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637Y1 - 보빈의 터미널구조 - Google Patents

보빈의 터미널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637Y1
KR0121637Y1 KR2019940036106U KR19940036106U KR0121637Y1 KR 0121637 Y1 KR0121637 Y1 KR 0121637Y1 KR 2019940036106 U KR2019940036106 U KR 2019940036106U KR 19940036106 U KR19940036106 U KR 19940036106U KR 0121637 Y1 KR0121637 Y1 KR 0121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terminal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716U (ko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6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637Y1/ko
Publication of KR960025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7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2Manufacturing the terminal arrangement per se; Connecting the terminals to an externa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빈의 터미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터미널에 코일연결부가 일측으로 단순히 연장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을 연결하여도 보빈의 연결편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수지몰딩시 사출압에 의해 코일의 단선불량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의 탄성걸림편을 보빈의 연결편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수지를 몰딩시 사출압에 의해서 와이어의 단선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원가절감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빈의 터미널구조
제1도의 (a)(b)는 종래기술에 대한 보빈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빈의 터미널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빈 12 : 코일
14 : 연결편 16,16a : 터미널
18 : 코일연결부 20 : 탄성걸림편
24 : 엠보싱요홈 26 : 파형부
본 고안은 냉장고에 사용되는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의 결선부를 보빈의 연결편내부에 삽입하여 코일의 단선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보빈의 터미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모터에 사용되는 보빈은 제 1도의 (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형으로 된 보빈(10)의 외주면에 코일(12)이 권선되어 있고, 상기 보빈(10)양단의 연결편(14)에는 코일(12)이 인출되어 연결된 터미널(16)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빈은, 보빈(10)에 코일(12)이 권선되고 터미널(16)이 연결된 상태로 수지몰딩하여 냉장고의 모터에 내장되는 조립부품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빈의 터미널구조에 있어서는, 터미널(16)에 코일연결부(18)가 일측으로 단순히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12)을 연결하여도 보빈(10)의 연결편(14)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수지몰딩시 사출압에 의해 코일(12)의 단선불량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빈(10)을 수지로 몰딩시 상기 터미널(16)에 연결된 코일(12)의 단선불량이 발생되면 부품전체를 폐기 처분해야 하기 때문에 재료 및 인건비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일이 연결된 터미널의 탄성결림편을 보빈의 연결편내부에 내장함으로써, 수지를 몰딩하는 작업시 사출압에 의해서 결선된 코일의 단선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보빈의 터미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으로 된 보빈의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보빈 양단의 연결편에는 인출된 코일이 결선되는 터미널을 삽입장착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터민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의 내부에 외부노출없이 삽입되는 탄성걸림편을'ㄷ'자형으로 굴곡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터미널 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상기 탄성걸림편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엠보싱요홈과 파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보빈의 터미널구조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빈의 터미널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써, 사각형으로 된 보빈(10)의 외주면에 코일(12)이 권선되어 있고, 상기 보빈(10) 양단의 각 연결편(14)에는 인출된 코일(12)이 연결되는 터미널(16a)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16a)은 단부에 코일(12)이 연결되어 결선부위를 형성하는 탄성걸림편(20)이 'ㄷ'자형 단면구조로 연결편(14)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14)에 삽입고정되는 터미널(16a)은 제 3도의 (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엠보싱요홈(24)을 상부내측면에 형성한 탄성걸림편(20)을 갖추어 구성되거나, 제 3도의 (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터미널(16a)의 일단부에 파형부(26)가 상부내측면에 형성된 탄성걸림편(20)을 갖추어 구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빈은, 보빈(10)의 외주면에 코일(12)이 권선되고 상기 코일(12)의 단부를 터미널(16a)의 탄성걸림편(20)에 연결한 다음 보빈(10)의 연결편(14)에 끼운 상태로 수지로 몰딩하여 완성품의 보빈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빈의 터미널구조는 코일(12)의 결선부위인 코일연결부(18)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지로 몰딩하던 종래기술과 다르게 터미널(16a)의 탄성걸림편(20)에 코일(12)이 연결된 본 고안의 터미널(16a)을 보빈(10)의 연결편(14)내부에 삽입하여 사익 코일(12)과 탄성거림편(20)이 연결된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지를 몰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출압에 의해서 코일(12)의 단선불량이 미연에 방지되고 폐기처분으로 인한 재료 및 인건비의 막대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터미널(16a)의 일단에 'ㄷ'자형으로 굴곡형성된 탄성걸림편(20)이 보빈(10)의 개방된 연결편(14)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확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보빈(10)의연결편(14)에 삽입된 터미널(16a)이 조립후 외부로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편(14)과 터미널(16a)의 조립상태를 수지몰딩작업완료시 까지 안전하게 유지하여 조립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보빈의 터미널구조에 의하면, 코일이 연결된 터미널의 탄성걸림편을 외부노출이 없도록 보빈의 연결편 내부에 내장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수지를 몰딩하여 보빈을 완성하는 작업시 사출압에 의해서 종래와 같이 결선된 코일이 단선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사각형으로 된 보빈(10)의 외주면에 코일(12)이 권선되고, 상기 보빈(10)양단의 연결편(14)에는 인출된 코일(12)이 결선되는 터미널(16a)을 삽입장착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6a)의 일단부에는 상기 코일(12)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14)의 내부에 외부노출없이 삽입되는 탄성걸림편(20)을 'ㄷ'자형으로 굴곡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터미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편(20)은 상측내측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엠보싱요홈(24)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터미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편(20)은 상부내측면에 파형부(26)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터미널구조.
KR2019940036106U 1994-12-27 1994-12-27 보빈의 터미널구조 KR0121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106U KR0121637Y1 (ko) 1994-12-27 1994-12-27 보빈의 터미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106U KR0121637Y1 (ko) 1994-12-27 1994-12-27 보빈의 터미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716U KR960025716U (ko) 1996-07-22
KR0121637Y1 true KR0121637Y1 (ko) 1998-10-01

Family

ID=1940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106U KR0121637Y1 (ko) 1994-12-27 1994-12-27 보빈의 터미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6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287B2 (en) 2020-06-05 2023-11-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rushless motor for a power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287B2 (en) 2020-06-05 2023-11-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rushless motor for a power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716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641Y1 (ko) 외장(外裝) 몰드 코일
KR870002935Y1 (ko) 스냅식 몰입버클
US6118361A (en) Molded coil a method and a mold for producing the same
CA1064234A (en) Manufacture of coil bobbins
KR0121637Y1 (ko) 보빈의 터미널구조
WO2006062343A1 (en) Laundry device
US6707365B2 (en)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WO1989011153A1 (en) A marking device
US4436253A (en) Device for clamping one terminal end of a tape in a tape reel
US5358354A (en) Resilient coupling
JP3943766B2 (ja) 電気部品のリード線保持構造
JPH0611332U (ja) 電磁機器
KR0113953Y1 (ko) 코어지지 플래시가 형성된 몰딩 케이스
JP3832491B2 (ja) モールドモータ
KR200152269Y1 (ko) 세탁기의 콘덴서고정부
KR0112801Y1 (ko) 노이즈 필터(Noise Filter)용 페라이트 코일 결합구조
KR0112818Y1 (ko) 세탁기의 운반용 손잡이 구조
KR0126257Y1 (ko)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KR200193884Y1 (ko) 체결용 밴드
JP4077545B2 (ja) ソレノイド
KR930011371A (ko)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KR960001242Y1 (ko) 쉐딩코일형 유도전동기의 코어(core) 절연케이스
KR0117974Y1 (ko) 코일용 보빈
JPH0525920U (ja) プロテクタ
KR19990005997U (ko) 코일 권선용 보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