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528B1 -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528B1
KR0127528B1 KR1019940029542A KR19940029542A KR0127528B1 KR 0127528 B1 KR0127528 B1 KR 0127528B1 KR 1019940029542 A KR1019940029542 A KR 1019940029542A KR 19940029542 A KR19940029542 A KR 19940029542A KR 0127528 B1 KR0127528 B1 KR 012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orting
television
broadcasting station
channe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402A (ko
Inventor
이장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2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528B1/ko
Publication of KR96002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채널을 방송국이름과 해당 방송국의 전문성 있는 주제별로 에디트하여 소팅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채널번호와 해당 채널의 방송국이름 및 해당 채널의 전문 주제를 에디트하는 에디트단계와, 상기 에디트단계에서 에디트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국이름 또는 주체 또는 채널번호 별로 소팅하여 각 소팅항목에 대해 에디트된 내용에 따른 화면메뉴를 표시하는 소팅단계 및, 상기 소팅단계에서 표시되는 화면메뉴를 통해 특정 채널번호가 선택되면 그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채널을 자동선국하는 선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이 채용되는 텔레비전의 요부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에 의해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1도의 소팅테이블메모리에 격납되는 데이터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입력부12 : 키입력판단부
14 : 제어부16 : 제어데이터메모리
18 : 소팅테이블메모리20 : 튜너
22 : 중간주파증폭부24 : 영상신호처리부
26 : OSD발생부28 : OSD출력부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의 채널을 방속국이름과 방송주제별로 소팅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텔레비전방송은 일반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는 일반 텔레비전방송과 위성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는 위성텔레비전방송 및 케이블을 통해서 수신되는 케이블 텔레비전방송으로 구분되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방송을 수신할 경우에는 그 만큼 수신채널도 많아지게 된다. 여기서, 케이블 텔레비전방송의 경우에는 수십개의 채널이 할당되어 각 채널마다 교육, 뉴스, 스포츠 등으로 전문성 있는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채널선국방법에 의해서는 채널번호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십개의 채널이 할당되는 경우 소망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텔레비전의 채널을 방송국이름과 해당 방송국의 전문성 있는 주제별로 에디트하여 소팅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채널번호와 해당 채널의 전문 주체를 에디트하는 에디트단계와, 상기 에디트단계에서 에디트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국이름 또는 주제 또는 채널번호별로 소팅하여 각 소팅항목에 대해 에디트된 내용에 따른 화면메뉴를 표시하는 소팅단계 및, 상기 소팅단계에서 표시되는 화면메뉴를 통해 특정 채널번호가 선택되면 그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채널을 자동선국하는 선택단계로 이루어진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각 채널마다 채널번호와 방송국이름 및 해당 방송국의 전문성 있는 주제별로 에디트해 놓고서, 채널번호별로 소팅할 경우에는 채널번호순으로 소팅되어 표시되고, 방송국이름별로 소팅할 경우에는 방송국이름의 예컨대 알파벳 순서로 소팅되며, 주제별로 소팅할 경우에는 해당 주제의 채널만이 소팅되어 표시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이 채용되는 텔레비전의 요부블럭도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예컨대 리모트컨트롤러 또는 본체의 전면 하단부의 제어패널에 설치되어,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채널키 및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를 갖추고서 제어입력을 행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본 발명에서는 채널소팅을 위한 채널소팅키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12는 상기 키입력부(10)로부터의 키입력을 디코딩하여 해당 키를 판별하는 키입력판단부이고, 14는 상기 키입력판단부(12)로부터의 판별신호에 따라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제어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기의 소팅테이블메모리(18)를 억세스하거나, 하기의 튜너(20)에 선국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하기의 OSD 발생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이다.
또, 참조부호 16은 텔레비전의 전체적인 제어데이터와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어데이터메모리이고, 18은 채널을 소팅하기 위한 채널소팅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소팅테이블메모리이다. 여기서, 상기 소팅테이블(18)에 격납되는 데이터포맷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채널마다 예컨대 7바이트(byte)를 할당하고, 처음 1바이트에 채널번호를 할당하며, 그 다음의 5바이트를 방송국이름을 할당하여 예컨대 방송국 이름을 알파벳표기에 의해 5자로 설정하도록 하고, 마지막 1바이트중 4비트(bit)에 24= 16가지의 주제를 할당하며, 3비트를 예약용으로 할당하며, 마지막 1비트를 해당 채널이 현재의 소팅방식에 의해 선택된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할당한다.
또한, 참조부호 20은 상기 제어부(14)로부터의 선국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국데이터에 따라 채널선국을 행하는 튜너이고, 22는 상기 튜너(20)에서 선국된 텔레비전방송신호를 증폭하여 복합영상신호를 하기의 영상신호처리부(24)로 출력하는 중간주파증폭부이며, 26은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문자나 기호로 이루어진 신호를 발생시켜서 OSD 출력부(28)에서 RGB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처리부(24)로 출력함으로써 화면상에 OSD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4)는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여 RGB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OSD 출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합영상신호인 RGB신호와 상기 OSD 출력부(28)로부터의 RGB 신호를 혼합하여 RGB 출력을 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먼저 단계 S1에서 제어부(14)는 키입력부(10)로부터의 키입력이 채널소트키입력인지를 판단하여 채널소트키입력이면 채널소트키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채널소트의 메인 메뉴데이터를 발생시켜 OSD 출력부(28)와 영상신호처리부(24)를 매개로 RGB 출력을 행함으로써 화면상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채널소트용 메인메뉴가 표시되도록 한 다음에 제어가 다음의 단계 S2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2에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키입력부(10)의 예컨대 채널 선국용 업키(또는 다운키)가 조작되면 상기 OSD발생부(26)를 제어하여 제3도에 나타낸 커서(▶)가 윗쪽(또는 아래쪽)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커서(▶)를 에디트 모드의 측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키입력부(10)로부터의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가 조작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에디트모드가 선택되면 제어가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에디트모드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에디트모드 메뉴의 OSD 데이터를 발생시켜 OSD 출력부(28)와 영상신호처리부(24)를 매개로 RGB 출력을 행함으로써 화면상에 제4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에디트모드용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 다음에, 상기 키입력부(10)의 번호키입력으로 소망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번호키를 조작하여 채널번호기록을 행하고 나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하면 커서가 방송국이름란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커서가 방송국이름란으로 이동하면 하단에 알파벳과 지움 및 완료로 구성된 서브메뉴가 표시되고 이 서브메뉴에도 커서가 표시되는데, 여기서 하단의 커서를 예컨대 채널선국용 업/다운키를 조작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소망하는 방송국명의 알파벳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함으로서 방속국을 기록하고, 그후 하단의 커서를 완료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하면 상단의 커서가 주제란으로 이동하게 된다(단계 S4). 이러한 상태에서 제4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 예컨대 제목으로서 MUSIC, MOVIES 등으로 구성된 서브메뉴가 표시되고 이 서브메뉴에도 커서가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하단의 커서를 예컨대 채널선국용 업/다운키를 조작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소망하는 주제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함으로써 주제를 기록하고, 그후 하단의 커서를 완료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하면 상단의 커서가 채널번호란으로 이동하게 된다(단계 S5).
이와 같이 에디트를 행한 상태에서 커서가 채널번호란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채널소트키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4)는 에디트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상기한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채널소트키가 조작되면 에디트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한 단계 S2로 진행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채널소트의 메인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2에서 에디트모드가 선택되지 않고 소트방법모드가 선택되었다면(단계 S7) 상기 제어부(14)는 소트방법모드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소트방법모드 메뉴의 OSD데이터를 발생시켜 상기 OSD출력부(28)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4)를 매개로 RGB 출력을 행함으로써 화면상에 제5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트방법모드용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 다음에, 상기 키입력부(10)의 예컨대 채널선국용 업키(또는 다운키)가 조작되면 상기 OSD 발생부(26)를 제어하여 제5도(A)에 나타낸 커서(▶)가 윗쪽(또는 아랫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해서 커서(▶)를 방송국이름의 측부로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키입력부(10)로부터이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가 조작되는지를 판단하여 된다(단계 S8).
상기 단계 S8에서 방송국이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4)는 방송국이름모드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이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소팅테이브메모리(18)를 억세스하여 현재 에디트되어 있는 모든 방송국이름을 독취하여 예컨대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화면상에 제5도(B)와 같이 방송국 이름이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9). 이러한 상태에서 커서(▶)를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소망하는 방송국이름의 측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4)는 해당 방송국이름에 대응하는 채널선국용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이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튜너(20)에 해당 방송국을 선국하기 위한 선국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화면상에 해당 방송국의 채널이 선국되도록 한다(단계 S10, S11). 그후 제어는 상기한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단계 S8에서 방송국이름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가 단계 S12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4)는 주제모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쇼트방법모드 메뉴의 OSD 데이터를 발생시켜 OSD 출력부(28)와 영상신호처리부(24)를 매개로 RGB출력을 행함으로써 화면상에 제5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트방법모드용 메뉴가 표시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서(▶)를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소망으로 주제(예컨대 MUSIC)의 측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소팅테이블메모리(18)를 억세스하여 상기 선택된 주제(예컨대 MUSIC)에 대응하는 현재 에디트되어 있는 모든 채널을 독취하여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화면상에 제5도(D)와 같이 주제별 채널이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13). 그후, 제어가 상기한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2에서 주제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가 단계 S14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4)는 채널번호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채널번호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가 상기한 단계 S8로 진행하는 반면, 채널번호모드가 선택되면 채널번호모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데이터메모리(16)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소팅테이블메모리(18)를 억세스하여 현재 에디트되어 있는 모든 채널을 독취하여 상기 OSD발생부(26)로 출력함으로써 화면상에 제5도(E)와 같이 채널번호가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15). 그후, 제어가 상기한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7에서 소트방법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가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4)는 선택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제3도 참조], 이때 선택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한 단계 S2로 되돌아가는 반면, 선택모드가 선택되면 제어가 단계 S17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7에서 상기 제어부(14)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소트방법(방송국이름모드, 주제모드, 채널번호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존의 소트방법이 방송국이름모드이면 제5도(B)와 같은 메뉴화면을, 기존의 소트방법이 주제모드중에서 MUSIC 이면 제5도(D)의 메뉴화면을, 기존의 소트방법이 채널번호모드이면 제5도(E)의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소망하는 채널의 측부로 이동시키고 나서 엔터키(예컨대 채널소트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튜너(20)에 해당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선국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화면상에 해당 채널이 선국되도록 한다(단계 S19). 그후 제어는 상기한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 채널마다 채널번호와 방송국이름 및 해당 방송국의 전문성 있는 주제별로 에디트해 놓고서, 채널번호별로 소팅할 경우에는 채널번호순으로 소팅되어 표시되고, 방송국이름별로 소팅할 경우에는 방송국이름의 예컨대 알파벳 순서로 소팅되며, 주제별로 소팅할 경우에는 해당 주제의 채널만이 소팅되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수십개의 채널이 할당되는 경우에도 소망하는 방송채널의 선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채널번호와 해당 채널의 방송국이름 및 해당 채널의 전문 주체를 에디트하는 에디트단계와, 상기 에디트단계에서 에디트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국이름 또는 주체 또는 채널번호 별로 소팅하여 각 소팅항목에 대해 에디트된 내용에 따른 화면메뉴를 표시하는 소팅단계 및, 상기 소팅단계에서 표시되는 화면메뉴를 통해 특정 채널번호가 선택되면 그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채널을 자동선국하는 선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팅단계는 채널번호에 의한 소팅인 경우 상기 에디트단계에서 에디트된 채널에 대해 채널번호순으로 소팅하여 채널번호메뉴를 표시하고, 방송국이름에 의한 소팅인 경우 상기 에디트 단계에서 에디트된 방송국이름에 대해 방송국이름의 알파벳 순서로 소팅하여 방송국이름 메뉴를 표시하며, 주제에 의한 소팅된 경우 상기 에디트단계에서 에디트된 다수의 주제에 대해 해당 주제의 채널만을 소팅하여 주제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KR1019940029542A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KR012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542A KR0127528B1 (ko)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542A KR0127528B1 (ko)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402A KR960020402A (ko) 1996-06-17
KR0127528B1 true KR0127528B1 (ko) 1997-12-29

Family

ID=1939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542A KR0127528B1 (ko)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5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402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1649Y2 (ja) チャンネル選局装置
JP3053192B2 (ja) 信号選択システム
US6072535A (en) Sidebox display channel loop controller
MXPA04002796A (es) Receptor de transmision.
JP2001197396A (ja) テレビジョンチャンネルのスペクトルをサーフする方法
JP3965239B2 (ja) 受信装置
KR20070085925A (ko) 방송 수신기의 제어를 위한 선택 목록 생성
JPS58196738A (ja) 放送番組検索処理システム
EP1014710B9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program in a broadcast
JPH10191193A (ja)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20010929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presenting program information
JP200016577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27528B1 (ko) 텔레비전의 채널소팅방법
EP1067784A2 (en) Method of selecting alphanumeric characters using a display means
KR100219670B1 (ko) 한국형 예약 녹화 데이터를 이용한 화면의 표시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0258033B1 (ko) 인터넷 텔레비전의 프로그램채널에 의한 단축접속제어방법
WO2004003790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0605026B1 (en) Data entry and display system
GB2392336A (en) Receiver apparatus which allows transitions between different EPG modes
JPH1098656A (ja) 衛星放送受信装置
JP3054582B2 (ja) Fm多重放送受信機における行先選択方法および行先選択装置
JPS60170375A (ja) ビデオテキスト受信装置
JP200211876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KR20020032806A (ko) 디지털 방송의 정보 표시방법
KR100327258B1 (ko) 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