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735Y1 -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735Y1
KR0126735Y1 KR2019940002160U KR19940002160U KR0126735Y1 KR 0126735 Y1 KR0126735 Y1 KR 0126735Y1 KR 2019940002160 U KR2019940002160 U KR 2019940002160U KR 19940002160 U KR19940002160 U KR 19940002160U KR 0126735 Y1 KR0126735 Y1 KR 0126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hototransistor
cover
stat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660U (ko
Inventor
양우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2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735Y1/ko
Publication of KR950025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에 대한 각각의 기능을 지시 및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마련되고 안내문구와 동작상태를 발광소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에 부착되어 버튼조작시 개방하는 덮개를 구비한 전자식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개방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에 의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가 '온'상태로 구동하는 반면에 상기 덮개의 폐쇄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상기 덮개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가 '오프'상태로 구동하는 덮개감지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온/오프상태에 연동하는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및 동작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적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프레이를 구동시키는 디스프레이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본 고안은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식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덮개가 폐쇄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표시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표시소자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냉장고에서는 각 기능을 지시 및 설정하거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전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그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가 부착되어 있다. 통상, 사용자는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기능버튼등을 조작하게 되며, 이러한 조작이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는 덮개의 의해 덮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도1에 따라 설명한다.
도1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를 블록구성도이고, 도1의 (b)는 각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는 220V의 교류전원(AC)을 저전압으로 강화시키며 저전압트랜스(LVT)로 양호하게 구현되는 교류전원 입력부(1)와, 전압강하된 교류전원을 전파정류하며 브리지다이오드(BD)로 양호하게 구현되는 정류부(2)와, 정류된 전원을 일정한 전압(Vcc)으로 변환 및 평활시키며 레귤레이터(3A) 및 콘덴서(C1)(C2)로 양호하게 구현되는 정전압부(3)와, 정전압(Vcc)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구동부(4)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는 교류전원이 공급되면 즉, 220V의 교류전원(AC)이 저전압트랜스(LVT)와 브리지다이오드(BD)를 거쳐 소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이어, 레귤레이터(3A)는 직류전원을 디스플레이구동부(4)에서 요구하는 레벨의 정전압으로 바꾸어 출력하고, 디스플레이구동부(4)는 레귤레이터(3A)에서 출력된 정전압을 구동전원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한 소정 기능의 설정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즉,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소정의 구동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버튼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문구 등을 발광소자를 통한 버튼조작이 실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표시동작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표시동작을 수행하는 표시소자인 발광소자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자식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한 표시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표시소자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제1도의 (b)는 각 부의 상세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밀폐형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3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3도의 (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라 마이콤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류전원입력부 2 : 정류부
3 : 정전압부 4 : 디스플레이구동부
10 : 디스플레이 20 : 덮개
30 : 포토트랜지스터 40 : 증폭부
50 : 마이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냉장고에 대한 각각의 기능을 지시 및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마련되고 안내문구와 동작상태를 발광소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에 부착되어 버튼조작시 개방하는 덮개를 구비한 전자식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개방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에 의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가 '온' 상태로 구동하는 반면에 상기 덮개의 폐쇄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상기 덮개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가 '오프'상태로 구동하는 덮개감지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온/오프상태에 연동하는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및 동작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적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덮개의 개패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밀폐형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3의 (a)와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종래와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장고에 대한 각각의 기능을 지시 및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마련되고 안내문구와 동작상태를 발광소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와, 상기 디스플레이(10)의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10)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미도시)와 포토트랜지스터(30)로 이루어지는 덮개감지부(30)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온/오프 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출력신호를 적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40)와, 상기 증폭부(40)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덮개(20)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구동부(4)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감지부(30)는 상기 덮개(20)이 개방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에 의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가 '온' 상태로 구동하는 반면에 상기 덮개(20)의 폐쇄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상기 덮개9(2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가 '오프'상태로 구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덮개(20)가 폐쇄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는 광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도1의 (a)와 같이 교류전원입력부(1)와 정류부(2) 및 정전압부(3)에 의해 정류된 정전압을 구동전원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시키는 동작에 있어서는 동등하게 적용하며, 단지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가 상기 증폭부(30)로부터 증폭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압부(3)의 출력전압(Vcc)을 상기 증폭부(40)를 통해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는 것이 다르다. 이를 도3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폭부(40)는 포토트랜지스터(30)의 에미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NPN형 트랜지스터(TRI) 및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의 코렉터에 연결된 동작저항(R3)과,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서 연결된 콘덴서(C4)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폭부(40)는 포토트랜지스터(30)의 에미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PNP형 트랜지스터(TR2) 및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연결된 동작저항(R4)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서 연결된 콘덴서(C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콘덴서(C3)와 콘덴서(C4)는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와 PNP형 트랜지스터(TR1)의 출력전압을 각각 평활한다.
상용자가 상기 덮개(20)를 개방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가 턴온됨에 따라 콜렉터와 에미터의 양단이 도통되어 콜렉터에 인가되는 전압(Va)이 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에미터의 양단이 도통되므로 동작저항(R3)(R4)을 통해 인가되는 상기 레귤레이터(3A)의 전압(Vcc)이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에 인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는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2)로부터 전압(Vcc)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덮개(20)는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가 턴오프됨에 따라 콜렉터에 인가되는 전압(Va)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TR1)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TRZ)는 상기 레귤레이터(3A)의 전압(Vcc)을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에 인가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는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도3의 (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에미터에 마이콤(50)을 직접 연결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덮개(20)를 개방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가 턴온되어 콜렉터에 인가되는 전압(Va)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디스플레이데이타를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는 상기 마이콤(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덮개(20)를 폐쇄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가 턴오프되어 콜렉터에 인가되는 전압(Va)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디스플레이데이타를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로 출력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는 상기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마이콤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에미터로부터 인가되는 전압값(Va)을 읽는다(제 101단계). 이어, 상기 마이콤(50)은 전압값(Va)과 설정된 산한값(x)이상인지를 판단함(제 102단계). 제 102단계의 판단결과 검출된 전압값(Va)이 상한값(x)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덮개(20)가 개방된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를 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4)로 출력한다(제 103단계). 제 102단계의 판단결과 검출된 전압값(Va)이 상한값(x)보다 작은 경우에는 검출된 전압값(Va)이 이 하한값(x-a) 이하인지를 판단한다(제 104단계). 제 104단계의 판단결과 전압값(Va)이 한한값(x-a)이하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0)를 오프시키는데(제 105단계) 반면에, 제104단계의 판단결과 전압값(Va)이 하한값(x-a)보다 크면 즉,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히스테리시스특성구간의 상한값(x)과 하한값(x-a) 사이의 전압값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0)를 이전의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시작단계로 리턴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덮개감지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조작을 행하지 않아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동작을 정지시킴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발광소자의 수명단축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장고에 대한 각각의 기능을 지시 및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마련되고 안내문구와 동작상태를 발광소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에 부착되어 버튼조작시 개방하는 덮개를 구비한 전자식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개방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에 의해 상기 포트트랜지스터가 '온' 상태로 구동하는 반면에 상기 덮개의 폐쇄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상기 덮개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포트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로 구동하는 덮개감지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온/오프상태에 연동하는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및 동작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출격신호를 적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를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의 트랜지스터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NPN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의 트랜지스터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PNP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2019940002160U 1994-02-04 1994-02-04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0126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160U KR0126735Y1 (ko) 1994-02-04 1994-02-04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160U KR0126735Y1 (ko) 1994-02-04 1994-02-04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660U KR950025660U (ko) 1995-09-18
KR0126735Y1 true KR0126735Y1 (ko) 1998-10-15

Family

ID=1937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160U KR0126735Y1 (ko) 1994-02-04 1994-02-04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7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660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3973A (en) Vacuum cleaner
KR920009180B1 (ko) 공기조화기의 전류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970000258B1 (ko)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JPH07123709A (ja) 電源装置
US55481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f lamp
KR0126735Y1 (ko) 전자식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0155106B1 (ko) 가습기의 실평수 계산을 통한 가습량 조절방법
US20040212604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signal
US20240152193A1 (en) Power supply with output port status monitoring module
KR0114761Y1 (ko) 정전판단회로버
KR200328425Y1 (ko) 텔레비젼/디브디 콤보의 트래이 자동 구동 장치
KR0182546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950012205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원 제어방법 및 장치
KR950011299B1 (ko) 저전압 인가시 부하보호회로
KR960010373Y1 (ko)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KR0125907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100229103B1 (ko) 필름 감기 방법 및 그 장치
JPH09121537A (ja) 電源短絡保護回路
KR20090107352A (ko) 댐퍼 제어 장치
KR0151560B1 (ko) 초음파 가습기의 가습제어방법
AU2004314789B2 (en) Air conditioner
JPH02305536A (ja) 電気掃除機
KR920005258Y1 (ko) 세탁기의 화재발생 방지회로
JP2000113789A (ja) 電磁継電器の駆動回路並びに電源投入制御回路
KR19980041571A (ko) 조도감지센서를 이용한 인버터 스탠드의 자동 조도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