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893Y1 -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893Y1
KR0127893Y1 KR2019940016762U KR19940016762U KR0127893Y1 KR 0127893 Y1 KR0127893 Y1 KR 0127893Y1 KR 2019940016762 U KR2019940016762 U KR 2019940016762U KR 19940016762 U KR19940016762 U KR 19940016762U KR 0127893 Y1 KR0127893 Y1 KR 0127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heel
chain wheel
brak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034U (ko
Inventor
이충락
Original Assignee
이충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락 filed Critical 이충락
Priority to KR2019940016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893Y1/ko
Publication of KR960005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22Tensioning devices
    • D02H13/26Tensioning devices for threads in warp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에는 물레의 양단부에 브레이크 드럼을 설치하고 이곳에 모타에 의해 동작하는 밴드브레이크를 설치구성함으로써, 패드의 마모가 극심하여 자주교체해주어야 하는 폐단이 따랐고, 장력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파우더브레이크를 다수의 증속 체인휠을 이용하여 물레의 축과 연결설치하고 빔잉로울러에 장력검출센서를 설치하되 권취빔(4)에서 필요로 하는 장력을 장력설정기로 미리 셋팅시킨후 권취빔(4)의 작동중 수시로 변화하는 빔잉로울러의 회전수변화를 장력검출센서가 감지하여 이값을 비교기를 통하여 브레이크로 전달되게 함으로서 장력유지를 원활하게 할수 있도록 한것임.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물레에 실을 권취하거나 또는 물레에 권취된 실을 빔에 다시권취할때 균일한 장력을 유지시켜 권취시킬때 사용하는 것임.

Description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본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제5도는 본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경기 2 : 모타
3 : 정경기의 물레 4 : 권취빔
5 : 중심축 6 : 빔잉로울러
7,10,13, : 소형체인휠 8,11 : 큰체인휠
12 : 파우더 브레이크 14,15 : 체인
16 : 증폭기 17 : 장력 검출센서
18 : 장력설정기 19 : 텐션로울러
본고안은 정경기의 자동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정경기의 주축일단부에 큰체인휠을 축설하고, 이 일측에 대·소체인휠을 축설한 종동축을 축설하며, 이 종동축 일측에 파우더 브레이크와 연결설치된 소형체인휠을 축설하여, 주축의 회전수가 종동축을 거쳐 파우더브레이크와 연설된 소형체인휠로 전달될때는 최소한 4배이상 증속된 상태로 전달되게 하여 파우더브레이크가 원활하게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결국 정경기물레가 회전하면서 실을 권취시킬때 장력의 변화가 발생하거나, 정지시켜야 할때는 전기한 파우더브레이크가 작용하여 자동적으로 장력조절을 해줄수 있을뿐만 아니라 정지시켜주게 되고, 또 정경기물레의 후방에 설치된 빔잉로울러(Beaming Roller)에 장력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장력설정기로서 원하는 장력을 설정함으로써 빔에 실을 권취할때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실을 귄취하도록하여 자동으로 보다 효과적인 장력유지와 더불어 제어를 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정경기의 장력조절 및 제어는 주로 정경기물레의 일측단부에 브레이크 드럼의 작용을 할수 있는 휠을 설치하고, 이 상부 외주연에 모타에 의해 동작하는 밴드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정경기 물레가 회전하면서 실을 권취할 때 장력의 변화가 발생하면 밴드가 모타에 의해 작용하여 드럼외주면에 마찰됨으로써 장력유지 및 제어를 하였던바,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즉, 밴드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밴드의 패드부분이 브레이크 드럼을 형성하는 휠에 마찰되는 것이어서 패드부분의 마모가 극심하고, 이에따라 패드를 자주 교체하여 주어야 하였기에 번거로웠음은 물론 자주 정경기가 작동될수 없는 상황(패드교체시)에 놓이게 되며, 물레에 권취된 실을 빔에 권취시킬때 수시로 변화할 수밖에 없는 장력의 조절 및 제어하는 기능도 상기 밴드브레이크가 수행하게 되는데, 이경우에도 수시로 변하는 장력을 밴드브레이크가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전술한 종래 정경기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는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휠과 밴드의 마찰작용을 이용하여 제어 및 장력조절을 해주는 종래 정경기에서와 같이 패드등을 수시로 자주교체해주어야 하는등의 번거로움이 일소되게 하여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장력조절 및 제어를 할수 있는 자동장력조절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수백개의 보빈으로 부터 정경기 물레에 실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장력이나 또는 정경기물레에 권취되어 있는 실을 빔에 권취할때 발생하는 장력변화를 효율적으로 검출 조절하여 안정적인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기위해 정경기 일측에 파우더브레이크를 설치하고, 대·소의 체인휠을 여러개 설치하여 적어도 정경기물레의 속도가 4배이상 증속된 상태로 파우더브레이크에 전달되어 물레에 권취되는 실의 장력조절 및 제어를 할수 있도록 하며, 빔잉로울러에 장력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장력설정기로서 설정된 장력 이상으로 빔잉로울러가 작용할때 발생하는 전압의 양을 증폭기로서 증폭시켜 메인모타를 조절시켜줄수 있도록 함으로써 빔에 실을 권취시 균일한 장력을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모타(2)의 구동에 의해 감속회전하는 정경기물레(3)와 권취빔(4)으로 구성되는 정경기(1)에 있어서, 물레(3)의 중심축(5) 양단부에 빔잉로울러(6)와 연결구동하는 소형체인휠(7)과 큰 체인휠(8)을 축설하고, 이 일측부에 종동축(9)을 축설하여 소형체인휠(10)과 큰 체인휠(11)을 축설하며, 종동축(9) 일측에 통상의 파우더브레이크(12)를 축설하되, 상기 파우더브레이크(12)의 축선단에 소형체인휠(13)을 축설하여 큰체인휠(8)과 소형체인휠(10)을 체인(14)으로 연결설치하고, 큰체인휠(11)과 파우더브레이크(12)의 체인휠(13)은 체인(15)으로 각각 연결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빔잉로울러(6)에 장력검출센서(17)를 설치하되 권취빔(4)에서 원하는 장력을 장력설정기(18)로 미리 설정하여 물레(3)로 부터 권취빔(4)에 실을 권취시킬때 수시로 변하는 장력을 빔잉로울러(6)에 설치된 장력검출기센서(17)가 검출하게 하고 증폭기(16)가 검출값을 증폭시켜 파우더브레이크(12)로 전달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파우더브레이크(12)가 물레(3)의 회전을 적절히 제어시킬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균일한 장력이 유지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5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빔잉로울러(6)와 권취빔(4) 사이에 또 다른 텐션로울러(19)를 설치하여, 권취빔(4)에 실이 권취될때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이 텐션로울러(19)가 오르락 내리락하면서 파우더브레이크(12)를 작동시키는 로드셀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텐션장치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21은 베어링, 22는 벨트, 23, 24, 25, 26은 폴리, 27은 프레임, 28은 보조프레임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경기물레(3)에 실을 권취할때나 또는 물레에 권취된 실을 빔에 다시 권취코자 할때는 필연적으로 장력의 잦은 변화가 예견되는데, 이를 조절 및 제어하는 장치는 파우더브레이크(12)로 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파우더브레이크(12)는 전기식 브레이크로서 회전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그 기능이 발휘되는데 반하여, 정경기 물레의 회전속도는 통상 80 회전 ∼ 120 회전은 넘지 못하므로, 파우더브레이크(12) 자체를 정경기물레(3)에 직렬연결하여서는 제기능을 발휘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을 정경기물레의 회전속도를 증속시켜 파우더브레이크가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장력조절 및 제어를 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형체인휠(7)과 (10)(13) 및 큰체인휠(8)과 (11)을 적절히 연동시켜 정경기의 회전속도가 적어도 소형체인휠(13)에 도달하면 4배이상 증속되게 하여 물레(3)와 빔잉로울러의 회전에 따른 전압의 변화에 파우더브레이크가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정경기물레(3) 또는 권취빔(4)에 실이 권취될때 장력유지를 균일하게 유지시켜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물레(3)로 부터 권취빔(4)에 실이 권취될때 장력설정기(18)로써 필요로 하는 장력을 미리 설정셋팅시켜 놓으면 빔잉로울러(6)를 통하여 실이 권취빔(4)으로 이송권취되는 과정에서 빔잉로울러(6)의 회전수 변화를 장력검출센서(17)가 감지 검출하게 되고 이 값을 증폭기(16)가 증폭시켜 파우더브레이크(12)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파우더브레이크가 적절히 작용하면서 장력유지를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시켜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5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빔잉로울러(6)와 권취빔(4) 사이에 또 다른 텐션로울러(19)를 설치하였으므로, 권취빔(4)에 실이 권취될때 변화하는 장력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하고 이때 로드셀이 장려의 변화를 감지하여 브레이크(12)를 동작시켜줌으로써 장력조절을 할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 또한 효율적이고도 안정적인 장력조절을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정경기 물래가 회전하면서 수백가닥의 실을 권취할때 작용하는 장력이나 권취빔에 실을 권취할때 작용하는 장력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유지시켜줄수 있는 것으로, 구성에 있어서 신뢰성이 매우 높고 사용중 오동작이 없으며, 종래와 같이 밴드브레이크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패드를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전혀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모타(2)의 구동에 의해 감속회전하는 정경기물레(3)와 권취빔(4)으로 구성되는 정경기(1)에 있어서, 물레(3)의 중심축(15) 양단부에 빔잉로울러(6)와 연결구동하는 소형체인휠(7)과 큰체인휠(8)을 축설하고, 이 일측에 종동축(9)을 축설하여 소형체인휠(10)과 큰체인휠(11)을 축설하여 큰체인휠(8)과 소형체인휠(10)을 체인(14)으로 연결하고 종동축(9) 일측에 파우더브레이크(12)을 축설하되, 상기 파우더브레이크(12)의 축 선단에 소형체인휠(13)을 축설하여 큰체인휠(11)과 파우더브레이크(12)의 체인휠(13)은 체인(15)으로 각각 연결설치하여 물레의 회전수를 크게 증속시킨 상태로 파우더브레이크(12)에 작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경기의 자동장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빔잉로울러(16)에 장력검출기센서(17)를 설치하되 상기 장력검출센서(17)는 증폭기(16)를 거쳐 파우더브레이크(12)와 연결시키고, 또 증폭기(16)에는 원하는 장력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장력설정기(18)를 설치하여 빔잉로울러(6)의 회전수변화에 따라 파우더브레이크(12)가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경기의 자동장력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빔잉로울러(6)와 권취빔(4) 사이에 로드셀과 연결된 텐션로울러(19)를 설치하여 장력조절을 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경기의 자동장력 조절장치.
KR2019940016762U 1994-07-05 1994-07-05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KR0127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762U KR0127893Y1 (ko) 1994-07-05 1994-07-05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762U KR0127893Y1 (ko) 1994-07-05 1994-07-05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34U KR960005034U (ko) 1996-02-16
KR0127893Y1 true KR0127893Y1 (ko) 1998-12-01

Family

ID=1938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762U KR0127893Y1 (ko) 1994-07-05 1994-07-05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8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77Y1 (ko) * 2008-09-26 2011-07-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통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28Y1 (ko) * 2010-10-07 2013-01-10 (주)서목통상 장력 균일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77Y1 (ko) * 2008-09-26 2011-07-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통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34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777B1 (ko) 드레드의 장력 조절용 장치
KR101402824B1 (ko) 투-포-원 트위스터 또는 케이블링 머신의 스핀들 작동방법
EP1717182B1 (en) Yarn slack eliminating device in textile machine
US5517736A (en) Teaseling and/or fluffing machine for fabric and knitwork with tension control
EP3257984B1 (en) Yarn feeder with motorized yarn winding spool
CN106087142B (zh) 倍捻机或并捻机的锭子运行方法和相应的倍捻机或并捻机
JPS6337019B2 (ko)
KR20130030327A (ko) 실 공급장치
KR0127893Y1 (ko) 정경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US4638840A (en) Weft feeder for weaving looms
US4056239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positive thread supply
IL44347A (en) Thread suppl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EP3575253B1 (en) Yarn feeder with motorized yarn-winding spool and rewinding system
US3642219A (en) Thread storage and deliver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US2019036731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ng Conditions of a Textile Machine, and a Textile Machine
US3687384A (en) Thread delivery and storage device
US5400581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operation of spinning elements
US3695062A (en) Magnet drive for take up spool spindle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4832270A (en) Yarn feeding device
US3385044A (en) Textile strand-spinning apparatus
KR20060111752A (ko)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US40250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nstant tension material
EP0933457B1 (en) Device for feeding an elastically extendable yarn to hosiery knitting machines
JPH0268316A (ja) 精紡機または撚糸機用接線ベルト駆動装置
SE505661C2 (sv) Fournissör med trådbr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