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697Y1 -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697Y1
KR0122697Y1 KR2019950011746U KR19950011746U KR0122697Y1 KR 0122697 Y1 KR0122697 Y1 KR 0122697Y1 KR 2019950011746 U KR2019950011746 U KR 2019950011746U KR 19950011746 U KR19950011746 U KR 19950011746U KR 0122697 Y1 KR0122697 Y1 KR 0122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water
disposed
refrigerator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23U (ko
Inventor
지준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1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697Y1/ko
Publication of KR960038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2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operated by movement of delivery hose or nozzle or by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62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얼음을 만들도록 냉장고의 냉동실(5)에 배설된 제빙장치(33)와, 냉장고의 냉장실도어(7)를 열지 않더라도 차가운 자화수를 외부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도어(7)에 배설된 물분배장치(35)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식수를 저장하도록 냉장실(3)내에 배설된 식수저장탱크(49)와, 상기 식수저장탱크(49)로부터 상기 제빙장치(33), 물분배장치(35) 및 식탁등에 배설된 물분배기(53)에 식수를 공급하도록 냉장고에 배설된 식수공급수단(55)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장고 또는 식탁에서 취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수저장탱크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제 1 도는 종래 식수공급장치가 적용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 제빙장치 35 : 물분배장치
37 : 제빙접시 39, 41 : 토출관
43, 59 : 자석부재 45, 61 : 조작스위치
49 : 식수저장탱크 53 : 물분배기
55 : 식수공급수단 57 : 물분배기의 본체
62 : 펌프수단 63, 65, 67 : 분기관
69, 71, 73 : 개폐밸브 75 : 유출안내관
77 : 유입안내관
본 고안은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또는 식탁에서 취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분배장치 또는 물분배기의 저장용기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냉장고 본체(1)의 하부에는 식품을 냉장하는 냉장실(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는 식품을 냉동저장하는 냉동실(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3) 및 냉동실(5)의 개구부에는 냉장실도어(7) 및 냉동실도어(9)가 각각 배설되어 있고, 상기 냉장실도어(7) 및 냉장실도어(9)에는 그 여닫음을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5)의 상부에는 얼음이 만들어져 저장되는 제빙실(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빙실(11)내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방장치(13)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방장치(13)의 일측에는 제빙실도어(15)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빙실도어(15)에는 그 여닫음을 용이하게 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냉장실도어(7)에는 상기 냉장실도어(7)를 열지 않더라도 차가운 자화수를 외부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물분배장치(17)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물분배장치(17)를 배설하도록 그 외측면에는 일정한 요입부(7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면에는 상기 요입부(7a)에 대응하여 돌출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장치(13)는 그 내부에 물이 담겨져 냉온에 의해 얼음이 형성되도록 제빙접시(19)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빙접시(19)에는 일정한 형태의 얼음이 형성되도록 엠보싱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분배장치(17)는 냉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냉장고도어(7)의 돌출부(7b)의 상측에는 저장용기(21)가 장착되고, 상기 저장용기(21)의 하측에는 상기 저장용기(21)의 하측에는 상기 저장용기(21)내에 있는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그 일단에 배출구(23a)가 형성된 배출관(23)이 상기 저장용기(21)에 연통되게 배설되며, 상기 배출관(23)에는 상기 배출관(23)내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도록 밸브수단(25)이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관(23)을 통해 배출되는 냉수를 자화수로 바꾸도록 자석부재(27)가 배설되고, 상기 요입부(7a)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수단(25)을 작동시키도록 레버(29)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요입부(7a)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23a)를 통해 배출되는 자화수를 받는 캡(C)을 받침과 동시에 잔수를 모으도록 받침대(31)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23)은 취수가 용이하도록 요입부(7a)의 하측방향으로 일정량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서, 자화수란 물분자중의 산소원자가 수소원자를 사이에 둔 한변으로 하여 5각고리형 또는 6각고리형등의 고리형으로 배열된 구조로서, 유동하는 물에 자장을 걸어주면, 자속의 자화력에 의해 물분자가 재배열되어 생성된다.
상기 자화수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촉진하므로 요로결석, 신경통,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피부병 및 무좀등의 치료와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암 및 노화방지등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상기 자화수중에서 물분자가 6각고리형으로 배열된 자화수(일명 육각수라고도 한다)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자화수는 저온의 물로부터 생성되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수공급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에서, 제빙장치(13)에 제빙용 식수를 공급할 때에는, 냉동실도어(9) 및 제빙실도어(15)를 순차적으로 열고, 제빙장치(13)의 제빙접시(19)에 수동으로 식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13)주위의 냉온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19)내에 형성된 얼음을 수동으로 꺼내어 일정한 목적에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물분배장치(17)에 자화수용 식수를 공급할 때에는, 냉장실도어(7)를 열고, 저장용기(21)에 수동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31)의 상면에 컵(C)을 놓은 후, 상기 레버(29)의 좌측부를 하측으로 내리면, 상기 레버(29)의 우측단부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수단925)을 작동시키고, 상기 밸브수단(25)에 의해 상기 배출관(23)의 유로가 열리며, 상기 배출관(23)을 따라 상기 배출구(23a)로 유동하는 냉수는 상기 자석부재(27)의 자화력에 의해 자화수로 변하여 상기 배출구(23a)를 통하여 상기 컵(C)에 담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수공급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에서는, 상기 제빙장치(13)에 저장된 얼음 및 상기 물분배장치(17)에 저장된 식수가 모자라면, 일일이 수동으로 상기 제빙장치(13)의 제빙접시(19) 및 물분배장치(17)의 저장용기(21)에 식수를 채워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물분배장치(17)에서는, 식수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21)에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므로, 상기 저장용기(21)의 설치위치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장고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된 식탁에서 식사를 할 경우에는, 냉장고로 사용자가 이동하여 자화수를 취수하거나, 별도의 냉수로 제조되는 자화수 제조장치를 식탁에 설치하여 자화수를 취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수저장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해 냉장고에 배설된 제빙장치 및 물분배장치에 급수할 뿐만 아니라 식탁등에 설치된 물분배기에 급수함에 의해, 냉장고 또는 식탁에서 취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수저장탱크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하는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는 얼음을 만들도록 냉장고의 냉동실에 배설된 제빙장치와, 냉장고의 냉장실도어를 열지 않더라도 차가운 자화수를 외부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도어에 배설된 물분배장치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식수를 저장하도록 냉장실내에 배설된 식수저장탱크와, 상기 식수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제빙장치, 물분배장치 및 식탁등에 배설된 물분배기에 식수를 공급하도록 냉장고에 배설된 식수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 1 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동실(5)의 상부에는 얼음이 만들어져 저장되는 제빙실(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빙실(11)내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33)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7)에는 상기 냉장실도어(7)를 열지 않더라도 차가운 자화수를 외부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물분배장치(35)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물분배장치(35)를 배설하도록 그 외측면에는 일정한 요입부(7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면에는 상기 요입부(7a)에 대응하여 돌출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장치(33)는 그 내부에 물이 담겨져 냉온에 의해 얼음이 형성되도록 제빙실(11)의 내측저면에 배설된 제빙접시(37)와, 상기 제빙접시(37)에 식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제빙실(11)의 일측에 배설된 토출관(39)을 갖추고 있다. 이때, 일정한 형태의 얼음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빙접시(37)에는 엠보싱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분배장치(35)는 상기 요입부(7a)에 놓여진 컵(C)에 자화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요입부(7a)의 상측에는 토출관(41)이 배설되고, 상기 토출관(41)에는 상기 토출관(41)을 통해 토출되는 냉수를 자화수로 바꾸도록 자석부재(43)가 배설되며, 상기 요입부(7a)의 일측면에는 상기 컵(C)에 의해 조작되도록 조작스위치(45)가 배설되고, 상기 요입부(7a)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관(41)을 통해 토출되는 자화수를 받는 컵(C)을 받침과 동시에 잔수를 모으도록 받침대(47)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토출관(41)은 취수가 용이하도록 요입부(7a)의 하측방향으로 일정량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의 냉장실(3)의 내측상부에는 식수를 저장하도록 식수저장탱크(49)가 선반(51)상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식수저장탱크(49)로부터 상기 제빙장치(33), 물분배장치(35) 및 식탁등에 배설된 물분배기(53)에 식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식수저장탱크(49)에는 식수공급수단(55)이 연통되어 있다.
상기 물분배기(53)는 그 본체(57)의 일측에는 컵(C)을 수용하도록 요입부(57a)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57a)의 상측에는 상기 컵(C)에 자화수가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관부(57b)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부(57b)에는 상기 토출관부(57b)를 통해 토출되는 냉수를 자화수로 바꾸도록 자석부재(59)가 배설되고, 상기 요입부(57a)의 일측면에는 상기 컵(C)에 의해 조작되도록 조작스위치(61)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분배기(53)의 본체(57)내에는 식수를 안내하도록 안내유로(5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수공급수단(55)은 상기 식수저장탱크(49)의 일측에 배설된 펌프수단(62)과, 상기 제빙장치(33), 물분배장치(35) 및 식탁등에 배설된 물분배기(53)에 식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관(39, 41) 및 안내유로(57c)에 각각 연통 배설된 다수의 분기관(63, 65, 67)과, 상기 각 분기관(63, 65, 67)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각 분기관(63, 65, 67)에 각각 배설된 다수의 개폐밸브(69, 71, 73)와, 상기 펌프수단(62)으로부터 상기 각 분기관(63, 65, 67)으로 식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펌프수단(62)의 유출구에 연통 배설된 유출안내관(75)과, 상기 식수저장탱크(49)내의 식수를 상기 펌프수단(62)에 안내하도록 상기 펌프수단(62)의 유입구에 연통 배설된 유입안내관(77)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분기관(63, 65, 67)은 공지의 연결구(79)에 의해 상기 토출관(39, 41) 및 안내유로(57c)에 각각 분리가능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유입안내관(77)의 식수저장탱크측 단부는 상기 식수저장탱크(49)의 내부저면에 근접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관(63, 67)은 냉장고의 중간벽 및 후측벽을 각각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식수저장탱크(49)에 식수가 충전되고, 각 개폐밸브(69, 71, 73)가 닫힌 상태에서, 먼저, 상기 제빙장치(33)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스위치에 의한 조작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밸브(69)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수단(62)이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식수저장탱크(49)내에 담겨진 식수는 유입안내관(77), 펌프수단(62), 유출안내관(75), 분기관(63) 및 토출관(39)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제빙장치(33)의 제빙접시(37)에 담겨져 제빙실(11)의 냉온에 의해 얼음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빙접시(37)에 담기는 식수의 양은 센서 또는 시간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에, 상기 물분배장치(35)로부터 취수하기 위해 컵(C)으로 물분배장치(35)의 조작스위치(45)를 밀면, 상기 조작스위치(45)에 의한 조작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전달디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밸브(71)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수단(62)이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식수저장탱크(49)내에 담겨진 식수는 유입안내관(77), 펌프수단(62), 유출안내관(75), 분기관(65) 및 토출관(41)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상기 컵(C)에 담긴다. 이때, 상기 토출관(41)내에 흐르는 식수는 자석부재(43)에 의해 자화수로 바뀌고, 상기 컵(C)을 상기 조작스위치(45)로부터 떼면 상기 펌프수단(62)이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밸브(71)는 닫힌다.
다음에, 상기 물분배기(53)로부터 취수하기 위해 컵(C)으로 식탁에 놓여진 물분배기(53)의 조작스위치(61)를 밀면, 상기 조작스위치(61)에 의한 조작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밸브(73)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수단(62)이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식수저장탱크(49)내에 담겨진 식수는 유입안내관(77), 펌프수단(62), 유출안내관(75), 분기관(67), 안내유로(57c) 및 토출관부(57b)를 순차적으로 지나서 상기 컵(C)에 담긴다. 이때, 상기 토출관부(57b)내에 흐르는 식수는 자석부재(59)에 의해 자화수로 바뀌고, 상기 컵(C)을 상기 조작스위치(61)로부터 떼면 상기 펌프수단(62)이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밸브(73)는 닫힌다.
한편, 상기 제빙장치(33), 물분배장치(35) 및 물분배기(53)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고, 상기 개폐밸브(69, 71, 73)가 닫힌 후 상기 토출관(39, 41) 및 토출관부(57b)로부터 유출하는 잔수를 줄이도록 토출시간을 제어하거나 상기 토출관(39, 41) 및 토출관부(57b)에 별도의밸브를 배설하여 유출량을 제어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는 식수저장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해 냉장고에 배설된 제빙장치 및 물분배장치에 급수할 뿐만 아니라 식탁등에 설치된 물분배기에 급수함에 의해, 냉장고 또는 식탁에서 취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수저장탱크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얼음을 만들도록 냉장고의 냉동실(5)에 배설된 제빙장치(33)와, 냉장고의 냉장실도어(7)를 열지 않더라도 차가운 자화수를 외부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도어(7)를 열지 않더라도 차가운 자화수를 외부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도어(7)에 배설된 물분배장치(35)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식수를 저장하도록 냉장실(3)내에 배설된 식수저장탱크(49)와, 상기 식수저장탱크(49)로부터 상기 제빙장치(33), 물분배장치(35) 및 식탁등에 배설된 물분배기(53)에 식수를 공급하도록 냉장고에 배설된 식수공급수단(55)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수공급수단(55)은 상기 식수저장탱크(49)의 일측에 배설된 펌프수단(62)과, 상기 제빙장치(33), 물분배장치(35) 및 식탁등에 배설된 물분배기(53)에 식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관(39, 41) 및 안내유로(57c)에 각각 연통 배설된 다수의 분기관(63, 65, 67)과, 상기 각 분기관(63, 65, 67)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각 분기관(63, 65, 67)에 각각 배설된 다수의 개폐밸브(69, 71, 73)와, 상기 펌프수단962)으로부터 상기 각 분기관(63, 65, 67)으로 식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펌프수단(62)의 유출구에 연통 배설된 유출안내관(75)과, 상기 펌프수단(62)의 유출구에 연통 배설된 유출안내관(75)과, 상기 식수저장탱크(49)내의 식수를 상기 펌프수단(62)에 안내하도록 상기 펌프수단(62)의 유입구에 연통 배설된 유입안내관(77)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수공급장치.
KR2019950011746U 1995-05-29 1995-05-29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KR0122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746U KR0122697Y1 (ko) 1995-05-29 1995-05-29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746U KR0122697Y1 (ko) 1995-05-29 1995-05-29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23U KR960038223U (ko) 1996-12-18
KR0122697Y1 true KR0122697Y1 (ko) 1998-08-17

Family

ID=1941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746U KR0122697Y1 (ko) 1995-05-29 1995-05-29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6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40B1 (ko) * 2005-12-12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음료 취출 장치의 배관구조
WO2008156287A1 (en) * 2007-06-18 2008-12-24 Chungho Nais Co., Ltd. Hot/cold water supplier having ice-making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40B1 (ko) * 2005-12-12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음료 취출 장치의 배관구조
WO2008156287A1 (en) * 2007-06-18 2008-12-24 Chungho Nais Co., Ltd. Hot/cold water supplier having ice-mak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23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752B1 (ko) 냉장고
US7698900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188513B1 (ko) 냉장고
CN103423936B (zh) 具有制造碳酸水的装置的冰箱
US8833100B2 (en) Water reservoir pressure vessel
KR101096994B1 (ko) 냉장고
US20080134707A1 (en) Refrigerator
KR101569541B1 (ko) 저장고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수전 매니폴드를 구비한 급수기
KR20100102048A (ko) 냉장고
WO2022148481A1 (zh) 独立式冰块或饮料分配电器
KR0122697Y1 (ko) 냉장고의 식수 공급장치
US11326825B2 (en)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US9267732B2 (en) Refrigerator
WO2020233541A1 (zh) 具有储冰盒的制冷电器
KR20050033296A (ko) 냉장고의 얼음 취출장치
JPH10132456A (ja) 冷蔵庫
KR200351926Y1 (ko) 커피 및 차 공급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
KR100246430B1 (ko) 복합냉장고의 디스펜스기능 관련 배관시스템 구조
JP2978401B2 (ja) 飲料注出装置
KR0178879B1 (ko) 자동제빙기가 부착된 냉장고
KR200353362Y1 (ko) 냉온수기의 착탈식 디스펜서
WO2023284707A1 (zh) 具有冷却分配组件的制冷电器
KR0118045Y1 (ko) 냉장고의 자화수 제조장치
KR20220100445A (ko) 냉장고
JP2024070061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