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731B1 -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731B1
KR0125731B1 KR1019920010087A KR920010087A KR0125731B1 KR 0125731 B1 KR0125731 B1 KR 0125731B1 KR 1019920010087 A KR1019920010087 A KR 1019920010087A KR 920010087 A KR920010087 A KR 920010087A KR 0125731 B1 KR0125731 B1 KR 012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control
link
groove
crank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823A (ko
Inventor
정춘로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1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731B1/ko
Priority to CN93107046A priority patent/CN1037711C/zh
Priority to JP5138255A priority patent/JP2544079B2/ja
Priority to RU9393045140A priority patent/RU2082065C1/ru
Publication of KR94000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토출구(21a)내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면서 일측면이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외측면에 위치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과 각각 고정결합되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와,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외측면에 고정결합되어서 상측에 설치된 스테핑모터(2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과 구동크랭크암(28)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는 브라켓(24)과, 상기 브라켓(24)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크랭크암(28)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을 상·하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를 각도조절시키는 랭크(30)와, 상기 링크(30)의 슬라이드홈(30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구동크랭크암(28)의 위치를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한 링크(30)의 상·하직선운동이 구동크랭크암(28)에 전달되지 않도록 인장스프링(3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측 및 하측 슬라이드부재(3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풍향조절 블레이드에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발생되더라도 링크와 슬라이드부재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스테핑모터에는 그 외력이 일체 전달되지 않음은 물론, 스테핑모터의 파손 및 수명단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스테핑모터에 의해서 풍향조절 블레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각도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의한 풍향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풍향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풍향조절장치를 도시한 조립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동작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동작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풍향토출 그릴부재21a : 토출구
22,23 :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트24 : 브라켓
24a,24b : 제1 및 제2 미로홈,24c,24d,24e,24h,24i : 제1 내지 제6절곡편
25,26 :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a,26a : 크랭크축
27 : 스테핑모터28 : 구동크랭크암
28a : 크랭크축30 : 링크
30a,30b : 상측 및 하측 삽입홈30c : 슬라이드홈
30d : 요홈30e : 걸림턱
30f : 장공30g : 삽입공
30h : 탄성플랜지부31,32 : 상측 및 하측 슬라이드부재
31a,32a : 걸림돌기33 : 보강부재
34 : 인장스프링
본 발명은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향조절 블레이드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그 외력에 의한 힘이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향토출 그릴부재(1) 내측에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토출구(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풍향토출 그릴부재(1)의 외측에 대해 일측면에는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1)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브라켓(4)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의 측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회전축(2a)(3a)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고, 이들 회전축(2a)(3a)은 상기 브라켓(4)이 설치된 풍향토출 그릴부재(1)의 측면과 브라켓(4)을 관통해서 브라켓(4)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홀(부호 도시안됨)에 삽입되어 연동되도록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의 타측에는 각각 크랭크축(5a)(6a)이 일체로 돌설되어서 후술하는 링크에 각각 삽입되어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브라켓(4)의 상부 및 중간정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이 작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를 상, 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줄 때 제1 및 제2피동크랭크암(5)(6)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도록 경사지게 돌설된 절곡편(4a)(4b)(4c)이 커팅가동에 의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이 브라켓(4)의 하부측단부에서 일정높이에는 이면에 설치된 스테핑모터(7)의 구동축(7a)이 관통되어서 구동크랭크암(8)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부호도시안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4e)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브라켓(4)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받침대(4f)가 절곡형성되어서 그 받침대(4f)의 상부면에 대해 후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링크(10)는 상기 구동크랭크암(8)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에 동력을 전달시켜 주도록 하부에는 상기 구동크랭크(8)의 타측에 돌설된 크랭크축(8a)이 끼워지는 요홈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링크(10)의 상측 및 중간정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에 돌설된 크랭크축(5a)(6a)이 끼워지도록 삽입구멍(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요홈부(10a)에서 소정높이에는 상기 구동크랭크암(8)에 돌설된 크랭크축(8a)에 일단부가 설치되는 인장스프링(11)의 타단부가 걸리도록 걸림돌기(10b)가 절곡형성되어 있고, 또 링크(10)의 후측면에는 보강편(10c)이 직각되게 절곡형성하여서 그 보강편(10c)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4)의 하부에 절곡형성된 받침대(4f)의 상부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9)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절곡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는, 설정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에 따른 연소상태 및 온도변화등에 따라 정해진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스테핑모터(7)로 보내면, 스테핑모터(7)는 그 값만큼 회전하여 구동크랭크암(8)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은 인장스프링(11)에 의해 인장력을 갖도록 설치된 링크(10)에 전달됨과 동시에 링크(10)의 상부 및 중간정도에 연결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이 상기한 링크(10)의 직선운동만큼 회전운동함에 따라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은, 제1 및 제2 회전축(2a)(3a)을 중심으로 상, 하 운동(조절)이 되어진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는, 스테핑모터(7)의 작동에 의해 구동크랭크암(8)의 상승되고, 이 구동크랭크암(8)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링크(10)에 의해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5)(6)이 이동시에 상승됨에 따라 제1 및 제2 회전축(2a)(3a)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가 풍향토출 그릴부재(1)의 토출구(1a)에 대해 수직되게 위치된 상태, 즉 제2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제2도에 표시된 화살표 “P”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가 임의적인 힘(외력)을 받을 경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가 회전할려는 작용에 의해 구동크랭크암(8)과 고정결합된 구동축(7a)에 무리한 비틀림응력이 발생되고, 그 비틀림응력이 스테핑모터(7)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핑모터(7)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부터 입력된 일정한 값만큼 구동축(7a)을 회전시켜 줄 수 없어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의 각도가 변화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스테핑모터(7)의 수명단축 및 파손등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풍향조절 블레이드에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발생되어라도 스테핑모터에 그 외력이 일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서 스테핑모터의 파손 및 수명단축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스테핑모터가 풍향조절 블레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각도조절시켜 줄 수 있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풍향토출 그릴부재의 외측면에 위치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과 각각 고정결합되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와,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의 외측면에 고정결합되어서 상측에 설치된 스테핑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과 구동크랭크암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크랭크암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을 상, 하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를 각도 조절시키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구동크랭크암의 위치를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한 링크의 상하직선운동이 구동크랭크암에 전달되지 않도록 인장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풍향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서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풍향조절장치를 도시한 조립측면도이며,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동작전과 동작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3도면 내지 제6도에 있어서, 참조부호(21)은 도시하지 않는 난방기기에 고정부착되는 풍향토출 그릴부재로서, 이 풍향토출 그릴부재(21)내측에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되도록 토출구(2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출구(21a)를 형성하는 일측테두리에는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축(22a)(23a)이 끼위지도록 지지홈(21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외측에 대해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여러개의 크랭크암에 의해 링크가 상하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가 각도조절되도록 브라켓(24)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때, 브라켓(24)의 중간 및 하부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의 제1 및 제2회전축(22a)(23a)의 중간부분이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홈(21b)에 끼워지면서 그 선단부분이 상기 브라켓(24)을 통해서 브라켓(24)의 외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이 일측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연동되도록 제1 및 제2 미로홈(24a)(24b)이 절결형성되어 있고, 이들 미로홈(24a)(24b)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22a)(23a)이 안치되는 하부홈을 중심으로 하부 및 중간정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이 작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를 상, 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줄때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의 회전방경을 규제하도록 경사지게 돌설된 제1 내지 제4절곡편(24a)(24d)(24e)(24f)이 각각 커팅가공에 의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절고편(24c)(24d)은 제1 피동크랭크암(25)의 스토로크를 규제하고 제3 및 제4 절곡편(24e)(24f)은 제2 피동크랭크암(26)의 스트로크를 규제하도록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있다.
또, 브라켓(24)의 상부측에는 이면에 설치된 스테핑모터(27)의 구동축(27a)이 관통되어서 구동크랭크암(28)의 일측단에 형성된 삽입홈(28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부(24g)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부(24g)의 상측 및 하측단부에는 상기 구동크랭크암(28)이 작동함에 따라 후술하는 링크가 상, 하방향으로 작동될 때 구동크랭크암(28)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도록 경사지게 돌설된 제5 및 제6 절곡편(24h)(24i)이 각각 커팅가공에 의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에 풍향토출 그릴부재(21)가 고정결합된 브라켓(24)의 반대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는 난방기기에 접촉되어서 여러부재들이 결합고정된 브라켓(24)을 채결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나사구멍(24i)이 형성된 고정부(24k)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24)의 제1 절곡판(24c)과 제2 절곡편(24d)과, 제3 절곡편(24e)과 제4 절곡편 (24f)과의 각각사이에는 브라켓(24)의 이면에 위치되는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에 형성된 나사구명(21c)을 통해 체결나사(20)가 체결조립되도록 나사구명(24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곡편(24d)이 커팅가공에 의해 형성된 절결부의 하부측에 대해 이면에는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측면에 형성된 미로홈(21d)의 좌측에는 끼워짐과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브라켓(24)의 상부이동에 의해 미로홈(21b)의 상부에 걸림에 따라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측면에 대해 브라켓(24)의 정확한 체결조립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ㄴ자 돌기부(24m)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브라켓(24)의 상부측 이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측면에 고정결합된 브라켓(24)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크랭크암(28)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5)을 상, 하 방향으로 작동시켜줌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가 상, 하방향으로 각도조절 시켜줄 수 있는 링크(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링크(30)는 이들 구동 및 피동크랭크암(28)(25)(26)의 타측단에 일체로 돌설된 크랭크축(28b)(25a)(26a)에 의해 상측, 중간 및 하부에 각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링크(30)는 전체길이에 대해 상측 및 중간정도에는 측면에는 볼때 H자형의 상측 및 하측 슬라이드부재(31)(32)가 각각 끼워지는 상측 및 하측삽입홈(30a)(30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측 및 하측 삽입홈(30a)(30b)의 사이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슬라이드부재(31)(32)가 각각 상측과 하측방향으로 양분되어 상, 하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홈(30c)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30c)의 중앙에 대해 양측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슬라이드부재(31)(32)가 슬라이드홈(30c)에 대해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 하슬라이드딩될 때 그 작동범위를 규제하도록 내측에 요홈(30d)이 형성된 걸림턱(30e)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고, 상기하부삽입홈(30b)의 하측과 맨하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쿠랭크암(25)(26)의 타측단에 일체로 돌설된 크랭크축(25a)(26a)이 끼위지면서 유동가능케 결합되도록 장공(30f)과 삽입홈(30g)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측의 요홈(30d)에는 상기 링크(30)의 중앙이 벌어져서 슬라이드홈(30c)에 끼워진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가 걸림턱(30e)을 통해 양분된 슬라이드홈(30c)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 ㄷ자형의 보강부재(33)가 끼워지며, 또 상기 삽입공(30g)에는 상기 제2 피동크랭크암(26)에 돌설된크랭크축(26a)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에 요홈 이 형성된 탄성플랜지부(30h)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과 하측슬라이드부재(31)(32)의 상, 하측에는 각각 인장스프링(34)의 양단부가 걸리도록함에 따라 링크(30)의 걸림턱(30e)내의 슬라이드홈(30c)에 위치한 구동크랭크암(28)의 크랭크축(28a)을 향해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가 탄성력을 갖도록 각각 걸림돌기(31a)(32a)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풍향조절장치는 설정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에 따른 연소상태 및 온도변화에 따라 정해진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스테핑모터(27)로 보내면, 스테핑모터(27)는 그 값만큼 회전하여 스테핑모터(27a)의 구동축(27a)에 고정결합된 구동크랭크암(28)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을 갖는 구동크랭크암(28)의 타측에 돌설된 크랭크축(28a)은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의 걸림돌기(31a)(32a)에 걸려지는 인장스프링(34)의 인장력에 의해 안쪽으로 좁혀지도록 작용을 하는 상측과 하측슬라이드부재(31)(32)에 의해서 링크(30)의 걸림턱(30e)의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0c)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링크(30)를 상, 하 방향으로 동작시켜 주게 되며, 또 이 링크(30)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의 측면에 돌설된 제1 및 제2 회전축(22a)(23a)과 고정결합되어서 크랭크작동하는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의 크랭크축(25a)(26a)을 동시에 상, 하 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줌에 따라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토출구(21a)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 조절시켜 주게 된다.
이때, 풍향조절 블레이드(21)의 토출구(21)의 토출구(21a)내에 상기한 작동에 의해 제1 및 제2 풍향조절블레이드(22)(23)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된 제4도 및 제5도의 상태에서 제6도에 표시된 화살표(R) 방향으로 제1 풍향조절 블레이드(22) 또는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3) 중에서 어느 쪽이든 회전외력이 임의적으로 발생되면, 그 회전외력에 의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된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의 측면에 일체로 돌설된 제1 및 제2회전축(22a)(23a)과 고정결합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을 하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들 피동크랭크암(25)(26)의 작동에 의해 링크(30)는 하강하게 되며, 또 상기 링크(30)의 하강작동에 의해 구동크랭크암(28)의 크랭크축(28a)의 상측과 하측면에 면접촉된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는 인장스프링(34)의 인장력을 받으면서 상하 벌어지게 된다. 즉 상측 슬라이드부재(31)는 전기적인 신호가 오프됨에 따라 스테핑모터(27)에 의해 일정한 위해에 정지된 구동크랭크암(28)의 크랭크축(28a)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랭크(30)의 하강에 의해 링크(30)의 슬라이드홈(30c)과 슬라이딩되고, 또 하측슬라이드부재(32)는 링크(30)가 하강할 때 링크(30)의 슬라이드홈(30c)에 대해 중앙에 일체로 돌설된 걸림턱(30e)에 의해서 상기 링크(30)와 동시에 하강되므로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의 어느방향으로 의한 회전이 발생 되더라도 스테핑모터(27)에는 외력에 의한 회전력이 일체 전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는, 풍향조절 블레이드에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발생하더라도 링크와 슬라이드부재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스테핑모터에는 그 외력이 일체 전달되지 않으므로 스테핑모터의 파손 및 수명단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스테핑모터에 의해서 풍향조절블레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각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토출구(21a)내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면서 일측면이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외측면에 위치한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과 각각 고정결합되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와; 상기 풍향토출 그릴부재(21)의 외측면에 고정결합되어서 상측에 설치된 스테핑모터(27)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과 구동크랭크암(28)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는 브라켓(24)과; 상기 브라켓(24)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크랭크암(28)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피동크랭크암(25)(26)을 상, 하 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를 각도조절 시키는 링크(30)와; 상기 링크(30)의 슬라이드홈(30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구동크랭크암(28)의 위치를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풍향조절 블레이드(22)(23)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한 링크(30)의 상, 하직선운동이 구동크랭크암(28)에 전달되지 않도록 인장스프링(3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30)는 전체길이에 대해 상측 및 중간중도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가 각각 끼위지는 상측 및 하측삽입홈(30a)(30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측 및 하측삽입홈(30a)(30b)의 사이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가 각각 상측과 하측방향으로 양분되어 상, 하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홈(30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30c)의 중앙에 대해 양측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가 슬라이드홈(30c)에 대해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 하슬라이딩될 때 그 작동범위를 규제하도록 내측에 요홈(30d)이 형성된 걸림턱(30e)이 양측에 일체로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삽입홈(30b)의 하측과 링크(3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피동크랭크암(25)(26)의 타측단에 일체로 돌설된크랭크축(25a)(26a)이 끼워지면서 유동가능케 결합되도록 장공(30f)과 삽입공(30g)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30b)의 양측에는 상기 링크(30)의 중앙이 벌어져서 슬라이드홈(30c)에 끼워진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가 걸림턱(30e)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재(33)가 끼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슬라이드부재(31)(32)의 상, 하측에는 인장스프링(34)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각각 걸림돌기(31a)(32a)가 일체로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19920010087A 1992-06-10 1992-06-10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KR012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087A KR0125731B1 (ko) 1992-06-10 1992-06-10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CN93107046A CN1037711C (zh) 1992-06-10 1993-06-10 风向调节装置
JP5138255A JP2544079B2 (ja) 1992-06-10 1993-06-10 風向調節装置
RU9393045140A RU2082065C1 (ru) 1992-06-10 1993-06-10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ем потока воздух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087A KR0125731B1 (ko) 1992-06-10 1992-06-10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823A KR940000823A (ko) 1994-01-10
KR0125731B1 true KR0125731B1 (ko) 1998-04-01

Family

ID=1933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087A KR0125731B1 (ko) 1992-06-10 1992-06-10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44079B2 (ko)
KR (1) KR0125731B1 (ko)
CN (1) CN1037711C (ko)
RU (1) RU208206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5186A (ja) * 2005-12-02 2007-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上下風向板駆動機構
JP6938208B2 (ja) * 2017-05-08 2021-09-22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208458223U (zh) * 2018-01-27 2019-02-0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滑板组件驱动结构及空调器
CN217004851U (zh) * 2021-12-21 2022-07-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导风板的驱动组件、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39U (ja) * 1984-07-23 1986-02-18 ジエコ−株式会社 電動ル−パ
US5072657A (en) * 1989-02-28 1991-12-17 Daikyo Co., Ltd. Blowing louver with swinging fins for air conditio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171A (zh) 1994-02-16
JPH06101903A (ja) 1994-04-12
CN1037711C (zh) 1998-03-11
RU2082065C1 (ru) 1997-06-20
KR940000823A (ko) 1994-01-10
JP2544079B2 (ja) 199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954B1 (en) Air conditioner
US20080005971A1 (en) Single Rail No Pulley Window Regulator
KR10021504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H01224598A (ja) 機器の俯仰角度調整装置
US8336256B2 (en) Automated louvre system
KR0125731B1 (ko)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US5623784A (en) Window operator
KR0143225B1 (ko) 난방기기의 풍향 조절장치
KR200372389Y1 (ko) 환기창용 회전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KR200228671Y1 (ko) 공기조화기
KR0122702Y1 (ko)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KR011987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JPH0517537Y2 (ko)
KR200323294Y1 (ko)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KR102605895B1 (ko) 원터치 자동열림 루버 시스템
CN217441843U (zh) 防护组件及空调室外机
CN220962257U (zh) 一种风扇升降控制旋钮装置
CN220036433U (zh) 一种滑轮组
CA1201136A (en) Powered door opening system
KR0159486B1 (ko) 자동 환기창
CN210638108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US20220412163A1 (en) Operating assembly and system for a roller shade
KR970005780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200248174Y1 (ko) 도어용피벗힌지
KR900004129Y1 (ko) 창문형 룸 에어콘의 풍향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