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775Y1 -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 Google Patents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775Y1
KR0124775Y1 KR2019950018126U KR19950018126U KR0124775Y1 KR 0124775 Y1 KR0124775 Y1 KR 0124775Y1 KR 2019950018126 U KR2019950018126 U KR 2019950018126U KR 19950018126 U KR19950018126 U KR 19950018126U KR 0124775 Y1 KR0124775 Y1 KR 0124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d water
bottled
pip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64U (ko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김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식 filed Critical 김홍식
Priority to KR2019950018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775Y1/ko
Publication of KR970005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1. 본고안은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으로서, 특히 상단부의 마개절개부와 통수공 및 보조통수공, 중공부가 구성된 외부유수관과, 이 외부유수관의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며 아울러 내부통수공과 유수로홈 및 유수로공간부, 내부유수로가 구성된 내부유수관으로 구성된,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에 관한 것이다.
2. 종래에는, 무거운 생수통을 생수 냉온수기의 상판에 구성된 생수통끼움 구멍에 설치함에 있어서, 이미 마개가 개봉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의 토출구로부터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의 외부로 빠른 속도로 불필요하게 쏟아져 나오므로 생수통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수통으로부터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있어서, 생수통으로의 공기의 유입이 순조롭지 아니하여, 생수통 자체가 진동되어 불안정하게 되며,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3. 본 고안은 생수통이 생수 냉온수기의 생수통기움구멍에 설치됨에 따라 생수통의 생수토출부의 토출구에 봉하여진 마개를 절개하도록 상단부가 상향으로 뾰족하게형성된 외부유수관이 구성되고, 이 외부유수관에는 통상의 통수공과 함께 이 통수공의 위치와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에 이 통수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보조통수공이 구성되고, 상기 외부유수관의 내부인 중공부에는 내부유수관이 설치되고, 이 내부유수관에는 상기 통수공으로부터 유입된 생수가 유입되도록 된 내부통수공과, 이 내부통수공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가 흘러내리도록 된 내부유수로가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에는 상기 보조통수공으로부터 유입된 생수가 유입되어 흘러내리도록 된 유수로홈과, 이 유수로홈을 통하여 유입되어 흐러내린 생수가 흐러내리도록 된 유수로공간부가 구성되고, 상기 유수로홈의 횡단명의 면적의 합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크도록 된 유수로공간부가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의 하단이 상기 외부유수관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에 관한 것이다.
4. 본 고안에 의하면, 생수통의 마개가 봉하여 있는 그대로 생수통을 생수토출부가 하향하게 하여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생수통르로부터 생수가 공급되는 동안 공기가 생수통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된 생수통이 안정되고, 생수의 급격한 토출에 따른 시끄러운 소음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단면도로서,
(a)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b)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c)도는 (b)도의 M의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유수관의 상단부의 여러 형상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외부유수관의 상단부인 마개절개부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a)도는 생수통의 생수토출부가 생수토출부 안내부에 접하기 시작하려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b)도는 생수통의 생수토출부가 생수토출부 안내부에 의하여 안내되어 마개가 마개절개부에 접하기 시작한 상태를 보인 상태도
(c)도는 생수통이 생수토출부 방향으로 생수통끼움구멍에 끼워짐에 따라 마개가 마개절개부에 의하여 절개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d)도는 생수통이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생수 냉온수기의 상단부 부분절개 종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외부유수관과 내부유수관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a)도는 통수공과 내부통수공으로 유입된 생수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
(b)도는 보조통수공과 유수로홈으로 유입된 생수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
(c)도는 (b)도의 N의 확대도로서 보조통수공과 유수로홈으로 유입된 생수의 흐름, 및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
제8도는 본 공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서의 끼움홈과 끼움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가 설치된 상판을 보인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에 설치된 종래의 유수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외부유수관 1a:상단부
1b:중간부의 상단부 1d:하단
1-1:내측면 2:마개절개부
3:보조통수공 11:내부유수관
11a:상단부 11b:중간부이하부
11b-1:중간부이하의 외측면 11c:내부중공부
11d:하단 13:내부통수공
14:내부유수로 15:유수로홈
16:유수로공간부
본 고안은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으로서, 특히 외부유수관은, 상단부가 마개절개부로서 구성되고 아울러 통수공과 함께 이 통수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보조통수공이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외부유수관에는 상기 통수공에 상응하여 이 통수공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가 유입되어 흐르도록 된 내부통수공과 내부유수로가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에는 상기 보조통수공에 상응하여 이 보조통수공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가 유입되어 흐르도록 된 유수로홈과 유수로공간부가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의 하단의 상기 외부 유수관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생수통의 생수토출부의 토출구에 봉하여진 마개를 미리 개봉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마개가 봉하여 있는 그대로 생수통을 생수토출부가 하향하게 하여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생수통으로부터 생수 냉온수기로 생수가 공급되어지는 동안 공기가 생수통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생수통을 생수 냉온수기의 생수통끼움구멍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무거운 생수통을 들어 생수 냉온수기의 상판에 구성된 생수통끼움구멍에 끼워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때 이미 마개가 개봉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吐出部)의 토출구(吐出部)에서는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의 외부로 빠른 속도로 불필요하게 쏟아져 나오므로, 가정이나 영업소에서 노약나 여자 혼자서 생수통을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생수통의 생수토출부를 하향하여 생수통을 생수 냉온수기의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생수가 생수통의 생수토출구를 통하여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따라 생수통의 내부에 기압이 낮아져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생수통 속의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지장이 생기고 이때 공기가 생수통의 생수토출부의 토출구를 거쳐 생수통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생수통에 들어감이 순조롭지 아니하여 생수가 생수통으로부터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생기가 생수토출구를 통하여 상당량이 급격히 간헐적으로 토출되어 흘러내리고 또한 공기가 상당량이 급격히 간헐적으로 생수 토출부의 토출구를 통하여 생수통으로 올라가므로, 생수통 자체가 진동되어 설치된 생수통이 불안정하게 되며, 또한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인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5376호에서는, 생수통의 생수토출부가 하향하며 생수통이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됨에 있어서, 생수토출부의 토출구가 언제나 생수통 끼움구멍의 중심축을 향하며 하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부에 의하여 생수통이 설치된 후, 상기 안내부 하부에 설치된 유수관의 통수공과 유수로를 통하여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에 공급되는데, 이때에도 상기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에서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로, 생수통으로의 공기의 들어감이 순조롭지 아니하여 생수가 생수통으로부터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생수가 생수토출부의 토출구를 통하여 상당량이 급격히 간헐적으로 흘러내리고, 또한 공기가 상당량이 급격히 간헐적으로 생수토출부의 토출구를 통하여 생수통으로 올라가므로, 생수통 자체가 진동되어 설치된 생수통이 불안정하게 되며, 또한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공안은 생수통이 생수 냉온수기의 생수통끼움구멍에 설치됨에 따라 생수통의 생수로출부의 토출구에 봉하여진 마개를 절개하도록 상단부가 상향으로 뽀족하게 형성된 외부유수관이 구성되고, 이 외부유수관에는 통상의 통수공과 함께 이 통수공의 위치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에 이 통수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보조통수공이 고정되고, 상기 외부유수관의 내부인 중공부에는 내부유수관이 설치되고, 이 내부유수관에는 상기 통수공으로부터 유입된 생수가 유입되도록 된 내부통수공과, 이 내부통수공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가 흘러내리도록 된 내부유수로가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에는 상기 보조통수공으로부터 유입된 생수가 유입되어 흘러내리도록 된 유수로홈과, 이 유수로홈을 통하여 유입되어 흘러내린 생수가 흘러내리도록 된 유수로공간부가 구성되고, 이 유수로 공간부는 상기 유수로홈의 횡단면의 면적의 합보다 상기 유수로공간부의 횡단면의 면적이 크도록 구성된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의 하단이 상기 외부유수관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생수통의 생수토출부의 토출구에 봉하여진 마개를 미리 개봉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마개가 봉하여 있는 그대로 하여 생수통을 생수 냉온수기에 생수토출부가 하향되게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생수통으로부터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있어서 공기가 원할하게 생수통 내부로 공급되어 생수가 원활하게 생수통으로부터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되므로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된 생수통이 안정되고, 또한 생수의 급격한 토출에 따른 시끄러운 소음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100) 이 생수토출부(吐出部)(100a)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도록 된 생수통끼움구멍(104)이 상판(103)에 구성되고, 상기 생수통(100)이 상기 생수토출부(100a) 방향으로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끼워져 설치될 때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吐出口)(100b)가 언제나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의 중심축(中心軸)(104c)을 향하며 하향(下向)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생수토출부 안내부(105)가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구성되고, 상기 생수토출부 안내부(105)의 중심축(中心軸)(105c)의 위치에는 상기 생수통(100)의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상기 토출구(100b)에 끼워져 상기 생수통(100)속위 생수(101)가 유입되도록 된 유수관(流水菅)(111)이 구성되고, 이 유수관(111)에는 1개 이상의 통수공(通水孔)(113)이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유수관(111)은 상기 통수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하방으로 흘러내려 생수 냉온수기(200)로 공급되도록 내부인 중공부(111c)가 원통형의 유수로(流水路)(114)로서 구성된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유수관(111)의 외부유수관(1)으로서 구성되어, 이 외부유수관(1)의 상단부(1a)는, 상기 생수통(100)이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방향으로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에 봉하여진 통상의 마개(102)를 절개하도록, 상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마개절개부(2)로서 구성되고, 상기 외부유수관(1)의 중간부의 상단부(1b)에 상기 통수공(113)의 위치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아울러 상기 통수공(113)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된 보조통수공(3)이 1개 이상 구성되고,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원통형 유수로(114)인, 상기 중공부(111c)에는 내부유수관(11)이 설치된다.
이 내부유수관(11)은, 그 상단부(11a)가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중공부(111c)에 밀착하여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상단부(11a)에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통수공(113)에 상응하여 이 통수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유입되도록 된 내부통수공(13)이, 상기 통수공(113)과 상응하는 위치이고 상기 통수공(113)의 개수와 같은 개수이며 통수공(113)과 같은 크기 또는 거의 같은 크기로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상기 상단부(11a)에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보조통수공(3)에 상응하여 이 보조통수공(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유입되어 흘러내리도록 된 유수로(流水路)홈(15)이 구성된다. 이때 이 유수로홈(15)은 그 상부가 상기 보조통수공(3)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유수로홈(15)은 상기 보조통수공(3)과 같은 개수로 구성된다. 상기 유수로홈(15)은 폭은 상기 보조토수공(3)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중간부이하부(11b)는, 상기 내부유수관(11)이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중공부(111c)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사익 중간부이하부(11b)의 외측면(11b-1)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내측면(1-1) 사이에 상기 유수로홈(15)을 통하여 유입되어 흘러내린 생수(101)가 흘러내려 생수 냉온수기(200)의 통상의 냉수저장통(120)으로 공급되도록 된 유수로공간부(16)가 구성되고, 아울러 이 유수로공간부(16)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유수로홈(15)의 공간부(15-1)의 횡단면의 면적의 합(즉, 상기 유수로홈(15)이 여러개 있는 경우의 합임)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내부중공부(11c)는 상기 내부통수공(1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흘러내려 생수 냉온수기(200)의 통상의 냉수저장통(120)으로 공급되도록 된 내부유수로(14)로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11b)은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1d)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중공부(111c)에 상기 내부유수관(11)이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 따른 서로간의 위치를 정확히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부의 안쪽에는 끼움홈(1e)이 구성되고,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부의 바깥쪽에는 끼움편(11e)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부에는, 생수 냉온수기의 생수통끼움구멍(104)에 구성된 생수토출부 안내부(105)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된 체결부(20)가 구성된다. 이 체결부(20)는 상기 생수토출부 안내부(105)와 공지의 방법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마개절개부(2)의 형상은 원뿔형상 또는 삼각뿔형상이 바람직하며, 그밖에 사각뿔형상이거나, 오각뿔형상이거나, 상향으로 뽀족한 형상이면 여러 가지 다른 형상이 가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공안의 작용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공안은, 제1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단부(1a)의, 상향으로 뽀족하게 형성된 마개절개부(2)로서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생수통(100)의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에 봉하여진 상기 마개(102)를 미리 개봉하지 아니하고 상기 마개(102)가 봉하여 있는 그대로 상기 생수통(100)을 생수 냉온수기(200)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생수통(100)을 생수 냉온수기의 상기 상판(103)의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설치할 때, 상기 생수통(100)의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로부터 생수 냉온수기(200)의 외부로 생수(101)가 불필요하게 쏟아지지 아니한다. 즉, 상기 생수통(100)을 상기 생수토출구(100a) 방향으로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끼워 설치할 때 이렇게 끼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상기 토출부(100b)가 상기 생수토출부안내부(105)의 하부로 진입하기 시작하기 시작할 때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에 봉하여진 상기 마개(102)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향으로 뾰족한, 상단부(1a)인 마개절개부(2)에 접하여 절개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상기 생수통(100)을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끼워 설치함이 완료되면 상기 마개(102)의 절개도 완료되어, 상기 마개(102)의 절개되어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토출(吐出)도는 생수(101)의 대부분이,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통수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후,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상기 내부통수공(13)과 상기 내부유수록(14)를 통하여 생수 냉온수기(200)의 통상의 냉수저장통(120) 방향으로 흘러내려 자장되고, 따라서 상기 생수통(100)을 설치할 때 생수 냉온수기(200)의 외부로 생수(101)을 쏟아지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마개(102)의 절개되어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생수(101)의 상기 대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보조통수공(3)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생수(101)는 상기 유수로홈(15)을 거쳐 상기 유수로공간부(16)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수로홈(15)의 공간부(15-1)의 횡단면의 면적의 합(즉 상기 유수로홈(15)의 여러개 있는 경우의 합)은 상기 유수로공간부(16)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으므로, 상기 유수로공간부(16)의 상당부분에는 생수가 흐르지 아니하거나 얇게 흐르므로 공간부로서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11d)은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1d)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통수공(113) 및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상기 내부통수공(13)으로부터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11d)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보조유수관(3)으로부터 상기 유수로공간부(16)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부, 내지 상기 유수로공간부(16)의 하단 즉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 (1d)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된다.
따라서, 생수통(100)으로부터 생수(101)가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통수공(113)과 상기 보조통수공(3)을 통하여 유입되면, 상기 통수공(113)으로부터 상기 내부통수공(13)과 상기 내부유수로(14)를 거쳐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11d)까지의 수직거리에 의한 생수(101)의 수압은, 상기 보조통수공(3)으로부터 상기유수로홈(15)를 거쳐 상기 유수로공간부(16)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부, 내지 상기 유수로공간부(16)의 하단 즉 상기외부유수관(1)의 하단(1d)까지의 수직거리에 의한 생수(101)의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생수통(100)속에서 생수(101)의 토출에 따른 진공내지 저기압상태가 발생됨에 따라, 공기 특히 상기 유수로공간부(16)의 공기는, 제7도의 (c)도의 F의 표시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수압이 상기 내부유수로(14)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상기 유수로공간부(16)의 수압을 뚫고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상기 유수로홈(15)을 거치고, 이어서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보조통수공(3)을 거쳐 상기 생수통(100)의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로 공급되어진다.
따라서 제7도의 (a)도와 (b)도의 W표시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생수통(100)의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로부터 생수(101)가 생수 냉온수기(200)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생수통(100)의 내부가 진공 내지 저기압인 경우에 원활하게 공기가 제7도의 (c)도의 F표시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유수로 공간부(16)을 거치고, 이어서 상기 유수로홈(15)을 거치고 이어서 상기 보조통수공(3)을 거쳐 생수통(1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의 공기의 유입은 작은 규모이지만 비교적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입에 따른 생수통(100)의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므로 생수통(100)으로부터의 생수(101)의 급도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통상의 냉수저장통(120)의 수면이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11d)에 접하면, 상기 생수통(100)으로부터의 상기 생수(101)의 공급은 약하여지고, 상기 냉수저장통(120)의 수면이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1d)에 접하면 상기 생수통(100)으로 부터의 생수(101)의 공급은 중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생수통의 생수토출부의 토출구에 봉하여진 마개를 따로이 미리 개봉하지 아니하여도 상기 외부유수관의 상단부인 마개절개부에 의하여 상기 마개가 절개되어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의 통상의 냉수저장통으로 흘러내리므로, 생수통을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함에 있어서 생수 냉온수기의 외부로 생수의 불필요한 쏟아짐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생수통으로부터 생수가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됨에 있어서 공기가 원활하게 생수통 내부로 공급되어 생수가 원활하게 생수통으로부터 생수 냉온수기로 공급되어 생수 냉온수기에 설치된 생수통이 안정되고, 또한 생수의 급격한 토출에 따른 시끄러운 소음의 발생과 진동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생수통(100)이 생수토출부(吐出部)(100a)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도록 된 생수통끼움구명(104)의 상판(103)에 구성되고,상기 생수통(100)이 상기 생수토출부(100a)방향으로 상기생수통끼움구명(104)에 끼워져 설치될 때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吐出口)(100b)가 언제나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의 중심축(中心軸)(104c)을 향하며 하향(下向)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생수토출부 안내부(105)가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구성되고, 상기 생수토출부 안내부(105)의 중심축(中心軸)(105c)의 위치에는 상기 생수통(100)의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상기 토출구(100b)에 끼워져 상기 생수통(100)속의 생수 (101)가 유입되도록 된 유수관(流水管)(111)의 구성되고, 이 유수관(111)에는 1개 이상의 통수공(通水孔)(113)이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유수관(111)은 상기 통수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하방으로 흘러내려 생수 냉온수기(200)로 공급되도록 내부인 중공부(111c)가 원통형의 유수로(114)로서 구성된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유수관(111)이 외부유수관(1)으로서 구성되어, 이 외부유수관(1)의 상단부(1a)는 , 상기 생수통(100)이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방향으로 상기 생수통끼움구멍(104)에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상기 생수토출부(100a)의 토출구(100b)에 봉하여진 통상의 마개(102)를 절개하도록, 상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마개절개부(2)로서 구성되고, 상기 외부유수관(1)의 중간부의 상단부(1b)에는 상기 통수공(113)의 위치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아울러 상기통수공(113)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된 보조통수공(3)이 1개 이상 구성되고,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원통형 유수로(114)인, 상기 중공부(111c)에는 내부유수관(11)이 설치되고, 이 내부유수관(11)은, 그 상단부(11a)가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중공부(111c)에 밀착하여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상단부(11a)에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통수공(113)에 상응하여 이 통수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유입되도록 된 내부통수공(13)이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상기 상단부(11a)에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보조통수공(3)에 상응하여 이 보조통수공(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유입되어 흘러내리도록 된 유수로(流水路)홈(15)이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중간부이하부(11b)는, 상기 내부유수관(11)이 상기 외부유수관(1)의 상기 중공부(111c)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수관(11)의 상기 중간부이하부(11b)의 외측면(11b-1)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유수관(1)의 내측면(1-1) 사이에 상기 유수로홈(15)을 통하여 유입되어 흘러내린 생수(101)가 흘내리도록 된 유수로공간부(16)가 구성되고, 아울러 이 유수로공간부(16)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유수로홈(15)의 공간부(15-1)의 횡단면의 면적의 합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유수관(11)의 내부중공부(11c)는 상기 내부통수공(13)을 통하여 유입된 생수(101)가 흐러내리도록 된 내부유수로(14)로서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내부유수관(11)의 하단(11d)은 상기 외부유수관(1)의 하단(1d)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KR2019950018126U 1995-07-22 1995-07-22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KR0124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126U KR0124775Y1 (ko) 1995-07-22 1995-07-22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126U KR0124775Y1 (ko) 1995-07-22 1995-07-22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64U KR970005764U (ko) 1997-02-21
KR0124775Y1 true KR0124775Y1 (ko) 1998-08-17

Family

ID=1941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126U KR0124775Y1 (ko) 1995-07-22 1995-07-22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18B1 (ko) * 2000-10-23 2003-10-08 진미숙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된 용기 및 그를 사용하는데 이용되는 냉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18B1 (ko) * 2000-10-23 2003-10-08 진미숙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된 용기 및 그를 사용하는데 이용되는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64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863A (en) Low flush volume toilet
US5839844A (en) Leaching chamber endplate
JP2008057160A (ja) 便器洗浄水供給装置
JP3172876B2 (ja) 床排水トラップ
US4674654A (en)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KR0124775Y1 (ko) 생수 냉온수기에 있어서 생수통의 생수토출부 안내부 설치용 유수관
JP5002248B2 (ja) 発泡性飲料注出具
US6182306B1 (en) Side-mount toilet valve
JPH08105571A (ja) 燃料タンクの制御弁
KR100708415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0122771Y1 (ko) 생수 냉온수기의 생수통 생수토출부 안내용 상판
JP4744045B2 (ja) 空気弁
JPS6340471Y2 (ko)
JPS5933800Y2 (ja) 生ビ−ルミニ樽用注ぎ口
RU8277U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сепаратор
CN213756197U (zh) 一种新型喂水器
JP2725122B2 (ja) 水洗便器
JPS5938204U (ja) 液状物充填機に於ける充填ノズル
JPH07218180A (ja) 横型熱交換器
JP2507203B2 (ja) 排水系の清掃装置
JPS6131089Y2 (ko)
JPS63599Y2 (ko)
JP3655080B2 (ja) 冷却塔
JP2001026971A (ja) 水洗便器
JP3635390B2 (ja) フロート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