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29Y1 -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29Y1
KR0129129Y1 KR2019960009859U KR19960009859U KR0129129Y1 KR 0129129 Y1 KR0129129 Y1 KR 0129129Y1 KR 2019960009859 U KR2019960009859 U KR 2019960009859U KR 19960009859 U KR19960009859 U KR 19960009859U KR 0129129 Y1 KR0129129 Y1 KR 0129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determined
screw
bol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684U (ko
Inventor
송순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9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129Y1/ko
Publication of KR970057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전측 소정부위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용 전조등(1)의 각도조절을 좀더 편리하게함과 더불어 부품수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차량용 전조등(1)이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가 전조등(1)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다소 불폄을 겪게됨과 더불어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용 전조등(1)을 이루는 소켓부(2)가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힌지부(3)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원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2)에 고정되게 되는 지지대(4)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장형슬롯(9)과, 상기 장형슬롯(9)에 소정의 볼트스크류(10)가 끼워지되,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볼트머리부(11)의 일측에 소정깊이의 회동용 요부(12)가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축부(13)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4)가 끼워진후 일측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실드부재(15)에 나사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용 전조등(1)의 각도를 좀더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됨과 더불어 부품수의 감소로 생산성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제1도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측 소정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전조등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조등 2 : 소켓부
3 : 힌지부 4 : 지지대
9 :장형슬롯 10 : 볼트스크류
11 : 볼트머리부 12 : 회동용 요부
13 : 축부 14 : 탄성부재
15 : 실드부재
본 고안은 차량의 전측 소정부위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전조등의 각도조절을 볼트스크류식으로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좀더 편기하게 차량의 전조등을 각도조절할 수 있게함과 더불어 부품수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전측 소정부위에는 양측으로 각각 전조등(1)이 구비되는 바 상기 전조등(1)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로 야간에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조등(1)은 대별하여, 차량의 전방을 비추는 전구를 수용하는 소켓부(2)와, 상기 소켓부(2)의 일단을 소정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부(3)와, 상기 힌지부(3)를 중심으로 상기 소켓부(2)가 회동될 수 있도록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4)의 팔로우어(Follower)(5)와, 상기 팔로우어(5)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평축기어볼트(6)와, 상기 수평축기어볼트(6)를 90° 직각되게 연결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연결되는 수직축기어볼트(7)와, 상기 수직축기어볼트(7)를 작업자가 소정의 드라이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축기어볼트(7)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십자혈(8)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전조등(1)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소정의 드라이버로 상기 수직축기어볼트(7)의 십자혈(8)을 돌리게 되면 상기 수평축기어볼트(6)도 동시에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축기어볼트(6)에 구비된 상기 지지대(4)측 팔로우워(5)도 동시에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지지대(4)에 고정된 소켓부(2)가 상기 힌지부(3)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용 전조등(1)의 각도조절을 좀더 편리하게함과 더불어 부품수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차량용 전조등(1)이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가 전조등(1)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다소 불편을 겪게됨과 더불어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을 전조등의 각도조절을 좀더 편리하게함과 더불어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도 높일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용 전조등을 이루는 소켓부가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원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에 고정되게 되는 지지대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장형슬롯과, 상기 장형슬롯에 소정의 볼트스크류가 끼워지되, 상기 볼트스크류를 이루는 볼트머리부의 일측에 소정깊이의 회동용 요부가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스크류를 이루는 축부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가 끼워진후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실드(Shield)부재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용 전조등(1)을 이루는 소켓부(2)가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힌지부(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상기 소켓부(2)의 지지대(4)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가 상기 힌지부(3)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원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4)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게 되는 소정길이의 장형슬롯(9)과, 상기 장형슬롯(9)에 소정의 볼트스크류(10)가 끼워지되,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볼트머리부(11)의 일측에 소정깊이의 회동용 요부(12)가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축부(13)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4)가 끼워진후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실드부재(15)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4)의 장형슬롯(9)과 볼트스크류(10)의 길이는 상기 전조등(1)의 소켓부(2)를 회동시킬 수 있는 한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차량용 전조등(1)을 이루는 소켓부(2)측 지지대(4)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게 되는 소정길이의 장형슬롯(9)과, 상기 장형슬롯(9)에 소정의 볼트스크류(10)가 끼워지되,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볼트머리부(11)의 일측에 소정깊이의 회동용 요부(12)가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축부(13)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4)가 끼워진후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실드부재(15)에 나사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용 전조등(1)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차량용 전조등(1)의 보호커버(16)를 연후 상기 소켓부(2)의 지지대(4)에 끼워지는 볼트스크류(10)용 볼트머리부(11)의 회동용 요부(12)에 소정이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를 끼워 상기 볼트스크류(10)를 풀거나 조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스크류(10)의 축부(13)를 통해 상기 지지대(4)와 실드부재(15)의 사이에 탄지된 상기 탄성부재(14)가 상기 소켓부(2)의 지지대(4)를 일정한 위치에 잡아둘 수 있게됨에 따라 상기 소켓부(2)도 일정한 회동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는 차량용 전조등(1)을 이루는 소켓부(2)가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힌지부(3)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원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2)에 고정되게 되는 지지대(4)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장형슬롯(9)과, 상기 장형슬솔(9)에 소정의 볼트스크류(10)가 끼워지되,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볼트머리부(11)의 일측에 소정깊이의 회동용 요부(12)가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축부(13)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4)가 끼워진후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실드부재(15)에 나사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용 전조등(1)의 각도를 좀더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됨과 더불어 부품수의 감소로 생산성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용 전조등(1)을 이루는 소켓부(2)가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힌지부(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상기 소켓부(2)의 지지대(4)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가 상기 힌지부(3)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원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4)의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게 되는 소정길이의 장형슬롯(9)과, 상기 장형슬롯(9)에 소정의 볼트스크류(10)가 끼워지되, 상기 볼트스크퓨(10)를 이루는 볼트머리부(11)의 일측에 소정깊이의 회동용 요부(12)가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스크류(10)를 이루는 축부(13)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4)가 끼워진후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실드부재(15)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KR2019960009859U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KR0129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859U KR0129129Y1 (ko)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859U KR0129129Y1 (ko)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684U KR970057684U (ko) 1997-11-10
KR0129129Y1 true KR0129129Y1 (ko) 1998-12-01

Family

ID=1945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859U KR0129129Y1 (ko)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1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684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618Y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890005449A (ko) 자동차용 전조등
US4578740A (en) Headlamp with adjustable reflector for motor vehicles
US4761717A (en) Headlamp pivot assembly
JP4229400B2 (ja) 自動車用前照灯
US5741059A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aiming screw supporting structure
US7114835B2 (en) Headlamp adjuster
US4271456A (en) Adjust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headlamps
KR0129129Y1 (ko) 차량용 전조등의 스크류식 각도조절장치
JPS6142242Y2 (ko)
JPS5821441Y2 (ja) 車輛用前照灯のエ−ミング装置
EP0887227A2 (en) Optical-axis adjuster for vehicle auxiliary light
KR0120058Y1 (ko) 차량 전조등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KR910003151Y1 (ko) 자동차 전조등의 조명거리 조정장치
KR200144910Y1 (ko) 작업램프
KR100229272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 조절장치
JPH11151971A (ja) 車輌用灯具の照射角度調整機構
KR950009015Y1 (ko) 자동차용 전조등
JPH029447Y2 (ko)
KR0173594B1 (ko) 버스 전조등의 조사각 조절장치
KR19980037029U (ko) 램프유니트 가동형 포그램프의 에이밍구조
KR200146419Y1 (ko) 램프의 조사각 제어장치
KR200148019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반사경 광축조정장치
KR0118180Y1 (ko) 전조등의 광축 조절기구
JPS61270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