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339Y1 -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339Y1
KR0123339Y1 KR2019950010180U KR19950010180U KR0123339Y1 KR 0123339 Y1 KR0123339 Y1 KR 0123339Y1 KR 2019950010180 U KR2019950010180 U KR 2019950010180U KR 19950010180 U KR19950010180 U KR 19950010180U KR 0123339 Y1 KR0123339 Y1 KR 0123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decorative body
decorativ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196U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김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KR2019950010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339Y1/ko
Publication of KR960036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 포크, 나이프와 같은 금속재질의 음식용구의 손잡이를 커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의 장식적인 효과를 더욱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그 구성은 손잡이의 전면으로는 지지판에 손잡이가 끼워 조립되는 삽설홈이 형성되고 이의 일지점으로는 잘록부가 끼워지는 협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 하단으로 장식편이 일체로 돌설된 장식체를 설치하고, 상기 장식체의 전, 후면으로는 만곡면과 평탄면이 구비된 전, 후면커버를 상호 대향되게 조립하되 전면커버의 받침편을 후면커버의 받침간사이에 선단부면이 당접되는 상태로 끼운 다음, 이들 부의를 초음파로 상호 열융착 고정시켜 조립함으로서, 상기 장식체에 의한 손잡이의 다양한 장식미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본 고안은 숟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음식용구로 사용되는 금속재의 손잡이가 전, 후면커버로 압착 고정되는 음식용구 손잡이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 후면커버 사이로 손잡이가 일직선상으로 삽설되는 장식체를 동시에 고정하여 정식미를 더욱 가질 수 있도록 한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금속재로된 음식용구는 손잡이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문양이 각인된 손잡이를 일체로 직접 형성하거나, 목재 또는 프라스틱재의 커버를 전후면에 상호 압착(고주파나 열융착방법이 주로 사용됨) 고정시킨다. 그 일예로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소50-49583호(금속 양식기의 손잡이)가 있는 바, 이는 손잡이간으로는 관통공을 분리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 각각 커버되는 한쌍의 프라스틱판으로는 상기 관통공에 각각 관통되어져 상호 협지되는 요철부(凹, 凸)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방에서 고주파로 압착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잡이 구조는 단순히 손잡이의 전후면을 프라스틱판만으로 상호 압착고정한 것이어서 파지만이 용이할 뿐 손프리스틱판에 이해 커버되지 못하는 양 측단면은 커버되지 못하게되는 것이며, 외관상의 장식미가 거의 없는 것이어서 고급스러움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그로인한 상품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를 커버하는 전, 후면커버 사이로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별도의 장식체를 개재하여 동시에 압착 고정하여 주으로서 외관상의 장식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급스럽움을 갖는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손잡이가 장식체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조립 종단면도.
제4도는 손잡이 커버장치에 따른 제3도의 평단면도로서, (a)도는 가-가선 확대단면도, (b)도는 나-나선 확대 단면도, (c)도는 다-다선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식용구부재 11 : 손잡이
20 : 장식체 21 : 지지판
22 : 삽설홈 23 : 협지홈
24 : 연결편 25, 25 : 장식편
30, 40 : 전, 후면커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커버장치의 특징은, 음식용구의 손잡이 양측으로 압착 고정되는 전, 후면커버사이로 별도의 장식미를 갖는 장식체를 개재하여 동시에 압착 고정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숟가락을 예로한 금속재(스테인레스가 주로 이용됨)의 음식용구부재(10)는 주걱부와 손잡이(11)가 일체로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그 표면은 소정의 색깔로 도금처리 되어지는 바, 손잡이(11)로는 양측단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잘록부(12)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일정폭의 개구홈(13, 14)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1)의 전면으로(도면상 좌측) 위치되는 장식체(20)의 지지판(21)으로는 조립시 손잡이(11)를 일직선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하단부가 관통되어지게 형성된 삽설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삽설홈(22)으로는 조립시 손잡이(11)의 잘록부(12)가 끼워지는 협지홈(23)이 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협지홈(23)의 일측으로는 전면커버(30)의 후면인 평판면(32)으로 형성된 요구(33)에 끼워져 조립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연결편(2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2)의 상, 하단으로는 전면커버(30)의 조립시 이의 양 단부가 안정적으로 위치되고 그 외주면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위한 반원상의 장식편(25)과 전면커버(30)의 걸림편(37)을 위한 반원상의 걸림턱(261)이 형성된 장식편(26)이 각각 일체로 지지판(21)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장식체(30)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전면커버(30)는 그 전면 외주면이 장식편(25)(26)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위치될 뿐 아니라 장식효과를 위해 소정의 무늬를 갖는 만곡면(3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판면(32)의 상하로는 받침편(34)(35)을 돌설하여 조립시 손잡이(11)의 개구홈(13)(14)으로 관통되어지는 후면커버(4)의 받침간(43)(44)에 상호 끼워지도록 한다.
장식체(20)의 후면으로 위치되는 후면커버(40)는 상기 전면커버(30)와는 반대로 전면은 평판면(41)으로 되고 후면은 장식효과를 위해 만곡면(4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평판면(41)의 상, 하 단부로는 조립시 전면커버(30)의 단관(36)이 상호 결합되어지는 받침단관(45)과 장식체(20)의 이면으로 형성된 돌봉(27)이 상호 결합되는 끼움단관(46)이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커버장치의 각 부재들인 장식체(20) 전, 후면커버(30)(40)의 상, 하단은 그의 반원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이나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장식미를 감안하여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즉, 제2도는 후면커버(40)를 제외한 전면커버(30)와 장식체(20)와 전면커버(30)에 음식용구부재(10)의 손잡이(11)가 결합되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인 바, 손잡이(11)의 잘록부(12)가 장식체(20)의 협지홈(23) 사이에 끼워지도록 지지판(21)에 삽설하면 손잡이(11)는 전체적으로 지지판(21)의 삽설홈(22) 내에 하단부가 하방으로 관통되는 상태로 삽설되어지며, 장식체(20)의 전면으로 평판면(32)이 접면된 전면커버(30)의 받침편(34)(35)이 상, 하단부의 개구홈(13)(14) 사이내에 위치되어 지는 것이며, 장식체(20)의 돌봉(27) 또한 손잡이(11) 하부의 개구홈(14) 하단부내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손잡이(11)의 양 측단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식체(20)의 삽설홈(22) 내에 위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볼때 지지판(21)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전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고, 협지홈(23)에 잘록부(21)가 억지 맞춤상태로 끼워져 있어 조립작업시 장식체(20)가 잘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커버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 즉, 제3도는 손잡이(11)를 커버한 상태의 조립 종단면도인 바, 장식체(20)의 삽설홈(22)내에 삽설된 손잡이(11)의 전면으로는 하단의 걸림편(37)이 하부 장식편(26)의 걸림턱(261)에 위치되는 상태로 전면커버(30)를 설치하고, 후면으로는 후면커버(40)의 상, 하단이 장식체(20)의 상하단과 일치되는 상태로 대향되게 설치한다.
즉, 평판면(32)(41)이 장식체(20)의 지지판(21) 전면과 후면에 상호 접면되는 상태로 조립하면 장식체(20)의 연결편(24)이 전면커버(30)의 요구(33)내에 수납되어지는 상태로 위치되고 전면커버(30)의 받침편(34)(35)과 후면커버(40)의 각 받침간(43)(44)은 손잡이(11)의 각 개구홈(13)(14)내에 관통되는 상태에서 각 받침편(34)(35)이 받침간(43)(44) 사이에 끼워져 당접되는 상태로 조립되어지는 것이며, 전면커버(30)의 단관(36)이 후면커버(40)의 받침단관(45)내에 끼워지면서 하나의 걸이공(50)을 형성하게 되고, 장식체(20) 하단의 돌봉(27)은 후면커버(40)의 끼움단관(46)내에 상호 끼워져 최종적으로 음식용구부재(10)의 손잡이(11)를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11)의 측면은 장식체(20)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위치되고 전, 후면커버(30)(40)의 만곡면(31)(42)이 외방에 위치되는 상태로 조립되어져 있어 상기한 장식체(20)에 의해 음식용구부재(10)의 손잡이(11)는 종래 손잡이에 비하여 보다 화려한 장식적인 미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장식체가 금색 등의 색상으로 도금된다면 더욱 다양한 형태의 장식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3도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커버장치는 제4도의 각 부위 단면도를 참조하여 전, 후면커버(30)(40)의 접합상태를 설명하면 즉, 제4도의 (a)(b)도와 같이 전면커버(30)의 상, 하부 받침편(34)(35)은 금속재의 손잡이(11)에 형성된 개구홈(13)(14)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역시 상기한 개구홈(13)(14)내에 대향되게 관통되는 후면커버(40)의 각 받침간(43)(44) 사이에 각각 선단부면이 평판면(32)(41)에 당접하는 상태로 끼워져 있어 전, 후면커버(30)(40)는 장식체(20)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또한 손잡이(11)의 잘록부(12)가 끼워진 협지홈(23)의 연결편(24)은 제4도의 (c)와 같이 전면커버(30)의 요구(33)내에 위치되는 상태로 조립되어져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전,후면커버(30)(40)의 각 받침편(34)(35)과 받침간(43)(44)사이를 외방에서 초음파에 의한 열융착 방법으로 선단부면을 각 평판면(32)(41)상에 상호 접착하여 주면 손잡이(11)를 커버하는 각 부재들인 장식체(20)와 전,후면커버(30)(40)는 상호 확실하게 접착 지지되고 또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음식용구부재(10)의 손잡이(11)를 커버하는 전, 후면커버(30)(40)사이에 별도의 장식체(20)를 동시에 조립하여 주무로서 음식용구의 손잡이부에 대한 장식미를 더욱 배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고안인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도면상 음식용구부재가 숟가락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포크나 나이프 등에도 적용됨은 물론인 것이다.
본 고안은 비록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전,후면커버(30)(40)의 일 측면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한쌍의 받침편(34, 35)과 받침간(43)(44)이 음식용구부개(10)의 손잡이(11)로 형성된 개구홈(13, 14)에 각각 관통 협지되어 압착 고정되는 공지의 손잡이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 후면커버(30)(40)사이로는 상기 음식용구(10) 손잡이(11)와 잘록부(12)가 동시에 삽설 고정되는 삽설홈(22)과 협지홈(23)이 지지판(21)에 형성되고, 지지판(21)양 측단으로는 조립시 전면커버(30)가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장식편(25)(2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장식체(20)를 동시에 개재하여 상호 압착 고정하여 장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KR2019950010180U 1995-05-15 1995-05-15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KR0123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180U KR0123339Y1 (ko) 1995-05-15 1995-05-15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180U KR0123339Y1 (ko) 1995-05-15 1995-05-15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196U KR960036196U (ko) 1996-12-16
KR0123339Y1 true KR0123339Y1 (ko) 1998-11-02

Family

ID=1941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180U KR0123339Y1 (ko) 1995-05-15 1995-05-15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3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196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5139A (en) Cutting tools having a plastic handle
KR0123339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커버장치
USD365966S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FR2624766A1 (en) Brush
USD411077S (en) Handle for cooking utensil
USD398510S (en) Handle assembly for hand tool
KR200415048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KR200441496Y1 (ko) 젓가락
KR200343538Y1 (ko) 음식용구 손잡이 결합구
JPS5837347Y2 (ja) 陶磁器製柄と飲食用具の取り付け装置
USD399699S (en) Cutlery handle
KR100269777B1 (ko) 손잡이에 금박무늬를 형성한 은수저의 제조방법
KR200343540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KR960000341Y1 (ko) 금속의 수저몸체에 플라스틱 손잡이를 결합하는 장치
JPS6023145Y2 (ja) 飲食及び調理用具の柄
KR200410172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199934Y1 (ko) 남비
USD408105S (en) Squeegee
KR200261512Y1 (ko) 수저
KR100714188B1 (ko) 주방용품의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413451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KR950004968Y1 (ko)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이어링
USD398814S (en) Cutlery handle
KR0138649Y1 (ko) 칼 손잡이 조립구조
JPS6013373Y2 (ja) 鞄用持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