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979Y1 -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979Y1
KR0127979Y1 KR2019940038441U KR19940038441U KR0127979Y1 KR 0127979 Y1 KR0127979 Y1 KR 0127979Y1 KR 2019940038441 U KR2019940038441 U KR 2019940038441U KR 19940038441 U KR19940038441 U KR 19940038441U KR 0127979 Y1 KR0127979 Y1 KR 0127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reference point
channel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941U (ko
Inventor
박옥배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40038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979Y1/ko
Publication of KR960025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31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2Scanning of subscriber line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대역 ISDN망에서 S기준점의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S기준점의 통신상태 모니터링을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 및 프로토콜 상태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S기준점 모니터링을 PC접속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에 편리성 및 신뢰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제1도는 종래의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연결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구성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음성처리부의 상세블럭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데이터 통신처리부의 상세블럭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프로토콜 처리부의 상세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처리부 20 : 데이터통신 처리부
30 : 프로토콜 처리부 40 : 멀티플렉서
50 : 제1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 60 :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
70 : S인터페이스 접속부 80 : PC-BUS
90 : 공통메모리 100 : PC-BUS 인터페이스부
110 : 제1 직렬통신제어부 120 : 주메모리
130 : 주제어부 140 : 제2 직렬통신제어부
본 고안은 광대역 ISDN망에서 S기준점의 통신상태를 모니터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S기준점의 통신상태를 모니터하는 경우에 음성신호와 데이타 신호및 프로토콜(Protocol)상태를 선택적으로 모니터 하도록 한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기준점 인터페이스를 위한 S인터페이스(1), S인터페이스상의 프로토콜을 모니터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부(2),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받아들이는 키보드(3), 모니터링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 키보드(3)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5) 및, S기준점의 모니터링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모니터 장치를 첨부된 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D)를 망종단장치(B)와 ISDN단말장치(C) 사이의 송신단(TX)과 수신단(RX)에 각각 접속한 후 키보드(3)를 통하여 동작모드로 설정하여 모니터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ISDN단말장치(C)에서 망종단장치(B)를 통해 호를 시도하면 호제어정보가 ISDN망의 송수신데이타인 2B + D채널중 D채널을 통해 ISDN망(A)과 ISDN단말장치(C)간에 송수신된다. 이때 모니터 장치(D)의 S인터페이스부(1)를 통해 D채널 정보만을 프로토콜 처리부(2)에 접속시켜 프로토콜을 모니터하여 모니터 정보를 메모리(5)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디스플레이부(4)에 나타내므로써 ISDN망에서 S기준점상의 D채널 프로토콜을 모니터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ISDN망 S기준점 모니터 장치는 ISDN망에서 S기준점상의 2B + D채널중 D채널 프로토콜만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B채널을 통해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상태를 모니터할 수 없으며, 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니터 정보를 다양한 포맷으로 출력하지 못하고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한 포맷으로만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ISDN망의 S기준점상의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2B +D채널 모두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송수신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및 프로토콜 상태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하며 PC인터페이스를 통해 PC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모니터 정보를 사용자에게 다양하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ISDN망 S기준점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S인터페이스 접속부를 통해 ISDN망의 S기준점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2B+D채널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와; B채널상의 음성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음성처리부와; B채널상의 데이터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통신 처리부와; D채널 프로토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2B+D채널을 인가받아, 2B채널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처리부나 데이터통신처리부에 전달하고, D채널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와; PC측의 버스를 정합하기 위한 PC-버스인터페이스부와; 상기 PC의 직렬통신포트에 대하여 직렬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직렬통신제어부와; 프로그램과 모니터링 정보의 일시 저장을 위한 주메모리와; 상기 PC-버스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모니터링 정보와 PC로 부터의 모니터링 명령을 저장하는 공통메모리와; 상기 주메모리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직렬통신제어부와 제1 직렬 통신제어부를 통해 PC의 직렬통신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PC-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PC의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음성처리부, 데이터통신 처리부 및 프로토콜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플레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장치 구성블럭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음성 처리부의 상세블럭도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데이터 통신 처리부의 상세블럭도이며,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프로토콜 처리부의 상세블럭도이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성처리부(10), 데이터통신 처리부(20), 프로토콜 처리부(30), 멀티플렉서(40), 제1,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50)(60), S인터페이스접속부(70), PC(Personal Computer)-버스(80), 공통 메모리(90),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 제1, 제2 직렬통신제어부(110)(140), 주메모리(120) 및 주제어부(130)로 이루어지는데, 제1,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50)(60)는 망종단 장치와 S기준점을 접속하여 송수신되는 2B + D채널의 데이터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음성처리부(10)는 송수신되는 2B + D채널에서 B채널상의 음성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통신 처리부(20)는 2B + D채널에서 B채널상의 데이터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처리부(30)는 송수신되는 2B + D채널에서 D채널의 프로토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플렉서(40)는 제1 및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50)(60)를 통해 송수신 2B+D채널을 인가받아, 주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2B채널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처리부(10)와 데이터통신 처리부(20)에 전달하고, D채널을 프로토콜 처리부(30)에 전달한다.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는 PC(개인용 컴퓨터)의 PC-버스(80)를 인터페이싱 한다. 제1, 제2 직렬통신제어부(110)(140)는 PC의 직렬통신포트에 대하여 직력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주제어부(130)는 모니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주메모리(120)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모니터링된 정보를 일시 저장한다.
또한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처리부(10)는 S기준점 상에서 송신(TX)과 수신(RA)선로를 통해 PCM(Pulse Code Modulation)데이타 형태로 인가되는 음성정보를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코덱(11,12)과, 코덱(11,12)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13)와, 핸드셋이나 스피커등의 수화기를 인터페이싱하여 혼합기(13)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수화기측에 전달하는 수화기 인터페이스부(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통신 처리부(20)는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4kbps를 포함한 그 이하의 속도로 통신하는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B채널 송수신데이타의 속도를 변환하는 속도변환부(21)(24)와, 직렬 데이타 통신 상태를 모니터 하기 위한 직렬통신제어부(22)(25)와,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프레임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모니터하기 위한 HDLC제어부(23)(26)로 구성된다.
또한 프로토콜 처리부(30)는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LAPD제어부(31)(32)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C(개인용 컴퓨터)의 확장슬롯에 본 고안의 장치를 실장하고 구동 프로그램을 수행한 다음 제2도와 같이 망종단 장치와 ISDN단말장치간 송·수신선로에 병렬로 접속한다. PC상에서 실행되는 운용프로그램을 통해 음성채널이나 데이터채널 또는 프로토콜중 모니터 하고자 하는 정보형태를 선택하는 모니터링 명령을 인가하면, 이 명령은 DMA(Direct Memory Access)모드로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공통메모리(90)에 저장되고 주제어부(130)에 인터럽트를 걸어 정보를 읽어가도록 한다. 주제어부(130)는 이를 받아 모니터하고자 하는 정보형태에 따라 음성처리부(10), 데이터통신 처리부(20), 프로토콜 처리부(30)중 해당 처리부를 구동하고, 음성 통신과 데이터통신을 모니터하는 경우에는 멀티플렉서(40)를 통해 2개의 B채널중 어느채널을 모니터할지를 선택한 후 ISDN망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50)(60)를 통해 S기준점 송·수신 회선상의 정보를 모니터한다.
이때, 음성처리부(10)에 의한 음성모니터의 경우에는 제4도의 코덱(11)(12)은 B채널로 들어오는 PCM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해당 코덱(11)(12)을 통해 인가되는 송·수신 회선상의 2개의 음성신호를 혼합기(13)를 통해 혼합한후, 수화기 인터페이스부(14)를 통해 핸드셋이나 스피커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통신 처리부(20)에 의한 데이터통신 모니터의 경우에는,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채널상의 데이터통신 속도에 따라 속도변환부(21)(24)를 해당속도로 설정하고, 직렬 데이터 통신에 대해서는 직렬통신 제어부(22)(25)를 통해 B채널상의 데이터통신을 모니터하고, HDLC 프레임 통신에 대해서는 HDLC제어부(23)(26)를 통해 B채널상의 데이터 통신을 모니터하여, 이 정보를 주메모리(120)에 임시 저장하였다가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공통메모리(90)에 저장하고 PC측으로 인터럽트를 걸어 이 정보를 읽게한다. 이때 PC측의 응용프로그램은 이를 받아 사용자가 보기 편하게 PC의 출력장치(모니터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프로토콜 처리부(30)에 의한 프로토콜 모니터의 경우에는,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B + D채널중 D채널을 모니터하는데 LAPD제어부(31)(32)를 통해 D채널 정보를 모니터하고, 모니터 정보는 데이타 통신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PC측으로 전달, 출력하게 된다.
또한, PC와 본 고안 장치간의 모니터정보의 통신방법은 위에서 기술한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는 방법과 직렬통신제어부(110)(140)를 통하는 방법 2가지가 있으며 이 경우 PC측 직렬통신제어부와 본 고안의 장치 주제어부의 직렬통신제어부 2개가 존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ISDN망의 S기준점에서 2B + D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이나 데이터 또는 프로토콜등 어느 정보 형태나 모니터가 가능하고 PC접속기능을 갖고 있어 데이터나 프로토콜 정보를 PC로 전송하여 PC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된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ISDN망 S기준점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S인터페이스 접속부(70)를 통해 ISDN망의 S기준점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2B+D채널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50,60)와; B채널상의 음성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음성처리부(10)와; B채널상의 데이타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통신 처리부(20)와; D채널 프로토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부(30)와; 상기 제1 및 제2 S기준점 인터페이스부(50,60)를 통해 2B+D채널을 인가받아, 2B채널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처리부(10)나 데이터통신 처리부(20)에 전달하고, D채널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30)에 전달하는 멀티플렉서(40)와; PC측의 버스를 정합하기 위한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와; 상기 PC의 직렬통신포트에 대하여 직렬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직렬통신제어부(110,140)와; 프로그램과 모니터링 정보의 일시저장을 위한 주메모리(120)와; 상기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에 접속되어 모니터링 정보와 PC로 부터의 모니터링 명령을 저장하는 공통메모리(90)와; 상기 주메모리(120)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직렬통신제어부(140)와 제1 직렬 통신제어부(110)를 통해 PC의 직렬통신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PC-버스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상기 PC의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음성처리부(10), 데이터통신 처리부(20) 및 프로토콜 처리부(3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멀티플렉서(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10)는, 상기 멀티플렉서(40)를 통해 입력되는 B채널에 실린 송수신 PCM데이타 형태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코덱(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코덱(11,12)을 통해 자신에게 인가되는 송수신음성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13)와; 핸드셋이나 스피커등의 수화기를 상기 혼합기(13)의 출력단에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수화기 인터페이스부(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처리부(20)는, 64kbps를 포함한 그 이하의 속도로 통신하는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플렉서(40)를 통해 입력되는 B채널에 실린 송·수신 데이터의 속도를 변환하는 속도변환부(21, 24)와; 상기 속도변환부(21, 24)를 통해 인가되는 송·수신 직렬 데이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직렬통신제어부(22,25)와; 상기 속도변환부(21,24)를 통해 인가되는 HDLC 프레임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HDLC제어부(23, 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KR2019940038441U 1994-12-30 1994-12-30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KR0127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441U KR0127979Y1 (ko) 1994-12-30 1994-12-30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441U KR0127979Y1 (ko) 1994-12-30 1994-12-30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41U KR960025941U (ko) 1996-07-22
KR0127979Y1 true KR0127979Y1 (ko) 1998-11-02

Family

ID=1940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441U KR0127979Y1 (ko) 1994-12-30 1994-12-30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9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41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298B1 (ko) 호출 프로세싱 서비스 제공방법 및 부가 호출 프로세싱 장치
EP0772370B1 (en) Communications adapter with multiple interface options
US5459788A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analog telephone in ISDN terminal adapter
EP0821502A2 (en) Time division duplex with infrared link
US4965795A (en) D channel monitor
JPH056945B2 (ko)
US59565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number of RS232/RS485 transmission converters required for communicating between a PC and a plurality of instruments
JPH03101436A (ja) 多点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と出力回路
US4640992A (en) Speech response interface circuit
JPH0218742B2 (ko)
KR0127979Y1 (ko) Isdn망에서 s기준점 모니터 장치
KR100380632B1 (ko) 키폰 시스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KR0154714B1 (ko) 컴퓨터 통합 모듈장치
JPH1196111A (ja) Rs232cインタフェースとrs485インタフェースとの信号変換装置
KR100336511B1 (ko) 아이에스디엔 데이터 단말 장치
KR19980074941A (ko) 컴퓨터용 can 제어카드 및 그 제어방법
JPH01292991A (ja) Isdn端末アダプタ装置
JPS6139796B2 (ko)
GB2174864A (en) Telecommunication port sharing apparatus
KR100269260B1 (ko) 에이티엠용 가입자 단말장치
KR19980084885A (ko) Isdn전화기 장치
KR0176391B1 (ko) 디지탈 통신장치와 단말기간의 속도정합방법
KR100266382B1 (ko) 교환기의원격모니터링장치
JP2623521B2 (ja) 分散処理形電子交換機
KR19990079839A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무선 단말기 접속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