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105Y1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105Y1
KR0127105Y1 KR2019950007534U KR19950007534U KR0127105Y1 KR 0127105 Y1 KR0127105 Y1 KR 0127105Y1 KR 2019950007534 U KR2019950007534 U KR 2019950007534U KR 19950007534 U KR19950007534 U KR 19950007534U KR 0127105 Y1 KR0127105 Y1 KR 0127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ressure sensor
hook
fastening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621U (ko
Inventor
노관호
Original Assignee
노관호
우성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관호, 우성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관호
Priority to KR2019950007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105Y1/ko
Publication of KR960034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 D06F33/08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substantially hydraulic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수위를 제어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부품 상호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줄이며, 세탁기의 모델에 관계없이 동일한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코일스프링이 수용되는 중공부 상부에 조절볼트를 나합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돌기와 케이싱의 훅이 체결되기 위한 훅체결부가 구비된 보빈과, 상면에 상기 보빈의 외형과 동일한 요입부를 갖고 외주에 커버의 적어도 2개 이상의 훅이 체결되는 단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주연이 수용되고 그 수용부 내주연에 케이싱의 단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훅체결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저면에 공기흡입구가 회동자제하게 내측으로 훅결합하는 체결부를 같은 하부커버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설치되는 퓨셔의 중앙면에 돌설되고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훅이 원통형의 코어 상면에 체결되는 코어체결주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압력센서
제1도는 종래 압력센서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압력센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압력센서 200 : 보빈
210 : 연장관 240 : 삽입돌기
245 : 훅체결공 300 : 케이싱
310 : 요입부 320 : 안내가이드
330 : 외향훅 350 : 단부
400 : 하부커버 410 : 체결훅
420 : 결합관 450 : 공기흡입구
460 : 환상패킹 500 : 다이어프램
530 : 코어체결주
본 고안은 세탁기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센서의 구성부품을 줄이고 그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압력센서 내부에 공기압이 전달되는 공기흡입구의 방향설정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에서 사용되는 수위감지 압력센서는 세탁조의 유입된 수위에 따라 변동되는 공기압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수위의 고저를 센싱한 후 세탁량에 비례하는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세탁조에 유입된 물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압에 의해 변화되는 1차적인 기구적인 위치변화를 2차적인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수위변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수위조절 기준점은 초기 발진주파수 설정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아울러 초기주파수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압력센서는 제1도에서와 같이 케이싱(10) 상면에 구비된 고정봉(11)에 코일(21)이 권선된 보빈(20)과 중공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브라켓(3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나사에 의해 조립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의 중공부에 내,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스프링(30)을 나합시키고 상기 캡스프링(40) 상부에 이후 설명할 코일스프링(5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60)가 나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 하부에는 공기압이 전달될 수 있는 공간과 공기압에 의한 기구적인 위치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커버(7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0)과 하부커버(7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면에 순차적으로 코일스프링(50), 캡코어(81), 코어(82) 및 푸셔(83)가 설치된 다이어프램(80)이 개재되며, 상기 하부커버(70)의 저면에는 세탁조의 공기압이 전달되는 공기흡입구(71)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 상면과 하부커버(7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링(90)이 설치되며, 상기 링(90)은 상기 다이어프램(80)과 하부커버(7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싱(10)과 하부커버(70)의 결합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압력센서는 본 고안과 대비하여 볼 때 동일 기능을 수행하지만 불필요한 부품이 추가되며,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 요인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하부커버(70)에 구비된 공기흡입구(71)는 일체로 사출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기 모델별 압력센서 위치에 따라 공기흡입구의 방향을 달리 생산하여야 함에 따른 제작비 가중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압력센서의 조립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 상호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의 모델에 관계없이 동일한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각 부품간의 상호 결합수단을 변형하고 공기흡입구가 회동자제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러한 압력센서는 코일스프링이 수용되는 중공부 상부에 조절볼트를 나합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돌기와 케이싱의 훅이 체결되기 위한 훅체결부가 구비된 보빈과, 상면에 상기 보빈의 외형과 동일한 요입부를 갖고 외주에 커버의 적어도 2개 이상의 훅이 체결되는 단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주연이 수용되고 그 수용부 내주연에 케이싱의 단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훅체결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저면에 공기흡입구가 회동자제하게 내측으로 훅결합하는 체결부를 같은 하부커버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설치되는 퓨셔의 중앙면에 돌설되고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훅이 원통형의 코어 상면에 체결되는 코어체결주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품수가 줄어들며, 아울러 부품상호간의 결합이 용이하여 조립의 간편성과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압력센서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의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압력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의 압력센서(100)는 크게 보빈(200), 케이싱(300) 그리고 하부커버(400)에 의해 외관 형상이 결정된다.
상기 보빈(200)은 평단면이 반타원형상이고 중앙에는 코일스프링(250)이 수용되는 중공부가 상면으로 돌출된 연장관(21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의 상부 내주연에는 코일스프링(250)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볼트(260)가 나사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장관(210)의 인접한 곳에는 압력센서의 초기 발진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공(220)이 보빈(200)에 권선된 코일(201)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공(220)에 주파수조절나사(230)를 나합시켜 상,하 이동에 의해 초기주파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케이싱(300)의 요입부(310)에 안내되도록 3곳에 삽입돌기(240)가 구비되며, 아울러 외주면 상부에는 케이싱(300)에 구비된 훅(311)이 체결되기 위한 훅체결공(245)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00)은 상면에 상기 보빈(200)을 수용하면서 이를 체결시키기 위해 보빈(200)과 외형 및 높이가 동일한 요입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부(310)에는 보빈(200)의 삽입돌기(240)가 안내되는 안내가이드(320) 및 훅체결공(245)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외향훅(330)과 보빈(200)의 상면에 체결되는 내향훅(340)이 한쌍씩 형성되고, 하부는 후술할 하부커버(400)와 동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주면은 원주방향으로 단부(3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400)는 상기 케이싱(300) 하부와 동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 상부에는 케이싱(300)의 단부에 훅결합하기 위한 체결훅(410)이 등간격을 이루며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후술할 공기흡입구(450)가 체결되는 원통형의 결합관(420)이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관(420) 내주면 상부에는 단턱(421)이 돌설되어 공기흡입구(450)의 체결에 이용된다.
상기 공기흡입구(450)는 하부커버(400) 저면에 돌설된 결합관(420)에 회동자제하게 삽입되어 체결되며, 이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관(420)의 단턱(421)에 체결되는 훅(45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결합관(420)과 공기흡입구(450)의 인접면을 기밀하게 하기 위한 패킹삽입홈(45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500은 다이어프램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다이어프램(500)의 상면에는 퓨셔(510)가 접면되어 있으며, 상기 퓨셔(510)의 중앙, 즉 보빈(200)의 중공부 직하방에는 코어(520)가 삽입체결되기 위한 코어체결주(530)가 돌설되고, 상기 코어체결주(530)의 상부에는 코어(20)의 상면에 체결되는 훅(531)이 탄발력을 갖고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다이어프램(500)은 케이싱(300)과 하부커버(400) 사이에 가장자리가 협착되어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순서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결합순서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편의상 다음의 순서로 결합함을 상기시킨다. 먼저 보빈(200)을 케이싱(300)의 요입부(310)에 상방에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보빈(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돌기(240)가 요입부(310)의 안내가이드(320)에 안내되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며 이의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케이싱(300)의 외향훅(330)이 보빈(200)에 형성된 훅체결공(245)을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아울러 내향훅(340)이 보빈(2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보빈(200)과 케이싱(300)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퓨셔(510)상에 돌설된 체결주(530)에 코어(520)를 훅결합시킨 다이어프램(500)을 하부커버(400)에 재치한 후 보빈(200)이 결합된 케이싱(300)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는 하부커버(400)에 케이싱(300)이 삽입되어 저면에 접촉되는 순간 하부커버(400)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체결훅(410)이 케이싱(300)의 단부(350)에 체결된다.
이후 하부커버(400)의 저면에 돌설된 결합관(420)에 공기흡입구(450)를 삽입하게 되는데 즉, 상기 공기흡입구(450)의 패킹삽입홈(452)에 환상패킹(460)을 끼운 상태에서 삽입하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훅(451)이 결합관(420)의 단턱(421)에 훅결합되어 전체적인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품들의 결합이 완료되면, 보빈(200)의 연장관(210)에 코어(520)의 부상을 제한하는 코일스프링(250)을 삽입한 후 조절볼트(260)를 상기 연장관(210)에 나합시키고 초기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조절나사(230)를 조절공(220)에 나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압력센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전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결합순서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지 코어가 체결된 다이어프램(500)을 케이싱(300)과 하부커버(400)사이에 협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의 결합체는 코어가 결합된 상태로 결합함은 결합순서와 관계없이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빈, 케이싱, 하부커버, 공기흡입구가 상호 훅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며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공기흡입구를 하부커버의 저면에 회동자제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 세탁기 모델에 따라 흡기구 방향을 달리하는 다수 모델의 압력센서를 생산하였던 것에 비해 본 고안은 흡기구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하나의 모델로 동일 주파수 특성을 갖는 압력센서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3)

  1. 수압실의 압력변화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변화에 의해 수압실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이 수용되는 중공부 상부에 조절볼트를 나합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돌기와 케이싱의 훅이 체결되기 위한 훅체결부가 구비된 보빈; 상면에 상기 보빈의 외형과 동일한 요입부를 갖고, 외주에 커버의 적어도 2개 이상의 훅이 체결되는 단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주연이 수용되고 그 수용부 내주연에 케이싱의 단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훅체결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저면에 공기흡입구가 회동자제하게 내측으로 훅결합하는 체결부를 갖는 하부커버; 상기 다이어프램에 설치되는 퓨셔의 중앙면에 돌설되고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훅이 원통형의 코어 상면에 체결되는 코어체결주; 를 포함한 압력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체결부의 공기흡입구사이에 외부와의 기밀유지용 패킹이 구비된 압력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훅체결부에 형성된 통공에 케이싱의 훅이 삽입되어 체결된 압력센서.
KR2019950007534U 1995-04-14 1995-04-14 압력센서 KR0127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534U KR0127105Y1 (ko) 1995-04-14 1995-04-14 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534U KR0127105Y1 (ko) 1995-04-14 1995-04-14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21U KR960034621U (ko) 1996-11-21
KR0127105Y1 true KR0127105Y1 (ko) 1998-12-15

Family

ID=1941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534U KR0127105Y1 (ko) 1995-04-14 1995-04-14 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1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5B1 (ko) * 2013-07-23 2014-10-06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급수제어를 위한 수위센서
WO2017135592A1 (ko) * 2016-02-01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240019633A (ko) 2022-08-04 2024-02-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센서 및 압력센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760B1 (ko) * 2000-12-29 2003-03-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수위센서
KR20170110388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압력 센서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5B1 (ko) * 2013-07-23 2014-10-06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급수제어를 위한 수위센서
WO2017135592A1 (ko) * 2016-02-01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US10941512B2 (en) 2016-02-01 2021-03-09 Lg Electronics, Inc. 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40019633A (ko) 2022-08-04 2024-02-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센서 및 압력센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21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105Y1 (ko) 압력센서
KR102471445B1 (ko) 압력 센서
US7703180B2 (en) Pressure botton
JPH0235024Y2 (ko)
JP2796084B2 (ja) 圧力センサー
US5880423A (en) Water level sensor
CN209894382U (zh) 压力传感器
JP3843386B2 (ja) 小型ポンプ
JPH021523Y2 (ko)
CN209235720U (zh) 浮子密封圈固定结构、蒸煮器具的盖组件及蒸煮器具
CN221007888U (zh) 一种感应探头外壳
CN218822593U (zh) 一种用于水位传感器与洗衣机的连接装置
JPH0225929Y2 (ko)
JP3689748B2 (ja) 注出ポンプ取付け用連結具
JPS63100464U (ko)
JPS5837322Y2 (ja) 携帯用液体容器
CN208366419U (zh) 一种改进的水位传感器定位组装结构
KR20160047123A (ko) 세탁기용 수위센서
CN211501734U (zh) 阀组件以及具有其的墨盒
KR20000049166A (ko) 맴브래인 펌프
CN212986181U (zh) 一种感应龙头结构
JPH021524Y2 (ko)
CN215779775U (zh) 筋膜枪
CN219825497U (zh) 马桶装饰盖
KR200224302Y1 (ko) 조립식 가구의 고정지주 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