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311Y1 -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311Y1
KR0128311Y1 KR2019930029279U KR930029279U KR0128311Y1 KR 0128311 Y1 KR0128311 Y1 KR 0128311Y1 KR 2019930029279 U KR2019930029279 U KR 2019930029279U KR 930029279 U KR930029279 U KR 930029279U KR 0128311 Y1 KR0128311 Y1 KR 0128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discharger
housing
oil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248U (ko
Inventor
김석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9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311Y1/ko
Publication of KR950019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 F01M2011/0425Plugs with a device facilitating the change of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교환을 위한 오일팬의 오일 배출을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하는 배출기에 의해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엔진의 각 운동 부분으로 공급됨으로써, 금속간에 유막을 형성하여 엔진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이 일정 기간동안 사용되어 이물질이나 금속가루 등으로 인한 윤활특성의 저하로 새로운 오일과 교환하기 위해 실린더블럭의 하부에 결합형성된 오일팬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오일팬의 드레인홀과 연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입라인과; 이 유입라인이 연통 연결되며, 엔진오일 배출기의 외부를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스위치의 접점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로 회전력을 발하는 모터부와; 이 모터부와 격벽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모터부의 회전력으로 회전하여 흡출력을 발하도록 다수의 블리이드를 보유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연통 형성되어 하우징내로 유입된 오일팬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라인으로 이루어진 오일배출기를 상기한 오일팬의 일측에 설치토록 한 것.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 부위를 나타내는 엔진의 일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오일 배출기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윤활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엔진의 개략도.
제4도는 일반적인 윤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린더블럭 4 : 오일팬
6 : 오일배출기 8 : 드레인홀
10 : 유입라인 12 : 하우징
14 : 격벽 16 : 모터부
20 : 임펠러 22 : 스위치
24 : 블리이드 26 : 유출라인
[산업상이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각 윤활부분에 공급되어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오일을 스위치 조작으로 흡출시킴으로써, 엔진오일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엔진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처럼 접동을 하는 부분이나 크랭크샤프트 및 캠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운동 마찰 부분은 금속끼리의 직접 접촉으로 마찰열을 발생하게 되고,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거나 눌어 붙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오일 각 운동 부분에 오일을 공급하여 운동부분의 금속 사이에 형성되는 유막으로 운동 부분의 고체 마찰을 오일의 유체 마찰로 바꾸어 마찰 저항을 줄이고, 마찰에 의한 마찰열의 상승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엔진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원활한 작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오일 각 운동 부분에 오일을 공급하는 윤활장치는 주로 압송식이 많이 쓰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압송식의 윤활장치는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럭(30)의 하부에 오일팬(31)을 결합 형성토록 하여 이에 일정량의 오일(o)이 채워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오일팬(31)에 채워진 오일(o)은 오일펌프(32)의 펌핑에 따라 오일(o)에 잠겨지도록 설치되는 오일스트레이너(34)를 통해 펌핑되어 여과기(36)를 거쳐 엔진의 각 윤활 부분으로 압송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금속간에 유막을 형성하는 오일(o)은 어느 정도 사용 기간이 경과되면, 이물질 및 금속가루 등이 섞여 그 윤활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새로운 오일(o)로 교환토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오일(o) 교환을 위한 오일팬(31)의 오일(o) 배출은 상기 오일팬(31)의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 플러그(38)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는 드레인 플러그가 오일팬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드레인 플러그를 인력에 의해 개도시켜 오일을 배출토록 하고 있어 드레인 플러그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팬의 오일이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 오일을 배출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오일 배출작업이 어렵고도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환을 위한 오일팬의 오일 배출이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하는 오일배출기에 의해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의 각 운동 부분으로 공급됨으로써, 금속간에 유막을 형성하여 엔진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이 일정 기간동안 사용되어 이물질이나 금속가루 등으로 인한 윤활특성의 저하로 새로운 오일과 교환되기 위해 실린더블럭의 하부에 결합 형성된 오일팬으로 부터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오일팬의 드레인홀을 통해 오일을 흡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한 오일팬의 일측에 오일배출기를 설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오일배출기는 오일팬의 드레인홀과 연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입 라인과; 이 유입라인이 연통 연결되며, 엔진오일 배출기의 외부를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스위치의 접점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로 회전력을 발하는 모터부와; 이 모터부와 격벽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모터부의 회전력으로 회전하여 흡출력을 발하도록 다수의 블리이드를 보유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연통 형성되어 하우징 내로 유입된 오일팬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라인으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일정 기간동안 사용되어 이물질이나 금속가루 등으로 인하여 오일의 윤활특성이 저하됨에 따라 오일을 교환하려고 할 때 스위치를 접점시킴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회전 작동하는 모터부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되어 그 블리이드로 하여금 흡출력을 발하게 되고, 따라서 실린더블럭의 하부에 결합 형성된 오일팬의 드레인홀에 연통 형성된 유입라인을 통해 오일팬의 오일이 하우징 내로 흡입되도록 한 후, 유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엔진의 일측면도로서, 실린더블럭(2)의 하부와 결합 형성된 오일팬(4)의 일측에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오일배출기(6)를 설치하여 이 오일배출기(6)에 의해 상기 오일팬(4)에 채워져 있는 오일을 흡입 배출시켜 오일팬(4)에 새로운 오일을 교환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오일배출기(6)는 제2도에서와 같이 오일팬(4)의 드레인홀(8)과 연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입라인(10)을 형성하고, 이 유입라인(10)이 연통연결되며, 오일배출기(6)의 외부를 이루는 하우징(12)에 격벽(14)으로 분리되도록 내장되는 모터부(16) 및 이 모터부(16)의 로우터(18)와 동축 결합되어 흡출력을 발하는 임펠러(20)를 보유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터부(16)의 로우터(18)는 스위치(22)에 의해 전원의 전류 인가가 단속되어 스위치(22)의 접점시 회전력을 발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 상기 임펠러(20)는 상기 모터부(16)의 로우터(18)와 함께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함으로써, 상기 유입라인(10)을 통해 오일팬(4)의 오일이 흡입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블리이드(24)를 보유토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에는 임펠러(20)의 블리이드(24) 외주부로부터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출라인(26)을 연통 형성토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일정 기간동안 사용되어 이물질이나 금속가루 등으로 인하여 오일의 윤활특성이 저하됨에 따라 오일을 교환하려고 할 때 스위치(22)를 접점시킴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오일배출기(6)의 모터부(16)가 회전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16)의 로우터(18)와 동축 결합된 임펠러(20)가 회전되어 그 블리이드(24)로 하여금 흡입력을 발하게 됨으로써, 실린더블럭(2) 하부의 오일팬(4)의 드레인홀(8)에 연통 형성된 유입라인(10)을 통해 오일팬(4)의 오일이 하우징(12) 내로 흡입되도록 한 후, 유출라인(26)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고안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배출기는 교환을 위한 오일팬의 오일 배출이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하는 오일배출기에 의해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엔진의 각 운동 부분으로 공급됨으로써, 금속간에 유막을 형성하여 엔진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이 일정 기간동안 사용되어 이물질이나 금속가루 등으로 인한 윤활특성의 저하로 새로운 오일과 교환 하기 위해 실린더블럭(2)의 하부에 결합 형성된 오일팬(4)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스위치(22)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오일팬(4)의 드레인홀(8)을 통해 오일을 흡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한 오일팬(4)의 일측에 오일배출기(6)를 설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오일배출기(6)는 오일팬(4)의 드레인홀(8)과 연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입라인(10)과; 이 유입라인(10)이 연통 연결되며, 엔진오일 배출기의 외부를 이루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에 내장되어 스위치(22)의 접점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로 회전력을 발하는 모터부(16)와; 이 모터부(16)와 격벽(14)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내장되어 모터부(16)의 회전력으로 회전하여 흡출력을 발하도록 다수의 블리이드(24)를 보유하는 임펠러(20)와; 상기 하우징(12)에 연통 형성되어 하우징(12) 내로 유입된 오일팬(4)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라인(26)으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KR2019930029279U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KR0128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279U KR0128311Y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279U KR0128311Y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48U KR950019248U (ko) 1995-07-24
KR0128311Y1 true KR0128311Y1 (ko) 1999-02-18

Family

ID=1937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279U KR0128311Y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3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48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2964B2 (ja) 定流量カスケード潤滑装置
JP2530179B2 (ja) 水平の密封圧縮機
EP0128140A1 (en) DOUBLE LABYRINTH SEAL WITH SPIN SEAL.
KR0163000B1 (ko) 오일 펌프 장입형 윤활장치
KR0128311Y1 (ko) 자동차의 엔진오일 배출기
US2246277A (en) Rotary pump
WO1995012060A1 (en) Improved engine oiling system
KR100334954B1 (ko) 워터방식 소방펌프 마중물 장치
EP3676482B1 (en) Machine provided with an oil pump and a method to start such a machine.
KR102112756B1 (ko) 유압펌프장치
JPS636469Y2 (ko)
KR200229483Y1 (ko) 양말 편직기용 윤활유 공급장치
KR100210146B1 (ko) 엔진 오일 공급장치의 이원화로 인한 엔진 수명 연장 시스템
KR200361470Y1 (ko) 소음 절감형 오일 펌프
KR19990056659A (ko) 윤활유 공급장치
RU2027847C1 (ru) Вращающийся превентор
JPS585110Y2 (ja) 冷凍用圧縮機のオイルポンプ装置
JPH09158879A (ja) ベーン式バキュームポンプ
KR960001904B1 (ko) 오일펌프(oil pump)
KR100253485B1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 드레인 방지장치
JP2686636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噴射ポンプの漏油防止装置
KR200178445Y1 (ko) 윤활장치의 오일펌프
KR890001738B1 (ko) 수평형 회전식 압축기
KR19990019941U (ko) 오일펌프의 부하 저감장치
JPH01203692A (ja) 回転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