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472Y1 - 가변형 치솔 - Google Patents
가변형 치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1472Y1 KR0121472Y1 KR2019960012519U KR19960012519U KR0121472Y1 KR 0121472 Y1 KR0121472 Y1 KR 0121472Y1 KR 2019960012519 U KR2019960012519 U KR 2019960012519U KR 19960012519 U KR19960012519 U KR 19960012519U KR 0121472 Y1 KR0121472 Y1 KR 01214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toothbrush
- coupled
- groov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치솔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광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솔의 개면을 완전히 탈피하여 치솔모자 식모된 유동간이 자체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양치질을 할 경우 잘 닦여지지 않은 구석구석에 위치한 치아까지 청결하게 닦을 수 있게 한 것임.
다. 고안이 해결방법의 요지
케이스(2)의 후단에 고리(27)가 형성된 캡(5)을 결합하고, 캡(5) 내부에는 고정관(7)을 형성하여 외주연에 스프링(9)을 탄설하되, 고정판(7)이 선단 내부에는 가이드 돌기(8)를 형성하며, 이에는 관체(3) 내부에 결합된 회동축(17)의 스크류축봉(6)을 결합하여 회동축(17)이 스프링(9)에 의해 작동하게 구성하고, 회동축(17)의 선단에는 다각이 결합봉(26)을 형성하며, 관체(3)의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턱(18)을 형성하고, 회동축(17)의 선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봉(26)에 끼움될 수 있는 하우징(4)을 구성하되, 하우징(4)의 결합부위에는 한쌍의 걸림홈(20)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요입홈(19)과 끼움공(21)을 각각 형성하며, 유동간(22)의 전후에 형성된 축판(23)과 결합관(24)을 결합하고, 타측의 결합관(24)은 하우징(4)이 요입홈(19)측으로 결합하며, 케이스(2)의 일측에는 결합요흠(10)을 형성하여 내부에 작동편(12)을 결합한 후 이를 작동하므로서 치아를 닦을 수 있게 한 것임.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치솔 용도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치솔모자 식모된 유동간의 작용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치솔 2:케이스
3:관체 4:하우징
5:캡 6:스크류축봉
7:고정관 8:가이드돌기
9:스프링 10:결합요홈
11:돌출턱 12:자동핀
13:절곡편 14:가이드홈
15:탄성편 16:걸림턱
17:회동축 18:걸림턱
19:효임홈 20:걸림홈
21:끼움공 22:유동간
23:축핀 24:결합관
25:치솔모 26:결합봉
27:고리
본 고안은 가변형 치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솔이 개념을 완전히 탈피하여 치솔모가 식모된 유동간이 자체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양치질 할 경우 잘 닦여지지 않은 구석구석에 위치한 치아까지 청결하게 닦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보편화 된 치솔의 경우는 주로 고정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이러한 기존에 널리 보급되어 온 치솔의 경우는 다음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이 널리 일반화 된 치솔의 경우는 치솔모가 식모된 부위가 가변식으로 움직이지 않아 주로 횡방향으로 치솔질을 하는 경우는 전방에 노출된 치아의 경우는 양치질이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지나 입 안쪽에 위치한 치아의 양치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결한 치아 관리에 어려움이 따랐고, 또한 한편으로는 상하로 이동을 하면서 양치질을 할 경우 역시 노출된 전방의 부위에는 비교적 양호한 양치질이 이루어지나 안쪽의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은 제거하기 어려워 양치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솔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원을 이용하거나 건전지 등이 수단으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치솔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치솔모의 회전속도가 너무 빨라 잇몸을 상하게 하는 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으며, 별도로 전원을 연결하거나 건전지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가격이 앙등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솔의 구조를 개량하여 양치질을 할 경우 일반적인 양치질의 방법과 동일하게 횡방향이나 종방향중 선택적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면 치솔모가 식모된 유동간이 자체적인 가변이 되어 노출된 부위의 치아는 물론 내부의 어금니까지 정확하고 깨끗하게 치솔적인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치솔모가 가변되어 구석구석 깨끗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게 하며,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치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을 치솔모가 가변될 수 있게 하여 치아의 치솔질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하나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대략 치솔모(25)가 결합된 하우징(4)과 관체(3) 및 캡을 케이스(2)와 대분되어 각각의 구성품이 결합될 수 있게 한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2)의 후단에는 고리(27)가 형성된 캡(5)을 결합하고, 상기 캡(5)의 내부에는 고정관(7)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이의 외주연에는 스프링(9)을 탄설하되, 고정관(7)의 선단 내면에는 가이드돌기(8)를 각각 형성하며, 이에는 관체(3)의 내부에 결합된 회동축(17)의 스크류축봉(6)을 끼움으로 결합하여 회동축(17)이 스프링(9)이 탄발력에 의해 비틀림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회동축(17)의 선단에는 임의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각으로 된 결합봉(26)을 형성하며, 상기 관체(3)의 결합되는 부위의 선단 외측에는 한쌍의 걸림턱(18)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회동축(17)의 선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봉(26)에 끼움될 수 있는 하우징(4)을 구성하되, 하우징(4)이 결합부위에는 관체(3)의 걸림턱(18)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걸림홈(20)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고, 내부 양측에는 치솔모(25)가 식모(植毛)된 유동간(22)을 결합할 수 있게 요입홈(19)과 끼움공(21)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유동간(22)의 전후에는 축핀(23)과 결합판(24)을 각각 형성하여 축핀(23)은 하우징(4)의 끼움공(21)에 결합하고, 타측의 결합과(24)은 하우징(4)의 요입홈(19)측으로 결합하여 관체(3)의 내부에 결합된 회동축(17)의 결합봉(26)과 상호 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케이스(2)의 상부 일측에는 결합요홈(10)을 형성하여 작동편(12)을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결합요홈(10)이 형성된 외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4)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돌출턱(11)을 형성하며, 작동편(12)의 하단은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편(13)을 형성하여 케이스(2)의 가이드홈(14)에 상호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고, 절곡편(13)의 하단 내측에는 걸림턱(16)을 갖는 탄성편(15)을 형성하여 전술한 관체(3)의 걸림홈(3a)과 상호 걸림될 수 있게 하며, 상기와 같은 작동편(12)의 작동으로 돌출턱(11)과 걸림턱(16)의 작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고정형 치솔(1)이 기능과 가변형 치솔(1)의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중 도면상으로 결합봉(26)과 결합판(24)의 결합되는 형상을 대락 사각형으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동일하게 원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별도의 홀딩 수단으로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며, 내부의 스크류축봉(6)과 가이드돌기(8)는 대략 4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2방향 또는 3방향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동간(22)의 회동 각도는 임의의 각도로서 변위되게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변위되는 각도를 일정간격으로 줄일 수 있음도 당연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양치질을 할 경우 자동으로 유동간(22)에 의해 치솔모(25)가 가변되어 지금까지 잘 닦여지지 않는 구석 부분의 치아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게 한데 요지가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함에 있어서, 우선 일반적인 치솔(1)로 사용할 경우는 케이스(2)의 일측에 결합된 작동편(12)을 자동하여 일측으로 밀면 케이스(2)의 결합요홈(10)에 형성된 돌출턱(11)에 의해 작동편(12)의 탄성편(15)에 형성된 걸림턱(16)이 이탈을 하게 되어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편(12)의 탄성편(15)에 형성된 걸림턱(16)이 케이스(2)의 결합요홈(10) 내부에 형성된 돌출턱(11)으로 부터 이탈되어 하향으로 눌러지므로 결국은 탄성편(15)이 관체(3)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홈(3a)에 끼움으로 걸리게 되어 후방이 스프링(9)의 탄발력과는 상관없이 관체(3)아 회동축(17)은 정지된 상태로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치솔(1)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이용하여 가변식 치솔(1)로서 사용할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반대로 작동편(12)을 반대로 밀면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편(12)의 절곡편(13)이 케이스(2)의가이드홈(14)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의 작동은 케이스(2)의 결합요홈(10) 내부에 형성된 돌출턱(11)으로 부터 걸림된 작동편(12)에 형성된 탄성편(15)의 걸림턱(16)이 상기 결홈요홈(10)의 돌출턱(11)에 걸린 상태에서 대기하여 되어 결국은 탄성편(15)의 선단은 관체(3)의 걸림홈(3a)으로 부터 이탈이 되어 결림현상이 해지되므로 회동축(17)은 관체(3) 및 케이스(2)와는 각각 따로 작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치질을 할 경우는 통상적인 양치질의 방식으로 양치질을 할 수가 있는 바, 즉 이 경우는 케이스(2)를 잡고서 치솔모(25)가 형성된 유동간(22) 측의 하우징(4)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양치질의 기능을 달성할 수가 있으며, 이때 입속에 들어간 하우징(4)이 왕복운동을 하게되면 자체적인 힘이 발생에 의해 관체(3)와 회동축(17)은 걸림현상이 해지되어 전후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캡(5)의 내측에는 가이드돌기(8)가 형성된 고정관(7)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축(17)의 후방에 형성된 스크류축봉(6)에 끼움 결합되어 일정각도로 비틀리게 형성되어 있어서 관체(3)와 회동축(17)이 전후로 이동을 함에 따라 케이스(2)는 고정상태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서 되어 있고, 관체(3)와 회동축(17)은 가변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결국은 전방의 치솔모(25)가 식모된 유동간(22)은 각각의 끼움공(21)과 요입홈(19)에 끼움 결합된 축핀(23)과 결합판(24)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로서 각운동을 하게 되어 횡방향의 운동은 물론 종방향으로 양치질이 자동으로 향해지는 것이며, 이의 작동은 고정판(7)의 외주연에 탄설된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관체(3)이 회동축(17)이 작동을 할 경우 케이스(2)와 관체(3)는 고정상태로 손으로 파지하여 왕복운동을 하지만 내부의 회동축(17)은 상호 왕복운동을 동시에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스크류축봉(6)과 가이드돌기(8)의 작동으로 비틀림 현상으로 전방측의 치솔모(25)가 식모된 유동간(22)은 일정 각도로 각운동을 하게 되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치솔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는 하우징(4)과 회동축(17)의 선단 즉 결합 부위에는 걸림턱(18)과 걸림홈(20)이 상호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4)과 회동축(17)의 걸림홈(20)과 걸림턱(18)에 의해 상호 끼움으로 결합을하게 되면 매우 양호하고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져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치솔(1)의 개념의 탈피하여 관체(3)의 내부에 회동축(17)을 스크류축봉(6)에 의해 일정각도로서 각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별도의 작동없이 양치질을 할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치솔모(25)가 식모된 유동간(22)이 자체적으로 가변되므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의 양치질이 효과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구석구석에 있는 치아까지 청결하고 깨끗하게 관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비틀림형 스크류축봉에 의해 양치질을 할 경우 자체적인 각도가 가변되어 지금까지 잘 닦여지지 않는 치아를 매우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므로 치아건강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개념의 치솔로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된 작동편을 작동하므로서 하우징의 선단이 자체적으로 각도가 변위되어 보다 효과적인 양치질을 할 수 있는 등이 효과가 부가되어 각종의 가변형 치솔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 케이스(2)의 후단에 고리(27)가 형성된 캡(5)을 결합하고, 캡(5) 내부에는 고정관(7)을 형성하여 외주연에 스프링(9)을 탄설하되, 고정관(7)의 선단 내부에는 가이드돌기(8)를 형성하며, 이에는 관체(3) 내부에 결합된회동축(17)의 스크류축봉(6)을 결합하여 회동축(17)이 스프링(9)에 의해 작동하게 구성하고, 회동축(17)의 선단에는 다각의 결합봉(26)을 형성하며, 관체(3)의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턱(18)을 형성하고, 회동축(17)의 선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봉(26)에 끼움될 수 있는 하우징(4)을 구성하되, 하우징(4)이 결합부위에는 한쌍의 걸림홈(20)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요입홈(19)과 끼움공(21)을 각각 형성하며, 유동간(22)의 전후에 형성된 축핀(23)과 결합관(24)을 결합하고, 타측의 결합판(24)은하우징(4)의 요입홈(19)측으로 결합하여 회동축(17)의 결합봉(26)과 상호 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며, 케이스(2)의 일측에는 결합요홈(10)을 형성하여 작동편(12)을 결합하되, 결합요홈(10)의 외측에는 가이드홈(14)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돌출턱(11)을 형성하며, 작동편(12)의 하단에는 절곡편(13)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고, 절곡편(13)의 하단에는 걸림턱(16)을 갖는 탄성편(15)을 형성하여 관체(3)의 걸림홈(3a)과 걸림될 수 있게 하며, 작동편(12)에 의해 돌출턱(11)과 걸림턱(16)의 작동으로 고정형 치솔의 기능과 가변형 치솔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치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2519U KR0121472Y1 (ko) | 1996-05-14 | 1996-05-14 | 가변형 치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2519U KR0121472Y1 (ko) | 1996-05-14 | 1996-05-14 | 가변형 치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0454U KR970060454U (ko) | 1997-12-10 |
KR0121472Y1 true KR0121472Y1 (ko) | 1998-08-01 |
Family
ID=1945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12519U KR0121472Y1 (ko) | 1996-05-14 | 1996-05-14 | 가변형 치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147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95536B2 (en) | 2013-11-15 | 2016-03-29 | Koel Co., Ltd. | Automatic rotating interdental brush |
-
1996
- 1996-05-14 KR KR2019960012519U patent/KR01214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95536B2 (en) | 2013-11-15 | 2016-03-29 | Koel Co., Ltd. | Automatic rotating interdental brus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0454U (ko) | 1997-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98366A (en) | Rocker toothbrush | |
US5842244A (en) | Brush section for an electric toothbrush | |
KR100971328B1 (ko) | 칫솔 | |
JPH11501247A (ja) | 歯洗浄装置およ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 |
JP2003512886A (ja) | 主ブラシと横方向及び縦方向に調節可能な歯間用の毛とを有する歯ブラシ | |
EP0585408A4 (en) | Rocker toothbrush | |
KR100565867B1 (ko) | 칫솔 장치 | |
KR101923642B1 (ko) | 다면 진동 세정칫솔 | |
KR20080089802A (ko) | 회전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 |
JP2012513799A (ja) | 電動駆動される単一房を備えた手動歯ブラシ | |
KR0121472Y1 (ko) | 가변형 치솔 | |
SU1687243A1 (ru) | Зубна щетка | |
KR20060086318A (ko) | 다면 세정 칫솔 | |
CN214857730U (zh) | 一种电动牙刷 | |
CN215019486U (zh) | 一种双刷毛模组电动牙刷 | |
CN109091263B (zh) | 一种新型电动牙缝刷 | |
KR101221770B1 (ko) | 전동칫솔용 칫솔모 헤드 조립체 | |
KR101737078B1 (ko) | 기능성 칫솔 | |
KR200394926Y1 (ko) | 전동칫솔 | |
KR200176887Y1 (ko) | 손잡이 수평 왕복운동에 따라 헤드부의 상하 회전이가능토록 된 칫솔대 | |
KR200258312Y1 (ko) | 회전 칫솔 | |
CN211271320U (zh) | 一种电动牙刷头 | |
CN110840612B (zh) | 电动双头对滚牙刷刷头结构 | |
US6098230A (en) | Toothbrush | |
CN215228719U (zh) | 一种用于电动牙刷的牙刷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