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395Y1 - 건물용 셔터 - Google Patents

건물용 셔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395Y1
KR0126395Y1 KR2019960001039U KR19960001039U KR0126395Y1 KR 0126395 Y1 KR0126395 Y1 KR 0126395Y1 KR 2019960001039 U KR2019960001039 U KR 2019960001039U KR 19960001039 U KR19960001039 U KR 19960001039U KR 0126395 Y1 KR0126395 Y1 KR 0126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lat
slats
frame
transpar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811U (ko
Inventor
임종인
Original Assignee
임종인
주식회사한국비철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인, 주식회사한국비철무역 filed Critical 임종인
Priority to KR2019960001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395Y1/ko
Publication of KR970049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8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27Transparent slats or transparent sections in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66Rigid elements, e.g. hinges, hook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의 외부에 설치되는 건물용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높이는 한편, 실내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들은 단순한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일단 셔터를 내리게 되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실내를 관찰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외부의 일광이 차단되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하부프레임(10)(20) 사이에 투명창(30)이 삽착된 슬랫(1)들을 상,하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셔터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실내에 디스플레이된 제품을 항시 관찰토록 하여 제품의 선전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며, 셔터가 설치된 실내의 단열성 및 보온성, 방범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용 셔터(shutter)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측면을 도시한 분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랫 10 : 상부프레임
11 : 걸림구 12,22 : 안내홈
12a,22a : 돌기 13,23 : 나사공
14,24 : 삽지홈 14a,24a : 패킹
20 : 하부프레임 21 : 괘지홈
30 : 투명창 31 : 요홈
40 : 마감재 40a : 축공
41 : 스크류
본 고안은 문의 외부에 설치되는 건물용 셔터(shut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slat)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높이는 한편, 실내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는 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덧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슬랫들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한 슬랫들은 절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문틀의 상부에서 권회되어 보관되고, 셔터를 내리게 되면 슬랫과 슬랫 사이가 곧게 펴진 상태로 되어 문의 외부를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들은 단순한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일단 셔터를 내리게 되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실내를 관찰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외부의 일광(日光)이 차단되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된다.
특히, 셔터가 설치된 실내에 패션에 관계된 물품들이 진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내에 디시플레이된 물품들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가 없는 바, 셔터가 내려진 상태에서도 고객들이 실내를 관찰하여 내부의 물건들을 숙지토록 함으로써 선전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셔터가 요구된다.
물론,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금속제 파이프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로 실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셔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진 셔터는 외부의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되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과,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통해 그 내부에 설치된 유리문을 파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방범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의 단열효과 및 방범효과를 높이는 한편, 실내의 관찰이 용이하다록 한 건물용 셔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틀체 상부에는 걸림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내부에 돌기(12a)를 갖는 안내홈(12)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과, 틀체 하부에는 괘지홈(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부에 돌기(22a)를 갖는 안내홈(22)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20)과, 판재 상,하부에 요홈(31)이 형성된 투명창(30)이 상,하부프레임(10)(20)의 안내홈(12)(22) 사이에 삽착 고정되어 전체적인 슬랫(1)이 형성되며, 상기 슬랫(1)의 걸림구(11)가 또 다른 슬랫(1)의 괘지홈(21)에 끼워져 상,하로 연속 결합되고, 상,하부프레임(10)(20)의 양측에 체결되는 스크류(41)에 의하여 슬랫(1)의 양측에 마감재(4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틀체로 형성된 상부프레임(10) 상부에는 C형으로 형성된 걸림구(1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안내홈(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안내홈(12)의 내부에는 돌기(12a)가 돌출되어 있다.
틀체로 형성된 하부프레임(20)하부에는 C형의 괘지홈(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안내홈(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안내홈(22)의 내부에는 돌기(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프레임(10)(20)의 중심부에는 나사공(13)(23)이 각각 뚫려져 있다.
투명재질(투명아크릴 내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강화유리)의 판재로 형성된 투명창(30)의 상,하부에는 돌기(12a)(22a)들의 폭과 상응하는 크기의 요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투명창(30)의 상,하부가 상,하부프레임(10)(20)의 안내홈(12)(22) 사이에 삽착 고정되어 전체적인 슬랫(1)을 형성한다.
이때, 투명창(30)의 상,하부에 형성된 요홈(31)에는 안내홈(12)(22) 내부에 돌출형성된 돌기(12a)(22a)가 끼워져 상,하 방향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며, 상부프레임(10)의 하부와 하부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삽지홈(14)(24)에는 패킹(14a)(24a)이 삽지되어 투명창(30)을 안정적으로 지지토록 하고 밀폐력을 상승시켜 보온 및 단열성이 양호한 셔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하 프레임(10)(20)과 투명창(30)이 한 단위의 슬랫(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슬랫(1)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걸림구(11)가 또 다른 슬랫(1)의 하부프레임(20)에 형성된 괘지홈(21)에 끼워져 상,하로 연속 결합되어 전체적인 셔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슬랫(1)의 양측에는 마감재(40)를 접면시키고, 마감재(40)의 상,하부에 뚫려진 촉공(40a)을 통해 상,하부프레임(10)(20)의 나사공(13)(23)에 스크류(41)를 체결시키면 마감재(40)가 슬랫(1)의 양측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상,하부프레임(10)(20) 사이에 설치된 투명창(30)의 좌,우 방향 이탈 및 슬랫(1)과 슬랫(1)사이의 좌,우 방향이탈이 방지되어 전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셔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랫(1)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걸림구(11)가 또다른 슬랫(1)의 하부프레임(20)에 형성된 괘지홈(21)에 끼워져 상,하로 연속 결합되면, 슬랫(1)의 걸림구(11)가 또 다른 슬랫(1)의 괘지홈(21) 내부에서 소정의 각으로 회동되어 슬랫(1)과 슬랫(1)은 소정의 각 범위내에서 절첩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1)들이 권회되어 보관될 수 있고, 셔터를 내리면 슬랫(1)과 슬랫(1) 사이가 곧게 펴진 상태로 되어 문의 외부플 폐쇄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한 개의 단위를 이루는 슬랫(1)들이 연속결합되어 전체적인 셔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슬랫(1)을 구성하는 상,하부프레임(10)(20)의 사이에 삽착된 투명창(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실내를 선명하게 관챨할 수 있는 것인바, 실내에 디스플레이된 제품을 효과적으로 선전할 수 있는 것이며, 셔터가 내려진 상태에서도 외부의 일광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여 단열성 및 보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본 고안은 상기한 투명창(30)에 의하여 실내를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인바, 효과적인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완벽한 방범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하부프레임(10)(20) 사이에 투명창(30)이 삽착된 슬랫(1)들을 상,하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셔터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실내에 디스플레이된 제품을 항시 관찰토록 하여 제품의 선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며, 셔터가 설치된 실내의 단열성 및 보온성, 방범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틀체 상부에는 걸림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내부에 돌기(12a)를 갖는 안내홈(12)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과, 틀체 하부에는 괘지홈(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부에 돌기(22a)를 갖는 안내홈(22)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20)과, 판재 상,하부에 요홈(31)이 형성된 투명창(30)이 상,하부프레임(10)(20)의 안내홈(12)(22) 사이에 삽착 고정되어 전체적인 슬랫(1)이 형성되며, 상기 슬랫(1)의 걸림구(11)가 또 다른 슬랫(1)의 괘지홈(21)에 끼워져 상,하로 연속 결합되고, 상,하부프레임(10)(20)의 양측에 체결되는 스크류(41)에 의하여 슬랫(1)의 양측에 마감재(4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셔터.
KR2019960001039U 1996-01-25 1996-01-25 건물용 셔터 KR0126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039U KR0126395Y1 (ko) 1996-01-25 1996-01-25 건물용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039U KR0126395Y1 (ko) 1996-01-25 1996-01-25 건물용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811U KR970049811U (ko) 1997-08-12
KR0126395Y1 true KR0126395Y1 (ko) 1998-10-15

Family

ID=1944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039U KR0126395Y1 (ko) 1996-01-25 1996-01-25 건물용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3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811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449B2 (en) Double window having ventilation function
US4057941A (en) Modular green house construction
KR101891172B1 (ko) 코너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타입 커튼월
US4223499A (en) Decorative stained glass insert unit for windows
KR0126395Y1 (ko) 건물용 셔터
US3190411A (en) Window and door structural element
KR0126396Y1 (ko) 건물용 셔터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232521B1 (ko) 힌지도어
KR200369502Y1 (ko) 건물용 셔터의 투명 슬랫
JPH0828155A (ja) ビルディングの外壁
ES1246834U (es) Cajón aislante para persianas en vanos de ventanas y puertas de edificios
EP1122393B1 (en) Structure for wing and/or frame of a window frame
EP1298270A2 (en) Pivotable shutter panel assembly
KR0127028Y1 (ko) 합성수지재 여닫이 문 구조
JPH0315751Y2 (ko)
JP3137602B2 (ja) 連窓サッシ
JPH07109871A (ja) 連 窓
JPS6231582Y2 (ko)
JP2001020425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7213715B2 (ja) 壁面構成体
JP2023066747A (ja) サッシ構造
KR20070102130A (ko) 투명 셔터
EP4372199A1 (en) Roll-up mosquito net with a removable head
JPH01268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