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266Y1 -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266Y1
KR0128266Y1 KR2019940027042U KR19940027042U KR0128266Y1 KR 0128266 Y1 KR0128266 Y1 KR 0128266Y1 KR 2019940027042 U KR2019940027042 U KR 2019940027042U KR 19940027042 U KR19940027042 U KR 19940027042U KR 0128266 Y1 KR0128266 Y1 KR 0128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washing tank
pipe
discharge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613U (ko
Inventor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이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수 filed Critical 이병수
Priority to KR2019940027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266Y1/ko
Publication of KR960014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2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2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having one rotary cleaning receptacl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세탁조내의 용제를 역류식으로 유출시켜서 설정된 유위로서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는 동시에, 오염 상태가 심한 용제부터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200) 하부에 연통되어서 저유탱크(300)와 연결 배관되는 배출관(11) 중간에 배출밸브(12)를 설치하여 상기 세탁조(200) 내의 용제를 유출시켜 주는 배출관로부(10)와, 상기 세탁조(200)와 저유탱크(300) 사이에 별도의 용제 유출경로를 이루어서 세탁물의 량이나 종류에 따라 용제의 유위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설된 유위조절관로부(2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유위조절관로부(20)는 상기 배출관로부(10)의 배출밸브(12)를 사이에 두고 일정한 높이로서 상부로 우회하여서 배출관(11)과 연결 배관되도록 사이펀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사이펀관(21)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마다 각각 중간에 고,중,저유위밸브(22a)(23a)(24a)들을 설치하여서 된 고,중,저유위조절관(22)(23)(24)들을 단계별로 수평하게 연통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세탁조(200) 하부에 일원화된 용제 배출통로를 이루는 배출관(11)을 경유한 용제가 상기 사이펀관(21)을 타고 역류되어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드라이크리너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제2도는 본고안 유위조절장치가 적용된 드라이크리닝기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제3도는 본고안 유위조절장치의 작용을 개략도로서 예시한 것으로,
(a)는 저유위조절관의 저유위밸브를 개방하여서 세탁조내의 용제를 저유위로서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임.
(b)는 고유위조절관의 고유위밸브를 개방하여서 세탁조내의 용제를 고유위로서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배출관로부 11 : 배출관
12 : 배출밸브 20 : 유위조절관로부
21 : 사이펀관 22,23,24 : 고,중,저유위조절관
22a,23a,24a : 고,중,저유위조절관 25 : 공기흡출구
본고안은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내에 공급된 용제의 유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세탁조내의 용제를 역류식으로 유출시켜서 설정된 유위로서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는 동시에, 오염 상태가 심한 용제부터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드라이크리닝기는 세탁드럼이 회전하도록 설치된 세탁조내에 용제를 순환공급하여서, 상기 세탁조내에서 회전하는 세탁드럼에 의하여 세탁물과 함께 용제가 뒤섞여지도록 회전시켜서 세탁작업을 수행하도록 제공되어 왔다.
이와 같은 드라이크리닝기 중 보편적인 것으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61-71087호(1986.5.15)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탁드럼(2)을 내장한 세탁조(1)와, 세탁용 용제를 저류하는 용제탱크(7)와, 세탁시에 세탁조내의 일정액위 정도 이상의 용제를 용제탱크(7)에 유출시키기 위하여 세탁조(1)와 용제탱크(7)를 연통하는 오버플로부(14)를 갖춘 드라이크리너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부(14)에는 오버플로 세탁시에 세탁물 양이나 종류에 따라 용제의 액체 정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액위선택수단(15)을 설치하여서 된 드라이크리너가 선출원 공개되어 있다.
또 이러한 드라이크리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위선택수단(15)은 세탁조(1)에 설치되는 복수의 개구(3a,3b,3c)와, 상기 복수 개구(3a,3b,3c)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용제탱크(7)와 연통하는 복수의 일액관로(溢液管路)(4)와, 상기 복수의 일액관로(4)에 각기 설치되어 그 각각의 일액관로(4)를 개폐하는 오버플로밸브(5a,5b)로서 이루어지도록 제안되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드라이크리너는, 세탁조(1)에 설치된 복수의 개구(3a,3b,3c)와 연통되도록 배관되어서 각각 오버플로밸브(5a,5b)를 가지는 복수의 일액관로(4)로서 액위선택수단(15)을 이루어서, 그 일액관로(4)들 중에 오버플로밸브를 개방시킨 측의 일액관로를 통하여 세탁조(1)내의 용제가 자연적으로 흘러넘쳐서 유출되게 하여서, 그 세탁조(1)내에 세탁물 양이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제의 유위를 조절하여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드라이크리너에 있어, 세탁조(1)내의 용제 유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중요 구성부인 액위선택수단(15)은, 각각의 일액관로(4)들이 복수의 개구(3a,3b,3c)와 연통되어서 세탁조(1) 측방에 직접적으로 연결 배관됨으로써, 세탁중에 세탁조(1)로부터 용제가 필요 이상으로 유출되어서 설정치 이하의 유위를 유지하게 되는 동시에, 심하게 오염된 용제만이 세탁조내에 잔류하여서 세탁능력이 크게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즉 세탁조(1)에 설치된 복수의 개구(3a,3b,3c)들을 통하여 각각의 일액관로(4)들이 세탁조(1) 측방에 직접적으로 연결 배관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조(1) 내의 세탁드럼(2)의 회전력에 의하여 세탁물과 함께 심하게 요동치는 용제가 세탁조(1)로 부터 오버플로밸브(5a,5b)가 개방된 측의 일액관로(4)를 통하여 임의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세탁작업중에 세탁조(1)내에 용제의 유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져서 세탁물 량과 종류에 비하여 잔존하는 용제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서 세탁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또, 오염이 심화되어 비중이 높아진 용제는 세탁조(1)내의 바닥에 분포되고 상대적으로 오염된 정도가 심하지 않은 용제는 세탁조(1)내의 상부에 분포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때, 세탁조(1)내의 상부에 분포되어서 상대적으로 오염된 정도가 심하지 않은 용제가 그 세탁조(1) 측방에 직접적으로 연결 배관되어 있는 일액관로(4)들을 통하여 유출됨으로써, 세탁조(1) 내에는 오염이 심화된 용제만이 잔류하게 되어, 정상적인 세탁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세탁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고안은 세탁조 하부에 설치된 배출관에 단계적으로 유위조절이 가능한 사이펀관을 연결 배관하여서 세탁조내의 용제를 역류식으로서 유출시키도록 구성하여, 세탁작업시 세탁조내의 용제를 설정된 유위로서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면서도 오염된 용제부터 우선적으로 유출시켜서, 세탁능력을 극대화시켜 주는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100)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200) 하부에 연통되어서 저유탱크(300)와 연결 배관되는 배출판(11) 중간에 배출밸브(12)를 설치하여 상기 세탁조(200) 내의 용제를 유출시켜 주는 배출관로부(10)와, 상기 세탁조(200)와 저유탱크(300) 사이에 별도의 용제 유출경로를 이루어서 세탁물의 량이나 종류에 따라 용제의 유위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설된 유위조절관로부(20)로서 구성된 것을 기술구성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하여서, 상기 유위조절관로부(20)는 상기 배출관로부(10)의 배출밸브(12)를 사이에 두고 일정한 높이로서 상부로 우회하여서 배출관(11)과 연결 배관되도록 사이펀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사이펀관(21)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마다 각각 중간에 고,중,저유위밸브(22a)(23a)(24a)들을 설치하여서 된 고,중,저유위조절관(22)(23)(24)들을 단계별로 수평하게 연통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세탁조(200) 하부에 일원화된 용제 배출통로를 이루는 배출관(11)을 경유한 용제가 상기 사이펀관(21)을 타고 역류되어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0은 세탁드럼이고, 500은 용제 유입관이다.
상기 배출관로부(10)의 배출관(11) 중간에 연결 배관되는 유위조절관로부(20)의 사이펀관(21)은, 세탁조(1) 상단부와 대등한 높이로서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유위조절관로부(20)의 사이펀관(21)에 상하로 배열되어서 연결 배관된 고,중,저유위조절관(22)(23)(24) 각각의 고,중,저유위밸브(22a)(23a)(24a)들은, 전자식 개폐밸브로서 콘트롤장치(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서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펀관(21) 상부 일정위치에 상향 돌출되도록 착설된 공기흡출구(25)를 구비하여서, 상기 사이펀관(21) 내에 채워져 있는 공기를 흡출시켜서 그 사이펀관(21)을 따라서 역류 유출되는 용제가 보다 원할하게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a)에서와 같이, 소량의 세탁물 세탁작업시 저유위조절관(24)의 저유위밸브(24a)를 개방시키면, 세탁조(200)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11)을 통하여 유출된 용제가 사이펀관(21) 내에 채워지면서 역류되어서, 저유위밸브(24a)가 개방되어 있는 저유위조절관(24)을 경유하여서 저유탱크(300)로 유출됨에 따라, 세탁조(200) 내의 용제는 저유위조절관(24)과 동일한 높이로서 정확하게 저유위를 유지하게 되고, 제3도의 (b)에서와 같이, 대량의 세탁물 세탁업시에는 고유위조절관(22)의 고유위밸브(22a)를 개방시키면, 세탁조(200)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11)을 통하여 유출된 용제가 사이펀관(21) 내에 채워지면서 역류되어서, 고유위밸브(22a)가 개방되어 있는 고유위조절관(22)을 경유하여서 저유탱크(300)로 유출됨에 따라, 세탁조(200) 내의 용제는 고유위조절관(22)과 동일한 높이로서 정확하게 고유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탁작업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는 상기 배출관(11)의 배출밸브(12)를 개방시켜서 세탁조(200) 내의 모든 용제를 저유탱크(300)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고안의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100)는, 세탁조(200) 하부에 일원화된 용제 유출통로를 이루는 배출관(11)을 통하여 심하게 오염된 용제가 유출되도록 하고, 그 배출관(11)을 통하여 유출되는 용제가 상기 사이펀관(21)을 따라 고,중,저유위조절관(22)(23)(24) 중에 선택되어 밸브를 개방시킨 측의 유위조절관을 통하여 역류 유출되게 하여서, 첫째 세탁작업시 세탁조내에서 회전되는 세탁드럼에 의하여 세탁조로부터 용제가 임의로 유출됨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세탁조내에 용제를 설정치의 유위로서 정확하게 유지시켜서, 세탁물 양과 종류에 비례한 정량의 용제로서 세탁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며, 둘째 세탁조 하부 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오염된 용제를 우선적으로 배출시켜서 세탁조내에는 상대적으로 오염 정도가 심하지 않은 용제만이 잔류되도록 배려함으로써, 세탁작업시 비교적 청정한 용제로서 세탁물을 정상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하여서 세탁능력을 배가시켜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200) 하부에 연통되어서 저유탱크(300)와 연결 배관되는 배출관(11) 중간에 배출밸브(12)를 설치하여 상기 세탁조(200) 내의 용제를 유출시켜 주는 배출관로부(10)와, 상기 세탁조(200)와 저유탱크(300) 사이에 별도의 용제 유출경로를 이루어서 세탁물의 량이나 종류에 따라 용제의 유위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설된 유위조절관로부(2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유위조절관로부(20)는 상기 배출관로부(10)의 배출밸브(12)를 사이에 두고 일정한 높이로서 상부로 우회하여서 배출관(11)과 연결 배관되도록 사이펀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사이펀관(21)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마다 각각 중간에 고,중,저유위밸브(22a)(23a)(24a)들을 설치하여서 된 고,중,저유위조절관(22)(23)(24)들을 단계별로 수평하게 연통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세탁조(200) 하부에 일원화된 용제 배출통로를 이루는 배출관(11)을 경유한 용제가 상기 사이펀관(21)을 타고 역류되어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관(21) 상부 일정위치에 상향 돌출되도록 착설된 공기흡출구(25)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KR2019940027042U 1994-10-17 1994-10-17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KR0128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042U KR0128266Y1 (ko) 1994-10-17 1994-10-17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042U KR0128266Y1 (ko) 1994-10-17 1994-10-17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13U KR960014613U (ko) 1996-05-17
KR0128266Y1 true KR0128266Y1 (ko) 1998-12-01

Family

ID=1939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042U KR0128266Y1 (ko) 1994-10-17 1994-10-17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2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291Y1 (ko) * 1999-10-15 2000-03-15 서연환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13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24715B2 (en) Washing machine
KR101467882B1 (ko) 세탁기
US4467627A (en) Pump for a dispensing system for an automatic washer
US11781258B2 (en) Method of operating a fabric treating appliance
KR0128266Y1 (ko) 드라이크리닝기의 세탁조 유위조절장치
US5046337A (en) Clothes washer and dry cleaner
US7322217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3949576A (en) Liquid flow diversion arrangement
US4307742A (en) Ion exchanger regeneration water supply control unit
SE457916B (sv) Nivaareglerings- och saekerhetsanordning foer disk- och tvaettmaskiner
JP200710515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341997A (ja) 洗濯機等の液剤供給装置
KR101103109B1 (ko) 세탁장치
KR200161002Y1 (ko) 세탁기용 세탁조의 가이드 휠터
CN101173449B (zh) 洗衣机的防止蒸汽逆流的控制方法
KR102200044B1 (ko) 세탁기
KR100415995B1 (ko) 세탁기
US11795605B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filtration assembly
JPS624315Y2 (ko)
KR960010686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JP2524871B2 (ja) オリフィストラップ装置
US3897806A (en) Liquid flow diversion arrangement
KR960009226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상부판 급수유로
CN1501998A (zh) 洗涤剂配送器改进的洗衣机
JPS62290498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