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86Y1 -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86Y1
KR0127386Y1 KR2019950020728U KR19950020728U KR0127386Y1 KR 0127386 Y1 KR0127386 Y1 KR 0127386Y1 KR 2019950020728 U KR2019950020728 U KR 2019950020728U KR 19950020728 U KR19950020728 U KR 19950020728U KR 0127386 Y1 KR0127386 Y1 KR 0127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ensor
light
light rece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91U (ko
Inventor
이근양
양길호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2019950020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386Y1/ko
Publication of KR970010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3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using scattering effects, e.g. stimulated Brillouin or Raman effects
    • H01S3/302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using scattering effects, e.g. stimulated Brillouin or Raman effects in an optical fibre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충격·압력변화 및 변이등의 물리량 변화를 감지하는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광학적 경로를 하나로 하여 오차발생을 감소시켜주는 한편 통신용의 저가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한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밀집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 접속시켜 자극에 대해 입사광의 위상변화를 발생시키는 센서용 광섬유; 상기 센서용 광섬유의 단부측 둘레에 씌워지는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 상기한 센서용 광섬유의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의 단부에 일측을 접속시켜, 입사되는 모드 간섭광을 분산시키는 제한매체; 상기 제한매체의 타측에 상기 센서용 광섬유에 대향하여 설치하여 상기 제한매체를 통과한 일부의 광만을 입사시켜 전달하는 수광용 광섬유; 상기 수광용 광섬유의 선단부측에 씌워지는 수광용 광섬유 커넥터부; 및 상기 수광용 광섬유의 선단부측에 씌워지는 수광용 광섬유 커넥터부; 및 상기 수광용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광을 이용하여 모드분산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도면은 본 고안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를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저 다이오드 2 : 센서용 광섬유
3 :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 4 : 제한매체
5 : 수광용 광섬유 6 : 수광용 광섬유 커넥터부
7 : 수광소자
본 고안은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충격·압력변화 및 변이동의 물리량 변화를 감지하는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제안되어 있는 마하젠더 간섭을 이용한 광센서는 기준부와 감지부의 두가지 광학적 경로를 이용하여 광의 위상차를 측정함으로써 감지부에 인가된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나 상기 방식에 의하면 2개의 광학적 경로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온도나 기타 환경의 차이에 의한 오차 발생이 많으며 또한 값비싼 부품을 이용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광학적 경로를 하나로 하여 오차발생을 감소시켜주는 한편 통신용의 저가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한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밀집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 접속시켜 자극에 대해 입사광의 위상변화를 발생시키는 센서용 광섬유; 상기 센서용 광섬유의 단부측 둘레에 씌워지는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 상기한 센서용 광섬유와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의 단부에 일측을 접속시켜, 입사되는 모드 간섭광을 분산시키는 제한매체; 상기 제한매체의 타측에 상기 센서용 광섬유에 대향하여 설치하여 상기 제한매체를 통과한 일부의 광만을 입사시켜 전달하는 수광용 광섬유; 상기 수광용 광섬유의 선단부측에 씌워지는 수광용 광섬유 커넥터부; 및 상기 수광용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광을 이용하여 모드분산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를 제공해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은 본 고안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의 개략도이다.
참조번호 1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지시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는 780nm 파장의 밀집 광원으로서 일정량의 광원을 환경에 무관하게 후술하는 센서용 광섬유에 입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에는 센서용 광섬유(2)를 연결한다. 상기 센서용 광섬유(2)로는 구배형 다중모드 광섬유(graded index multimode optical fib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코어 직경은 50㎛이며 또는 NA는 0.2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극을 받으면 모드의 위상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와 접속되지 않은 센서용 광섬유(2)의 단부측에는 이음관(furrule) 형태의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3)를 씌워준다. 상기 센서용 광섬유(2)와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3)의 단부에는 제한매체(4)를 설치한다. 상기 제한매체(4)는 디스크 형태로 성형하되 상기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용 광섬유(2)와 후술하는 수광용 광섬유 사이에 위치하여 양 광섬유 사이에 거리를 주어 유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센서용 광섬유(2)의 단부에서 나오는 다중모드 얼룩패턴의 일부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한매체(4)의 타측에는 수광용 광섬유(5)를 상기 센서용 광섬유(2)의 연결위치에 대향하도록 설치하되 설치되는 단부에는 역시 이음관 형태의 수광용 광섬유 커넥터부(6)를 씌워준다. 상기 수광용 광섬유(5)는 상기 센서용 광섬유(2)와 동일하게 구배형 다중모드 광섬유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 매체(4)를 거쳐 제거되지 않은 일부의 광을 후술하는 수광소자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광용 광섬유(5)의 타단부에는 수광소자(7)을 연결한다. 상기 수광소자(7)는 상기 수광용 광섬유(5)를 통해 전달되는 모드분산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바꾸어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따른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의 작용을 살펴본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 입사된 광은 센서용 광섬유(2)를 통해 진행하다가 외부자극(충격·압력변화 및 변이등)에 의해 위상변화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상변화가 일어난 광은 상기 제한매체(4)를 거치면서 분산되게 되며 상기 제한매체(4)의 중심부에 설치된 수광용 광섬유(5)에 의해 분산된 중심부의 광만이 상기 수광용 광섬유(5)에 입사되게 된다. 한편, 이 입사된 광량은 상기 센서용 광섬유(2)에 가해지는 외부자극의 크기에 대응하여 나타난다. 한편, 상기 수광용 광섬유(5)를 통해 입사된 광의 양은 상기 수광소자(7)에 의해 전기신호로 바꾸어지며 이는 가해지는 자극의 세기를 표시해준다.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에 의하면 광학적 경로를 하나로 하여 온도나 기타 환경의 차이에 의한 오차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저가의 통신용 부품을 사용하여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해준다.

Claims (1)

  1. 밀집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1);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에 접속시켜 자극에 대해 입사광의 위상변화를 발생시키는 센서용 광섬유(2); 상기 센서용 광섬유(2)의 단부측 둘레에 씌워지는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3); 상기한 센서용 광섬유(2)와 센서용 광섬유 커넥터부(3)의 단부에 일측을 접속시켜, 입사되는 모드 간섭광을 분산시키는 제한매체(4); 상기 제한매체(4)의 타측에 상기 센서용 광섬유(2)에 대향하여 설치하여 상기 제한매체(4)를 통과한 일부의 광만을 입사시켜 전달하는 수광용 광섬유(5); 상기 수광용 광섬유(5)의 선단부측에 씌워지는 수광용 광섬유 커넥터부(6); 및 상기 수광용 광섬유(5)를 통해 전달되는 광을 이용하여 모드분산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수광소자(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KR2019950020728U 1995-08-11 1995-08-11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KR0127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728U KR0127386Y1 (ko) 1995-08-11 1995-08-11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728U KR0127386Y1 (ko) 1995-08-11 1995-08-11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91U KR970010691U (ko) 1997-03-29
KR0127386Y1 true KR0127386Y1 (ko) 1998-12-01

Family

ID=1942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728U KR0127386Y1 (ko) 1995-08-11 1995-08-11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3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197A (ko) * 2001-10-30 2003-05-09 엘지전선 주식회사 기가비트 이더넷 시스템에서 다중모드 광섬유의 전송거리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91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3967A (en) Fiber optic sensor having a multicore optical fiber and an associated sensing method
US5419636A (en) Microbend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
US5359405A (en) Hybrid fiber optic sensor including a lead out optical fiber having a remote reflective end
Kim et al. Fiber Bragg grating strain sensor demodulator using a chirped fiber grating
CN105758567B (zh) 基于3乘3耦合器的光纤干涉型压力传感器
GB2155623A (en) Fibre optic sensor
EP1114296B1 (en) Fiberoptic coupler-sensor and a measurement method
CN106556574B (zh) 在线双光束干涉型光纤折射率传感器及折射率检测装置
CN106680535A (zh) 基于光纤布喇格光栅反射谱特性实现激光拍频的差动型光学加速度计
CN103852191B (zh) 一种折射率不敏感的光纤温度传感器
US4727254A (en) Dual wavelength microbend sensor
CN101833016B (zh) 基于熔嵌芯式双芯保偏光纤的微加速度传感器
JPH02116716A (ja) ファイバ光学センサ
CN101923102B (zh) 基于马赫与泽德干涉仪的光纤加速度计
KR0127386Y1 (ko) 다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자극감지센서
CN212721825U (zh) 一种基于温度敏感材料调制fp腔的光纤温度传感器
CN101846492A (zh) 双F-P腔与Mach-Zehnder组合干涉仪
CN1093640C (zh) 综合补偿型光纤电流传感器
JP2996704B2 (ja) 多モード干渉を有する光センサ
CN113777345A (zh) 气球形mzi传感器及其制作方法和基于mzi传感器的传感系统
CN101526376A (zh) 偏振光纤传感器
CN108254101A (zh) 一种偏振干涉式无源光纤温度传感器
CN111665220A (zh) 一种基于花生结构的无温度干扰m-z型折射率传感器
CN106403833A (zh) 一种利用纤芯失配干涉结构测量应变的方法
CN108844667A (zh) 用于测量弓网压力的光学mems压力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