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93,280호에 상세히 설명되고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후술되듯이, 이러한 고정 슬리브는 에어백을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내에 파스너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해준다. 그러나, 광범위의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 슬리브의 사용만을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 전기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93,277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나사 혹은 리벳 등의 파스너 수단을 채택한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기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07/993,2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쿠션 리테이너의 사용을 통해 실시될수 있으며, 이 리테이너는 나사 혹은 리벳등의 파스너의 사용을 필요로하지 않거나 양호하게는 최소화시키면서 에어백(즉, 쿠션)을 조립체내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리테이너 장치가 갖고 있는 디퓨져 특성과 연관지을 필요가 없게 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 혹은 리벳 등의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에어백 고정용 공동 형태를 사용하는 방법과 전술한 디퓨져 특성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모두 실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해 공지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내의 에어백은 가스가 양호하게 에어백으로 슬리브될 수 있도록 만든 하나 이상의 통기구(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백 통기구는 에어백의 후속 전개에 대한 통기를 돕는 장점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작용은 충돌 직후(즉, 차량 탑승자에 의해 접촉되자 마자 백을 소프트하게 만들어 보다 큰 쿠션 효과를 가져오게 하고 탑승자가 반동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와 충돌 이후(즉, 에어백 전개의 후속 조치로 탑승자가 차량에서 탈출이 용이하게 하는 현상) 모두에 대해 적용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더욱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60)은 두꺼운 주변 가장자리(98)을 구비한다. 이러한 에어백의 가장자리는 전기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7/99,277 및 제07/993,280호에 개시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60)의 가스 유입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에어백 재질로 감긴 루우프(1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루우프 속으로 선택된 비드(bead) 재료(102)가 배치되어 조립체(16)에 에어백(60)이 더욱 확실하게 결합되게끔 해준다.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장치(90)은 채널을 포함하며, 에어백(60)의 두꺼운 외주 가장자리(98)는 전기의 특허 출원서에 상세히 도시되고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에 연결용 에어백/디퓨져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체결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07/993,2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비드 재료는 금속 혹은 양호하게 플라스틱, 특히 압출된 열가소성 재질등으로 제작되며 특수한 용도에 알맞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효과적인 에어백 통기를 보조하기 위하여, 전기한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은 또한 측벽 연결부(42),(44)를 중심으로 한 캐니스터 통기구(106)를 포함한다(제3도 참조). 이러한 캐니스터의 통기구는, 에어백의 후방으로 가스의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해주기 때문에, 통기된 가스와 차량 탑승자간의 접촉을 최소화시킨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캐니스터 통기구는 파열 압력, 즉 에어백이 초기에 전개되는 압력으로 조립체의 덮개층을 파열시키는 압력(예를 들면, 에어백 구속 공동으로부터 차량 실내로 진행하는)을 안정된 수준으로 만들도록 해준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에는 통기된 가스가 적절하게 냉각되도록 하는 가스 냉각 공동(108)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각 작용을 보조하기 위해, 즉 에어백으로부터 통기된 가스에서 열을 제거 하기 위해 냉각 공동(108)에는 열전도성 물질(109)이 담겨있다. 이러한 열전도성 물질은 큰 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통기된 가스를 통과시킬 경우 다량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렇게 배치된열전도성 물질은 발생된 열이 반응 캐니스터에서 감금되어 차량 탑승자로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열전도성 물질의 예로는, 강철 울(wool) 혹은 더욱 양호하게 알루미늄 울(비교적 높은 열전도성과 경량의 제질임)과 같은 금속성 울을 들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는 각 측벽(30),(32)의 외측단 둘레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용 커버 구속 수단(110)을 포함한다. 섬유 보강 종이 등과 같은 보호용 커버는 부조립체(16)의 에어백 구속 공동(58)내의 에어백(60) 둘레로 반응 캐니스터에 감긴 형태로 연결된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1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용 커버(112)는 플라스틱 밴드나 보호용 커버(112)의 외연부(115) 둘레에 배치된 다른 비드 물질(114)을 선택하여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비드 물질은 이러한 보호용 커버 구속 수단(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보호용 커버는 에어백이 사고나 다른 불필요한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에어백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내의 이물질 뿐만 아니라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보호용 커버는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로 부스러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보호용 커버는 거칠고 마모 및 찢어짐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지닌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며, 상기 물질은 그곳에 형성된 천공부(穿孔部)에 의해 선정된 지점에서 파열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보호용 커버는 E.I. 듀퐁 데 네무르스 컴패니(Du Pont de Nemours CO.)에서 만든 상표명 TYVEX로 시판되는 섬유 보강 종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물질, 예를 들면 전술한 특성 및 장점을 구비한 물질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기 바란다.
또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는 전술한 단부 베이스 고정 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단부 폐쇄체 고정부(1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는 중공의 형상을 취할 수 있거나, 몸체부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압출 성형으로 양호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그리고 홈 형상 또는 압출 작업에서 통용되는“스트류 슬롯”형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와 고정체 형태는 나사 파스너의 사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고정부(118)는 측벽(30),(32) 양쪽을 따라 몸체부(10)의 외주 둘레로, 그리고 팽창기 홀더(18) 둘레로 양호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 폐쇄체(120)의 고정부를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에 확실히 고정시키는 것을 보장해주며(제2도 참조), 이러한 고정부는 최소한 대향 단부(52),(53) 각각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단부 폐쇄체(120)에 의해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의 원형 횡단면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부 폐쇄체는 단부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듯이, 스웨이징 (swaging) 나사 파스너와 같은 파스너(124)가 상기 단부 폐쇄체를 조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수 있다.
또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는 도면 부호(126)으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장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부분은 외부형, 즉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를 선택된 차량내에 장착하는 형태, 또는 내부형, 반 내부형, 즉 부품들을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내에 장착하는 형태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듯이, 장착 브래킷(126A)과 같은 외부형 장착 부분은 원하는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적절한 배치, 지향성,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브래킷(126B)과 같은 내부형 또는 반 내부형 장착 부분은 측벽, 즉 측벽(112)의 세그멘트로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장착 브래킷(126B)은 체결용 너트나 혹은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에 사용된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에어백을 이간시키거나 에워싸는데 유용한 공동 혹은 홈(128)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와 마찬가지로,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는 제 1 및 제2의 대향 측벽 혹은 패널, 즉 상부 측벽(30')과 하부 측벽(32')과 함께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으로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18')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에어백 구속용 공동(58')을 형성한다.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의 팽창기 홀더(18)과 유사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의 팽창기 홀더(18')는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지닌다. 그러나, 팽창기 홀더(18')는 팽창기 홀더 측벽(20'),(22')을 연결하고 브리징하는 디퓨져 부분(13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홀더(18)와 다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브리징 디퓨져 부분은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의 일부로서 일체 성형되며, 아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듯이 그곳을 관통하는 가스 통로가 형성되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디퓨져 부분(130)은 팽창기 챔버와 에어백 사이에 적합한 공유 영역을 제공하도록 디퓨져 부분에 충분한 폭을 갖기 위해, 팽창기 홀더의 측벽(20'),(22')사이를 최소한 약 30。, 양호하게는 약45。, 더욱 양호하게는 최소한 약 90。, 그리고 더욱 양호하게는 최소한 약120。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압출 성형 방법은 중공을 포함하는 부정형의 부품을 제작할 때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압출 성형될 부품에 중공을 형성시키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기 홀더(18')는 디퓨져 부분(130)을 포함하듯이 중공 형태가 되지 않도록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형인 디퓨져 부분은 가스가 관통하게 될 다수의 개구부(132)를 포함한다. 개구부(132)는 가스를 에어백(도시생략)에 양호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그 위치 및 크기를 가진다. 더욱이,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는 필요시 이것과 협동할 수 있는 고정 슬리브와 같은 부품에 일체 성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술한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혹은 디퓨져 장치는 필요할 경우 일체의 디퓨져 챔버와 팽창기 홀더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같은 부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구조는 가스를 에어백 속으로 특수한 형태로 분포시키고 싶은 경우와 같은 다양한 용융예에 사용되는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와 잘 어울리는 장치로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반응 캐니스터 구조에 있어서, 파스너 구멍이 측벽 및/또는 조립체의 단부 플레이트에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과, 에어백을 잠금용 너트의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파스너 구멍을 통과하는 파스너로 반응 캐니스터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는 스러스트 중립 및 지향성 팽창기 모두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의 팽창기와 관련한 용도에서 볼 수 있으며, 팽창기를 완전히 에워싸고 있지 않는 제4도에 도시된 반응 캐니스터(10')는 가스가 적절하게 팽창 가능한 에어백으로 향하도록 가스 배출구를 팽창기 홀더쪽으로 향하게 하는 지향성 팽창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플레이트는 주로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에 의해 형성된 에어백 구속 공동의 단부를 에워싸는 역할과 팽창기를 그곳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5도는 다른 형태의 단부 폐쇄체를 사용하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16)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팽창기 홀더(18)와 일체 성형된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 에어백(60) 및 제2도에 도시된 팽창기(50)와 유사하게 이것의 측벽(142)를 따라 가스 배출구(141)을 갖춘 팽창기 챔버를 사용하는 통상의 팽창기 장치의 구조와는 다르게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장치(9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 부조립체(16)는 단부 플레이트(144),(148)와 단부 베이스(154),(158)를 포함하는 단부 폐쇄체를 사용하는데, 단부 플레이트는 주로 에어백 구속 장치의 단부를 에워싸는 역할을 하고, 그리고 단부 베이스는 주로 팽창기챔버 튜브(140)의 단부(160),(162)를 덮는 기능을 제공한다. 단부 베이스(154),(158) 각각은 그곳을 덮기 위해 팽창기 챔버(140)의 각 단부와 연결하거나 또는 적절하게 수용하는 합치면(166)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단부베이스(154),(158)는 그곳에 형성된 파스너 구멍(168)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랜지를 포함 한다.
조립체에 요구되는 부품들의 수를 줄이고 단순화시키기 위해, 최소한 몇 개 이상의 파스너가 단부 플레이트와 단부 베이스 모두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124B)는 단부 플레이트 및 단부 베이스 모두를 동시에 체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파스너(124A) 단부 베이스를 제외한 단부 플레이트만 체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체에 있어서, 단부 베이스(154),(158)는 단부 플레이트(144),(148)에 사용된 재질 보다 더 두껍고 더 강한 제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팽창기 챔버 단부(160),(162)에 위치한 단부 폐쇄체는 에어백 구속용 공동의 단부 폐쇄체보다 상당히 큰 압력을 받기 쉽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이러한 단부 베이스를 조립체에 체결시키기 위해 사용된 고정 수단은 대개 전술한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베이스(154),(158)를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단부 폐쇄체 고정 수단, 즉 팽창기 챔버(18)의 외면(170)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네개의 나사 슬롯 형태를 지니고 도면부호(78)로 표시된 것과, 그리고 이것과 협동되어 사용된 파스너(124B) 모두는 큰 직경을 지니며, 상기 파스너는 단부 플레이트 (144),(148)를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에 체결시키는데에만 사용되는 고정 수단(118) 및 파스너(124A)인 단부 폐쇄체 고정 수단보다 길이가 더 길다.
따라서, 파스너(124B)는 파스너 구멍(168),(58B)과 고정 수단(78)이 서로 협동 관계로 단부 베이스(154),(158)를 연결시키게 되며 또한, 단부 플레이트(144),(148)와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파스너(124A)는 파스너 구멍(57A)와 고정 수단 (118)와 협동 관계로 단부 플레이트(144),(148)과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10)를 연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비용이 비싸지 않고 단부 폐쇄체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면서, 생산의 신축성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조립체는 팽창기 챔버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 팽창기 챔버는 2000 및 7000 시리즈의 알루미늄등의 고강도 합금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캐니스터 제작에 사용된 알루미늄 재질은 약 30,000 내지 40,000 psi 의 항복응력을 지니면서 30~70%까지 더 강하다(psi 항복응력 단위로 측정시). 이러한 특성은 동일한 압력이 적용되고 더 낮은 강도의 재료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팽창기 챔버와 비교시 더 얇은 벽을 지닌 팽창기 챔버가 사용될 수 있게끔 해준다. 더욱이, 이러한 조립체는 압출 및 인발 등의 바늘 구멍이 없는 가공에 의해 제조된 팽창기 챔버 튜브의 사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팽창기 챔버에 사용될 수 있는 표준 튜브의 사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수단의 갯수 및 위치는 필요할 경우 구체적인 응용의 필요성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단부 폐쇄체 혹은 고정 수단의 사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폐쇄체 및 스웨이징 용접법, 예를 들면 내부 용접 및 미그(MIG)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고정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광범위한 응용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사용되는 팽창기의 조작 형태 또는 양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할 경우 본 발명은 불꽃식 팽창기, 가스 수장식 팽창기 혹은 하이브리드(hybrid)식 팽창기와 같은 팽창기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팽창기 홀더(18)가 형성된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10)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팽창기가 몸체부(10)내에 완전히 내장되어 있음으로써 팽창기 홀더의 베이스 부분이 가스를 개구부으로 향하게하여 에어백으로 적절히 안내될 때 스르스트 중립 뿐만 아니라 지향성을 지니는 팽창기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기 챔버(51)의 내부 구성요소와 그곳에 에워싸인 가스발생재 형태의 조성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어떤 공지의 제조품/규격품을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구성요소들의 예로는 1990. 1. 2자F. E. 스케니더(Schneither)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890,860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는 마그네슘, 양호하게 알루미늄과 같은 압출성 재료를 연속적인 압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는 상기 몸체부가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의 응용에서 특히 노출되기 쉬운 고온과 고압에 잘 견딜 수 있는 재료이다. 이러한 몸체부의 압출제조 방법은 여러가지의 설계상의 특징 및/또는 장점과 연관지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설계상의 특징 및/또는 장점의 예로서는 아래의 요소들중 몇가지를 포함한다: 즉, 디퓨져 및/또는 에어백 리테이너 고정 수단, 희망하는 가스 통기를 용이하게 하는 통기구, 희망하는 가스 냉각을 허용하는 냉각용 공동, 조립체를 중심으로한 보호용 커버의 구속을 용이하게 하는 보호용 커버 구속 수단, 단부 플레이트 혹은 단부 플레이트/단부 베이스 조합과 같은 단부 폐쇄체의 고정물을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단부 폐쇄체 고정 수단, 그리고 장착 수단(외부형, 즉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를 선택된 차량에 장착하는 방식과, 내부 혹은 반 내부형, 즉 부품들을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내에 장착하는 방식 모두에 적용됨)을 예로 들 수 있다. 더욱이, 몸체부의 압출 성형은 다양한 크기로 조립체의 길이에 따라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추가의 장점을 가지도록,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제작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반응 캐니스터가 통상 에어백의 전개시 직면하기 쉬운 전술한 작용력, 즉 바람직 하지 못한 반응 캐니스터의 벨 마우징(mouthing)을 유발시킬 수 있고, 또는 주위의 계기판의 구조체 혹은 구성요소를 필요하게 만드는 작용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반응 캐니스터를 견고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실제로, 전술한 여러 가지의 특징중 하나와 연관되는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는 나머지의 특징들과 효과적으로 추가로 실시하는 형상 및 형태에 따라 그 견고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그러나 추가의 견고성이 요구될 경우,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의 돌출부의 일부로서 또는용접으로 돌출부에 추가시키는 방법 등과 같이 선택된 보강 융기부 혹은 플랜지의 추가를 통해 조립체 및 이것의 일부와 협동시켜 견고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도 인지하여야 한다.
스웨이징 나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한 장치에 적합한 파스너의 형태이다. 스웨이징 나사식 파스너는 삽입되자마자 일반적으로 나사를 파스너 구멍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스웨이징식으로 체결된다(스웨이징 공정은 나스 세팅 토크의 80% 이상의 토크를 제거한다). 이러한 나사 구성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의 변이 또는 스트레칭(streching) 결과로 발생하는데, 통상의 나사 커팅 스크류 파스너를 사용했을 때 주로 발생하는 이러한 재료의 일반적인 제거에 반대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파스너가 차량용 팽창 가능한 구속 장치의 구성 부품과 연관되어 사용될 때, 나사 커팅 스크류 파스너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하고 쉽게 제거되지 않는 미세 금속 줄질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금속 줄질 작업은 스웨이징 나사 파스너와 함께 일반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 스웨이징 나사 파스너를 사용함으로써 이것을 삽입시키는 동안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제작 공정 동안 간단한 압출 작업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반응 캐니스터 몸체부내에 고정 수단이 형성되게 해준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형태의 파스너 즉, 리벳, 볼트,또는 다른 종류의 나사 파스너들의 필요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선택된 파스너 및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는 팽창 가스가 방출되는 동안 노출되는 압력즉, 약 400 psi 만큼 높아지는 캐니스터내의 압력에 적합하게 작동 가능한 파스너가 되어야 한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캐니스터의 구조는 여러가지의 변형예에 폭 넓게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응 캐니스터의 구조는 광범위한 팽창기 장치들중 하나의 팽창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응 캐니스터의 구조는 본 발명의 근거를 두지 않고 통용될 수있는 구조이다.
전술한 설명은 한전하지 않는 의미에서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당업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0)

  1. 압출 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되며, 팽창기를 내장한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장치에 사용되는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로서,단면이 360。미만으로 연장하는 원형인 팽창기 홀더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팽창기를 내장한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에는 동일축상으로 팽창기 챔버 튜브가 설치 유지되며,상기 몸체부는 제 1 및 제 2 대향 측벽과, 각각의 양단에 다수의 단부 플레이트 고정 수단이 형성된 제 1 및 제2 대향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벽들은 에어백 구속용 공동을 형성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팽창기 홀더가 상기 에어백 구속용 공동으로 돌출하는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홀더는 오목한 베이스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며, 간극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개구부의 각도는 적어도 4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홀더는 그곳을 관통하여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제공되는 디퓨져 부분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부분은 팽창기 홀더의 제 1 및 제2 측벽부 사이를 적어도30。 이상의 원호로 브리징(bridg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부분은 상기 팽창기 홀더의 제 1 및 제 2 측벽부 사이를 적어도 120。이상의 원호로 브리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벽들은 연결부들에 의해 상기 팽창기 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부들 중 하나에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냉각 공동을 형성하고, 상기 인접한 연결부는 상기 냉각 공동으로부터 가스의 통기를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통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동은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대향 측벽돌 중 하나 이상은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 및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도록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슬리브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를 차량에 정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일체 성형된 외부형 장착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캐니스터의 몸체부내에 에워싸인 공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일체 성형된 장착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용 홈통형 몸체부.
  12.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로서: 일체 성형된 팽창기 홀더, 대향 단부, 대향 측벽, 그리고 상기 대향 단부에 위치한 다수의 단부 폐쇄체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돌출된 홈통형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팽창기 홀더 내에 설치될 팽창기 챔버 튜브를 구비하는 가늘고 긴 팽창기와: 그리고 각각의 단부 폐쇄체 고정 수단과 협동하는 관계로 위치된 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해당하는 각각의 대향 단부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단부 폐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폐쇄체 각각은 상기 팽창기의 단부들 중 연관된 하나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 팽창기 챔버의 대응 부분을 추가로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챔버는 이음매 없는 압출 성형된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 폐쇄체의 하나 이상은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4. 상기 팽창기 챔버는 인발 성형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의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챔버는 고강도의 알루니늄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홀더는 간극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오목한 베이스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기가 스러스트 중립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향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홀더는 상기 팽창기 홀더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부 사이를 적어도 30。이상의 원호로 브리징하고, 그곳을 관통하여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제공되는 디퓨져 부분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기는 지향성을 지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8. 제12항에 있어서,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팽창기 홀더는 오복한 베이스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면서 적어도 45。이상의 간극 개구부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에어백 리테이너/디퓨져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하도록 사용된 하나 이상의 고정 슬리브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19. 12항에 있어서, 에어백 조립체 보호용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팽창기 홀더는 하나 이상의 일체 성형된 보호용 커버 구속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구속 수단과 협동 관계에 있는 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백 조립체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커버의 외연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구속 수단내에 고정된 탄성체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반응 캐니스터 조립체.
KR1019940000286A 1993-04-13 1994-01-10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반응 캐니스터 KR0129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43.960 1993-04-13
US08/043,960 US5407226A (en) 1992-02-24 1993-04-13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9492B1 true KR0129492B1 (ko) 1998-04-10

Family

ID=2192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286A KR0129492B1 (ko) 1993-04-13 1994-01-10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반응 캐니스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77869B2 (ko)
KR (1) KR0129492B1 (ko)
AU (1) AU660120B2 (ko)
CA (1) CA21129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5374A1 (de) * 1994-05-02 1995-11-09 Trw Repa Gmbh Gassack-Modul
AU3033295A (en) * 1994-10-17 1996-05-09 Morton International, Inc. Passenger-side airbag module darted end caps
US5556124A (en) * 1995-01-24 1996-09-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ES2169182T3 (es) * 1995-09-05 2002-07-01 Trw Repa Gmbh Modulo de sujecion para airbag.
ES2107403T3 (es) * 1996-03-08 2001-09-01 Trw Repa Gmbh Modulo de bolsa de gas inflable de sujecion.
DE202005016457U1 (de) * 2005-10-17 2006-01-19 Takata-Petri Ag Airbag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S10106120B2 (en) * 2016-02-26 2018-10-23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678A (en) * 1989-06-29 1990-07-17 Morton Thiokol, Inc. Lightweight reaction can for passenger inflators
JPH081154Y2 (ja) * 1990-06-18 1996-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インフレータ取付部構造
JPH04201760A (ja) * 1990-11-30 1992-07-22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5332256A (en) * 1992-02-24 1994-07-26 Morton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circumference diffuser reaction cani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12958C (en) 1998-01-06
AU660120B2 (en) 1995-06-08
AU5277493A (en) 1994-11-10
CA2112958A1 (en) 1994-10-14
JP2577869B2 (ja) 1997-02-05
JPH06321040A (ja) 1994-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226A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EP0620140B1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KR970001742B1 (ko)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US5407227A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with integral inflator chamber
US7195279B2 (en) Gas flow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EP0405908B1 (en) Lightweight reaction can for passenger inflators
US6988578B2 (en) Automotive outboard air bag system
US5931491A (en) Airbag module with a reduced number of fasteners
JPH09104318A (ja) 膨張式抑止モジュール
US6802526B2 (e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JP2501416B2 (ja) 搭乗者制止装置におけるカバ―保持方法
US5967551A (en) Reduced airbag deployment skewness with non-symmetric gas output inflators
JP3034762U (ja) 膨張型拘束装置のリアクションキャニスタとサブアセンブリ
KR0129492B1 (ko) 팽창 가능한 수동식 구속 장치용 반응 캐니스터
US5634657A (en) Elliptical plenum for gas flow control in an automotive airbag system
US5588668A (en) Air bag module
US5779261A (en) Vehicle air bag retaining arrangement
US20080265550A1 (en) Airbag module
US5566975A (en) Controlled pressure relief of an inflatable restraint reaction canister
JP3020086U (ja) 膨張可能な拘束式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0136841B1 (ko) 반응 캐니스터 및 반응 캐니스터 본체부
WO2008130286A1 (en) An airbag module
EP0791512B1 (e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moderation of inflator output
US20050127647A1 (en) Side curtain airbag system
JP2004098891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