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68Y1 -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568Y1
KR0124568Y1 KR2019930019911U KR930019911U KR0124568Y1 KR 0124568 Y1 KR0124568 Y1 KR 0124568Y1 KR 2019930019911 U KR2019930019911 U KR 2019930019911U KR 930019911 U KR930019911 U KR 930019911U KR 0124568 Y1 KR0124568 Y1 KR 0124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miss convergence
channel
ray tube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916U (ko
Inventor
엄재식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30019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568Y1/ko
Publication of KR950009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에 관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색 순도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훤넬에 테이프로 자성체를 부착함에 따른 미스 컨버젼스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성체(50)를 훤넬(F)에 부착하여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자성체(50)가 삽입되는 고정부(1)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양면 테이프(2)가 부착되는 고정 부재(3)를 훤넬(F)에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고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부 2 : 양면 테이프
3 : 고정 부재 4 : 절개부
5 : 고정편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에 관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색 순도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열 전자를 가속 및 집속시킴과 아울러 편향시켜 R, G, B 형광체가 순차 배열되어 있는 형광막을 선택 타격하므로서 소정의 형상과 색을 재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음극선관은 내부가 10-7torr 정도의 고 진공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밀봉되는 바, 이는 새도우 마스크가 결합됨과 아울러 형광막이 도포되는 판넬과, 상기한 판넬과 결합되고 외주에 편향 요오크가 결합되는 훤넬과, 상기한 훤넬에 연결되고 내주에 전자총이 삽입되는 네크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훤넬에는 콘덴서 역할을 하는 외장 흑연막과, 전자충에 양극 전위를 인가하는 내장 흑연막이 도포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와 연결되는 애노드 버튼이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한 전자총에서 집속 및 가속된 전자빔이 편향 요오크에 의해 판넬의 전면으로 편향되면서 새도우 마스크에 의해 선별됨과 아울러 선별된 전자빔이 형광체를 타격하므로서 소정 현상과 색을 재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를 통화하여 지정된 형광체를 타격하기 위해서는 R, G, B 전자빔이 한점에서 일치되도록 하는 컨버젼스를 조정해야 한다.
물론, 상기한 컨버젼스는 판넬의 중앙부에서 3개의 전자빔이 모이게 되는 정 컨버젼스와, 판넬의 모서리에서 3개의 전자빔이 모이게 되는 등 컨버젼스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정, 동 컨버젼스 조정은 편향 요오크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바, 상기한 편향 요오크의 일단에는 정 컨버젼스 조정을 위한 색 순도 자석(Color Purity Magnet)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편향 요오크와 색 순도 자석으로 조정 후 컨버젼스의 불 완전한 부분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훤넬(F)에 자성체(50)를 테이프(51)로 부착시켜 부분 부분에 대한 컨버젼스를 조절하게 된다.
즉, 미스 컨버젼스가 발생되는 부분에 자성체(50)를 부착하므로서 그 부분의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 재질인 훤넬(F)에 테이프(51)로 자성체(50)를 부착하여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함은 보정 작업시 자성체(50)의 위치를 자주 변경시킴에 따라 테이프(51)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에 자성체(50)가 이동되어 미스 컨버젼스가 발생되며 자성체(50)를 테이프(51)로 고정하는 데 따른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훤넬에 테이프로 자성체를 부착함에 따른 미스 컨버젼스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면 테이프가 저면에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를 훤넬이 미스 컨버젼스 부분에 부착하여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 고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성체(50)와,, 상기한 자성체(50)가 삽입되는 고정부(1)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양면 테이프(2)가 부착되어 있는 고정 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1)는 자성체(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절개부(4)에 의해 고정핀(5)이 형성되어 자성체(50) 삽입 후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고정부(1)는 다수의 절개부(4)에 의해 자성체(50)를 고정시키게 되는 바,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의 중앙부에 자성체(5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한 자성체(50) 삽입 후 절개부(4)에 의해 여러개로 나뉘어진 고정부(1)의 고정편(5)을 구부림으로써 자성체(5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 부재(3)를 훤넬(F)의 미스 컨버젼스 부분에 양면 테이프(2)로 부착시킨 후 고정부(1)에 자성체(50)를 삽입시킨다.
자성체(50)를 삽입 후 고정편(5)을 구부려 자성체(50)를 압착하므로서 자성체(50)가 고정부(1)에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 부재(3)를 훤넬(F)에 미리 부착시킨 후 여기에 자성체(5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서 작업이 단순화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특히, 컨버젼스 보정 시 고정부(1)에 자성체(50)를 삽입하고 고정편(5)을 구부리기 전 미스 컨버젼스가 보정되지 않으면 자성체(50)를 교체, 즉, 자력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정 부재(3)를 훤넬(F)에서 분리시키지 않아도 미스 컨버젼스의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훤넬(F)과 양면 테이프(2) 부착력을 감소시키지 않게 되므로서 자성체(50)의 부착 후 위치가 변화되는 불량이 감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자성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훤넬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킴으로써 보정 작업이 단순화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성체(50)를 훤넬(F)에 부착하여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자성체(50)가 삽입되는 고정부(1)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양면 테이프(2)가 부착되는 고정 부재(3)를 훤넬(F)에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1)는 자성체(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절개부(4)에 의해 고정편(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KR2019930019911U 1993-09-28 1993-09-28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KR0124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911U KR0124568Y1 (ko) 1993-09-28 1993-09-28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911U KR0124568Y1 (ko) 1993-09-28 1993-09-28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916U KR950009916U (ko) 1995-04-21
KR0124568Y1 true KR0124568Y1 (ko) 1998-10-01

Family

ID=1936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911U KR0124568Y1 (ko) 1993-09-28 1993-09-28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5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916U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4568Y1 (ko) 음극선관용 미스 컨버젼스 보정 구조
US2680204A (en) Gun structure
US6356011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US4972519A (en) Vertical coma correction arrangement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KR200143460Y1 (ko) 음극선관의 평향 요크 고정용 쐐기
JP2575390Y2 (ja) ドット・タイプのカラー陰極線管用偏向ヨーク装置
EP0725973B1 (en)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an electron gun, and electrostatic lens system
KR10062552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22504B1 (ko) 전자총 및 그것을 사용한 컬러음극선관과 화상표시장치
KR200164390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388401B1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KR0129381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020030106A (ko) 편향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94000446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0137530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KR930000955Y1 (ko) 전자총 구조체
JPH09504646A (ja) 電子銃を備える陰極線管及び静電レンズ系
MY132331A (en) Cathode ray tube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60044156A (ko) 음극선관
KR20050090506A (ko)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