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374Y1 - 곡물의 세척, 탈수기 - Google Patents

곡물의 세척, 탈수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374Y1
KR0122374Y1 KR2019950013680U KR19950013680U KR0122374Y1 KR 0122374 Y1 KR0122374 Y1 KR 0122374Y1 KR 2019950013680 U KR2019950013680 U KR 2019950013680U KR 19950013680 U KR19950013680 U KR 19950013680U KR 0122374 Y1 KR0122374 Y1 KR 0122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ischarge
shaft
tank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125U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2019950013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374Y1/ko
Publication of KR970000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2D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깨와 같은 곡물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걸러냄과 함께 이를 탈수 배출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세척,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척장치(10)를 구비한 세척조(30)와 세척된 곡물을 탈수시키는 탈수장치(50) 및 탈수된 깨를 방출시키는 배출부재(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의 세척, 탈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곡물 세척, 탈수기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세척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장치 11 : 모터
14 : 중공축 17, 21 : 체인
18 : 축받이 19 : 축
22 : 믹서플레이트 30 : 세척조
33 : 유입관 34 : 원판밸브
38 : 드레인밸브 50 : 탈수장치
58 : 탈수조 70 : 배출부재
80 : 공기발생기 100 : 세척, 탈수기
본 고안은 깨와 같은 곡물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걸러냄과 함께 이를 탈수 배출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세척,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깨와 같은 곡물을 탈곡한 후에는 체를 이용하여 불순물(예로, 돌맹이 등등)을 걸러내고 다시 물을 이용하여 세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깨끗한 깨를 얻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단지 체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걸러낸 후 이를 세척용기에 넣어 세척한 후 꺼내어 자연 건조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일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대량의 깨를 세척하고 탈수 건조시키는데 따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깨를 세척하고 탈수 건조시키는 일련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세척 및 탈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가공생산성의 향상에 따른 인건비절감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세척, 탈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척장치를 구비한 세척조와 세척된 곡물을 탈수시키는 탈수장치 및 탈수된 깨를 방출시키는 배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척, 탈수기(100)는 크게 세척장치(10)를 구비한 세척조(30)와, 세척된 깨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50) 및 탈수된 깨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장치(10)는 세척조(30)의 상부커버(31)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브래킷(32)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부착된다. 상기 세척장치(10)에는 모터(11)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모터축(12)에 체인스프로킷(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와 일정거리를 두고 상부커버(31)에는 중공축(14)이 설치되고, 이 중공축(14)의 상부와 중간부에는 각각 체인스프로킷(15)(16)이 설치되어 상부 체인스프로킷(15)이 상기 체인스프로킷(13)과 체인(17)을 매개로 연결되고, 중간부의 체인스프로킷(16)은 이 체인스프로킷(16)과 일정거리를 갖고 수직 설치되는 축받이(18)의 축(19)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20)과 체인(21)을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축(19)의 하부에는 믹서플레이트(2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중공축(14)과 축받이(18)는 연결간(2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11)의 구동력이 체인(17)(21)을 매개로 연결된 각 중공축(14)과 축(19)을 회전시킴에 다라 믹서플레이트(22)가 회전됨과 동시에 연결간(23)을 매개로 하여 중공축(14)과 연결된 축받이(18)가 중공축(14)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호퍼형상을 갖는 세척조(30)의 바닥 중앙에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유입관(33)이 고정설치되고 이 유입관(33)의 상부 위치로는 원판밸브(34)가 형성된다. 이 원판밸브(34)의 상부에는 스프링(35)을 구비한 작동로드(36)가 상기 중공축(14)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연결되고 작동로드(36)의 상부에는 작동로드(36)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원판밸브(34)를 개폐동작시키는 레버(37)가 브래킷(32)을 통해 설치된다.
그리고 세척조(30)의 바닥에는 세척수를 임의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38)가 설치된다. 따라서 세척조(30)에 채워진 세척수는 상기 원판밸브(34)가 유입관(33)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세척장치(30)에 의해 깨를 세척한 후 레버(37)의 작동에 따라 원판밸브(34)를 개방시켜 세척된 깨가 유입관(33)을 통해 후술하는 탈수조(58)로 공급되고, 깨의 세척이 이루어지면서 불순물은(예로, 돌맹이) 자중에 의해 세척조(30)의 바닥에 모이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탈수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탈수장치(50)의 외부에는 커버몸체(51)가 형성되고 커버몸체(51)의 상부에는 지지커버(52)가 형성되어 커버몸체(51)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몸체(51)의 중앙으로는 중공관(53)이 고정되어 이 중공관(53)에 상기 유입관(33)이 삽입되며, 중공관(53)의 하부에는 베어링 결합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판(54)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몸체(51)의 일측에 모터(55)가 부착되고 모터축에 설치된 풀리(56)가 상기 회전판(54)과 벨트(57)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판(54)과 연결된 탈수조(58)가 상기 모터(5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깨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지커버(52)내에는 밸트(57)가 개재되고 지지커버(52)의 상부에 복수로 설치된 앵글플레이트(59)가 상기 세척조(30)를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받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탈수조(58)의 하부에는 탈수된 깨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70)가 설치된다. 이 배출부재(70)는 커버몸체(51)에 연결봉(71)으로 힌지드 결합된 배출판(72)과 배출판(72) 위에 고정 설치된 원판블록(73)에 베어링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결합원판(74) 및 배출판(72)을 개폐시키는 레버(75)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판(72)이 탈수조(58)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원판(74)이 탈수조(58)의 하부와 결합되어 탈수조(58)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세척조(30)의 유입관(33)이 원판밸브(34)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세척수를 담고 세척할 깨를 넣는다. 이후 모터(11)를 작동시키면 모터(11)의 구동력이 체인(17)(21)을 매개로 연결된 각 중공축(14)과축(19)을 회전시킴에 따라 믹서플레이트(22)가 회전됨과 동시에 연결간(23)을 매개로 하여 중공축(14)과 연결된 축받이(18)가 중공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같이 회전 동작되는 믹서플레이트(22)가 세척수를 통해 깨를 세척함에 따라 깨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돌멩이와 같은 불순물은 자중에 의해 세척조(30)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이와 같이 깨가 세척장치(10)에 의해 불순물이 세척조(30)내에서 걸려진 상태이고 세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레버(37)를 작동시켜 작동로드(36)가 상방향으로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유입관(33)에 스프링(35)의 반발력에 의해 닫혀 있던 원판밸브(34)는 유입관(33)과 이격되면서 개방된다. 따라서 유입관(33)을 통해 세척된 깨와 함께 세척수는 탈수조(58)로 유입되고 세척조(30)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불순물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탈수조(58)로 유입되는 깨는 모터(55)의 구동력에 의해 벨트(57)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판(54)이 회전되면서 탈수조(58)를 회전시켜 원심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커버몸체(51)의 일측에 위치한 배출관(60)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고 탈수된 깨만 탈수조(58)에 남아있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커버몸체(51)에 연결봉(71)으로 힌지드 결합되어 닫혀진 상태에 있는 배출판(72)을 레버(75)를 동작시켜 오픈시키게 되면 배출판(72)은 연결봉(71)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경사를 이룬 상태로 오픈이 이루어져 깨는 배출판(72)을 타고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용효과에 의해 깨의 세척과 동시에 불순물의 제거가 이루어지고, 이후 탈수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조(30)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세척수를 교체시에는 드레인밸브(38)를 열어 밖으로 배출시키면 된다.
한편 제4도는 본 고안 세척장치(10-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중공축(14)과 축(19)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체인스 프로킷(13)(15)(16)(20)과 체인(17)(21) 대신 이와 부합되는 기어(24)(25)와 기어(26)(27)의 이물림에 의해 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한편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된 깨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조(58)의 내벽 주위에 붙어 있는 것을 신속히 배출시키기 위해 공기발생기(8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같은 공기발생기(80)의 설치는 공기발생기(80)에 연결되고 파이프의 둘레에 다수의 공기 방출구멍을 갖는 공기파이프(82)를 지지커버(52)에 고정된 중공관(53)을 통해 탈수조(58)의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깨의 원심분리가 이루어진 직후에 공기방출구멍을 통해 방사형태로 방출되면서 탈수조(58)의 내벽에 붙어 있는 깨를 털어내어 배출판(72)으로 신속히 배출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곡물 세척, 탈수기에 의하면 세척장치와 세척조에 의해 깨의 세척과 동시에 불순물에 걸러지고 탈수장치에 의해 세척된 깨의 탈수가 이루어지고, 배출부재에 의해 탈수된 깨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시간당 곡물의 가공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아울러 인력절감을 꾀할 수 있다.

Claims (4)

  1. 세척조(30)의 상부커버(31)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브래킷(32)에 모터(11)가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고, 모터축(12)과 상부커버(31)에 설치된 중공축(14) 및 이 중공축(14)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축받이(18)에 설치된 축(19)에 각각 체인스프로킷(13)(15)(16)(20)을 설치하여 체인(17)(21)을 매개로 연결하고, 상기 축(19)의 하부에 믹서플레이트(22)를 설치하고 상기 중공축(14)과 축받이(18)을 연결간(23)으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믹서플레이트(22)가 회전됨과 동시에 축받이(18)가 중공축(14)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세척장치(10)와 ; 세척조(3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설치된 유입관(33)과, 이 유입관(33)을 개폐시키는 원판밸브(34)는 스프링(35)을 구비한 작동로드(36)가 상기 중공축(14)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작동로드(36)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원판밸브(34)를 개폐동작시키는 레버(37)가 브래킷(32)을 통해 설치되고 세척조(30)의 바닥에는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38)를 구비하고 ; 상기 세척조(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곡물을 탈수하는 탈수장치(50) 및 ; 탈수장치(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탈수된 곡물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세척, 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중공축(14)과 축(19)을 연결시키기 위해 기어(24)(25)와 기어(26)(27)의 이물림에 의해 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장치(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세척, 탈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70)는 커버몸체(51)에 연결봉(71)으로 힌지드 결합된 배출판(72)과 배출판(72) 위에 고정 설치된 원판블록(73)에 베어링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결합원판(74) 및 배출판(72)을 개페시키는 레버(7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세척, 탈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50)에 있어 탈수조(58)의 내벽에 붙어 있는 곡물을 신속히 털어내기 위해 파이프(82)의 둘레에 다수의 공기방출구멍을 갖는 공기발생기(80)를 지지커버(52)에 고정하고 상기 파이프(82)를 중공판(53)을 통해 탈수조(58)의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세척, 탈수기.
KR2019950013680U 1995-06-16 1995-06-16 곡물의 세척, 탈수기 KR0122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680U KR0122374Y1 (ko) 1995-06-16 1995-06-16 곡물의 세척,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680U KR0122374Y1 (ko) 1995-06-16 1995-06-16 곡물의 세척, 탈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25U KR970000125U (ko) 1997-01-21
KR0122374Y1 true KR0122374Y1 (ko) 1998-07-15

Family

ID=1941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680U KR0122374Y1 (ko) 1995-06-16 1995-06-16 곡물의 세척,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37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35B1 (ko) *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101719637B1 (ko) * 2016-10-07 2017-03-24 이도재 곡물 세척 장치
CN109329990A (zh) * 2018-11-21 2019-02-15 王水生 一种具有清洗功能的食品加工用蔬菜脱水装置
KR101990888B1 (ko) * 2019-02-26 2019-06-19 (주)하이젠텍 농산물 탈수기
KR102258786B1 (ko) * 2020-11-27 2021-05-28 김젬마 탈수장치의 배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031A (ko) * 2001-08-06 2003-02-14 박종현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35B1 (ko) *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101719637B1 (ko) * 2016-10-07 2017-03-24 이도재 곡물 세척 장치
CN109329990A (zh) * 2018-11-21 2019-02-15 王水生 一种具有清洗功能的食品加工用蔬菜脱水装置
KR101990888B1 (ko) * 2019-02-26 2019-06-19 (주)하이젠텍 농산물 탈수기
KR102258786B1 (ko) * 2020-11-27 2021-05-28 김젬마 탈수장치의 배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25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2202B2 (ja) 汚泥脱水処理装置
KR0122374Y1 (ko) 곡물의 세척, 탈수기
US5632097A (en) Brine shrimp cyst drying device
GB928066A (en) Sludge thickener
CN101468349A (zh) 冲洗装置
US49967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brine shrimp cysts
JPH07223719A (ja) 脱水ケーキの破砕搬送機
US23127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aining liquids
JP3244719B2 (ja) し渣洗浄装置
US2657801A (en) Watermelon crusher and seed separator
US2795331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by suspension
CN218210327U (zh) 一种细骨料含泥量检验用清洗烘干装置
JP3749663B2 (ja) 無洗米製造装置
KR100493762B1 (ko) 곡물세척기
CN216094862U (zh) 一种高效转筒式除梗粒选机
KR200363074Y1 (ko) 과실 분리기
JP3212319B2 (ja) し渣洗浄装置
CN216606058U (zh) 用于砂石分离机的排污装置
CN219252880U (zh) 一种超白改性石英砂旋转清洗设备
CN214594083U (zh) 一种大豆除杂筛选装置
SU167846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мойки изделий
KR830002543Y1 (ko) 오물 선별 제거기
JPH08257283A (ja) 産業用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201220Y1 (ko) 스크류프레스가 부설된 탈수장치
CN117463683A (zh) 一种中药饮片生产用滚筒式洗药机及其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