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911B1 - 중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중수처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911B1
KR0120911B1 KR1019940026488A KR19940026488A KR0120911B1 KR 0120911 B1 KR0120911 B1 KR 0120911B1 KR 1019940026488 A KR1019940026488 A KR 1019940026488A KR 19940026488 A KR19940026488 A KR 19940026488A KR 0120911 B1 KR0120911 B1 KR 012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water
heavy water
treat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026A (ko
Inventor
박광식
Original Assignee
박광식
조양기계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식, 조양기계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광식
Priority to KR101994002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911B1/ko
Publication of KR96001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도가 낮은 생활폐수의 하수인입관로에 스크린 및 침사조를 설치하여 협잡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와 ; 상기 전처리 단계를 통과한 하수를 유량조정조에 저장하고, 이를 혼화조, 반응조 및 응집조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화학처리한 후에 침전조로 공급하여 응집화되는 부유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처리된 하수를 중간저장조에 저장시키는 본처리 단계와 ; 상기 본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하수를 샌드필터들과 카본필터를 순차적으로 경유시켜 상기 침전조에서 처리되지 않은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장치에 의해 세균을 살균시킨 상태의 중수를 중수저장소에 저장시킨 후에 중간고가수조로 공급하는 후처리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염도가 낮은 하수를 경제적으로 재처리하여 인체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필요한 용도로 재활용함으로써,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방류배수량을 감소시켜 수자원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운전, 보수 및 관리체계가 편리해 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중수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처리방법에 이용된 장치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처리 단계 11 : 스크린
12 : 침사조 20 : 본처리 단계
21 : 유량조정조 23 : 혼화조
24 : 반응조 25 : 응집조
26 : 침전조 28 : 폭기조
29 : 중간저장조 30 : 후처리단계
32a,32b : 샌드필터 33,42 : 카본필터
34,44 : 소독장치 35 : 중수저장소
36 : 자외선 살균기 38 : 중간고가수조
41 : 압력시 여과기 43 : 경수연화기
본 발명은 오염도가 낮은 생활배수를 재처리하여 인체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일반용수로 재활용하기 위한 중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물에 대한 수요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자원 대책은 중요한 사회 및 경제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수도원 개발을 위해 필요한 댐건설에는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고 상수도원 개발에 필요한 적지는 이미 개발이 거의 완료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폐수, 생활폐수 및 빌딩폐수 등으로 수자원의 오염상태가 날로 심각해져 양질의 수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점차 곤란해지고 있다.
그러나, 물의 사용량은 산업개발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계속적으로 늘어나므로 앞으로 수년후에는 물의 사용량이 절대 부족하게 될 것이며, 사용후 버려지는 하수에 대한 처리도 큰 문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각종 생활 및 공급용수의 절약 및 재활용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대개의 경우 각 가정이나 기업체내에서 개인적인 차원으로 실현되는 것이므로 수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내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도가 낮은 하수를 경제적으로 재처리하여 인체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필요한 용도로 재활용하므로써,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방류배수량을 감소시켜 수자원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운전, 보수 및 관리가 편해지도록 한 중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징은, 오염도가 낮은 생활배수의 하수인입관로에 스크린 및 침사조를 설치하여 협잡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와 ; 상기 전처리 단계를 통과한 하수를 유량조정조에 저장하고, 이를 혼화조, 반응조 및 응집조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화학처리한 후에 침전조로 공급하여 응집화 되는 부유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처리된 하수를 중간저장조에 저장시키는 본처리 단계와 ; 상기 본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하수를 샌드필터들과 카본필터를 순차적으로 경유시켜 상기 침전조에서 처리되지 않은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장치에 의해 세균을 살균시킨 상태의 중수를 중수저장소에 저장시킨 후에 중간고가수조로 공급하는 후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수처리방법에 있다.
이러한 중수처리방법에서 보다 바람직한 특징은, 본처리 단계에서는, 혼화조내에는 응집제인 황산알루미늄을 투입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응집제가 혼합된 하수는 반응조내에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슘등의 수소이온농도 조정제에 의해 중화시키며, 상기 반응조에 의해 중화처리된 하수에는 응집조내에서 응집 보조제를 투입하여 응집시키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수처리방법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처리 단계(10)를 설명하면, 각종 생활배수중 오염도가 낮은 화장실의 세면기 및 샤워배수를 별도의 전용 관로로 처리장에 유도하여 집수하고, 이를 하수인입관로에 설치된 스크린(Screen)(11) 및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침사조(12)로 공급하여 협잡물과, 불순물, 예를 들면 모래 및 모발 등을 제거한다,
이때, 스크린(11)은 협잡물과 불순물을 1차 여과하여 침사조(12)에 침전시킴에 따라 부유물질의 부하가 경감됨과 동시에 펌프 등과 같은 관련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처리 단계(10)이후의 본처리 단계(20)를 설명하면, 스크리닝 및 제사된 하수는 유량조정조(21)에 저장되어 피크부하를 흡수시키며, 이 유량조정조(21)에는 수증카터 펌프(21a)를 설치하여 고장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량조정조(21)에 설계유량 이상이 유입될 경우에는 배수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처리장 외부로 배출시키고, 유량조정조(21)의 수위가 줄어들지 않을 경우에 입구의 수위조절용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차단시킨다.
한편, 유량조정조(21)내에 하수의 부패가 발생할 경우에 염소를 투입하여 부패를 방지시킨다.
계속해서, 유량조정조(21)내에 저장된 하수는 유량조정펌프(22)의 구동으로 혼화조(23)로 공급된다. 이때, 혼화조(23)내에는 약품탱크(23a)로부터 응집제인 황산알루미늄(AL2(SO4)3)를 투입하여 교반기(23b)에 의해 혼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혼화조(23)에 의한 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산성인 응집제가 혼합된 하수를 반응조(24)내에서 중화시키며, 이 반응조(24)에는 약품탱크(24a)로부터 수소이온농도 조정제를 투입하여 교반기(24b)에 의해 혼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수소이온 농도 조정제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과 수산화칼슘(Ca(OH)2)를 사용한다.
또한, 반응조(24)에 의해 중화처리된 하수는 응집조(25)내에서 응집시키고, 이 응집조(25)내에는 약품탱크(25a)로부터 응집보조제(Polymer)를 투입하여 교반기(25b)에 의해 혼합시킨다. 이때, 상기 응집보조제는 농도가 진한 액상이므로 강제교반후 투입시킨다. 응집조(25)의 처리과정을 통과한 하수는 침전조(26)로 공급되어 채류되고, 상기 침전조(26)내에서 하수중의 콜로이드입자 등과 같은 미세한 부유물질은 대형 응집화(플록화)되어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된다.
이와 같은 침전조(26)의 침전물은 크리너펌프(26a)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침전조(26)에서 처리된 하수는 정화조(27)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침전조(26)에 공급되는 하수중 일부는 폭기조(28)로 유입시켜 부식성 가스와 악취 등을 제거 또는 산화시키고, 상기 폭기조(28)에 의해 처리된 하수는 일반 하수로 배출시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하며, 한편으로는 조경용수등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침전조(26)에서 처리된 하수는 중간저장조(29)에 저장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처리 단계(20)이후의 후처리 단계(30)를 설명한다. 침전조(26)에서 처리된 하수는 중간저장조(29)에 저장된 상태에서 여과펌프(31)에 의해 2개의 샌드필터(Sand Filter)(32a,32b)들과 카본필터(3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고, 상기 샌드필터(32a,32b)와 카본필터(33)의 처리에 의해 침전조(26)에서 처리되지 않은 부유물질, 계면활성제 등은 여과 및 흡착되어 제거됨과 동시에, 하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샌드필터(32a,32b)와 카본필터(33)의 여과시 여층이 막혀 과도한 차압이 발생할 때에는 역세를 실시하여 여층을 재생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여과처리된 처리수에는 소독장치(34)에 의해 염소를 유입시켜 각종 세균을 살균시키고, 이를 중수저장조(35)에 저장시킨다. 여기에서, 중수저장조(35)에 저장되는 중수(中水)의 수질은 상수도와 하수의 중간정도이다.
또한, 상기한 세균의 살균과정에서는 소독장치(34) 이외에도 자외선 살균기(36)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자외선 살균기(36)는 강력한 살균작용을 보유한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을 발사하여 각종 세균을 완전하게 멸균처리시킨다.
그리고, 중주저장조(35)에 저장된 중수는 가압펌프(37)에 의해 다시 중간고가수조(38)에 공급하여 저장시키며, 이 중간고가수조(38)의 중수는 각 가정의 화장실용수, 청소용수, 조경용수 및 기타 공업용수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중수처리시설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소망하는 용수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중간저장조(29)에 계속적으로 보충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보충수는 주로 지하수를 이용하며, 지하수는 심정펌프(40)의 구동에 의해 압력식 여과기(41), 카본필터(42), 경수연화기(43) 그리고 소독장치(4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처리하여 중간저장조(29)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때, 압력식 여과기(41)에는 원수가 미세한 다공질층을 통과하면서 원수중의 부유물질 및 고형물등이 여과되며, 경수연화기(43)는 원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도성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상기한 카본필터(42)와 소독장치(44)는 이미 설명한 처리작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수처리방법은,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배수를 체계적인 처리단계에 의해 경제적으로 재처리하여 인체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필요한 용도나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수자원의 낭비가 줄어들어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접적인 방류배수량이 현저히 감소됨과 동시에 하수를 중수로 처리하여 방류시켜 수자원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중수처리방법은 각 처리단계가 단일체계로 이루어져 운전, 보수 및 관리가 편리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수처리방법은, 오피스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대규모 주택단지 및 시가지 재개발기구, 그리고 일정지역내에서 해당지역내의 빌딩, 주택 등의 하수처리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수처리방법은, 하수를 경제적으로 재처리하여 수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그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각 처리단계의 단일화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오염도가 낮은 생활배수의 하수인입관로에 스크린 및 침사조를 설치하여 협잡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와 ; 상기 전처리 단계를 통과한 하수를 유량조정조에 저장하고, 이를 혼화조, 반응조 및 응집조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화학처리한 후에 침전조로 공급하여 응집화되는 부유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처리된 하수를 중간저장조에 저장시키는 본처리 단계와 ; 상기 본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하수를 샌드필터들과 카본필터를 순차적 경유시켜 상기 침전조에서 처리되지 않은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장치에 의해 세균을 살균시킨 상태의 중수를 중수저장소에 저장시킨 후에 중간고가수조로 공급하는 후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수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처리 단계에서는, 혼화조내에는 응집제인 황산알루미늄을 투입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응집제가 혼합된 하수는 반응조내에서 수소이온농도 조정제에 의해 중화시키며, 상기 반응조에 의해 중화처리된 하수에는 응집조내에서 응집보조제를 투입하여 응집시키는 중수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처리 단계는, 중간저장조로 유입되는 하수가 유량조정조로부터 압력식 여과기, 카본필터, 경수연화기 그리고 소독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처리하는 중수처리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처리 단계는, 침전조로 공급되는 하수중 일부가 폭기조로 유입되어 부식성 가스와 악취가 제거 또는 산화되도록 한 중수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자외선 살균기에 의해 세균이 멸균처리되도록 한 중수처리방법.
KR1019940026488A 1994-10-17 1994-10-17 중수처리방법 KR012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488A KR0120911B1 (ko) 1994-10-17 1994-10-17 중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488A KR0120911B1 (ko) 1994-10-17 1994-10-17 중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026A KR960014026A (ko) 1996-05-22
KR0120911B1 true KR0120911B1 (ko) 1997-10-29

Family

ID=1939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488A KR0120911B1 (ko) 1994-10-17 1994-10-17 중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9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89A (ko) * 2000-10-06 2002-04-13 차호영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방법 및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장치
KR20030037810A (ko) * 2001-11-06 2003-05-16 주식회사 제이슨컨설턴트 중수도 시스템
KR100425522B1 (ko) * 2001-08-24 2004-04-08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고율 모래여과법을 이용한 중수도 시스템
KR101391903B1 (ko) * 2013-08-19 2014-05-27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염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처리 방법
CN110002663A (zh) * 2019-02-28 2019-07-12 南京永禾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89A (ko) * 2000-10-06 2002-04-13 차호영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방법 및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장치
KR100425522B1 (ko) * 2001-08-24 2004-04-08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고율 모래여과법을 이용한 중수도 시스템
KR20030037810A (ko) * 2001-11-06 2003-05-16 주식회사 제이슨컨설턴트 중수도 시스템
KR101391903B1 (ko) * 2013-08-19 2014-05-27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염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처리 방법
CN110002663A (zh) * 2019-02-28 2019-07-12 南京永禾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026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7645C (zh) 造纸、印染工业污水再生处理零排放循环利用的方法
CN102040294B (zh) 一种循环水排污水和反渗透浓水的处理方法
CN104370418A (zh) 一种化工污水的处理方法
CN107176726A (zh) 燃煤电厂脱硫废水综合除氟方法
CN110981091A (zh) 医疗废水综合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JP3653422B2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CN103787525A (zh) 一种城市污水二级生化出水深度处理的方法
KR101469891B1 (ko) 지표수·지하수 워터블랜딩 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CN111320316A (zh) 一种垃圾渗滤液膜浓缩液处理方法
KR100446042B1 (ko) 포말분리법, 중공사막필터 여과법과 고급산화공법을연계한 산업폐수 중수처리시스템
CN101643260A (zh) 一种工业废水的处理方法
KR0120911B1 (ko) 중수처리방법
KR20090111188A (ko) 일체형 방류수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류수의처리방법
KR20030037810A (ko) 중수도 시스템
CN108751598A (zh) 一种城市用生活污水处理工艺
CN106430846A (zh) 一种低有机物含量难生物降解废水高效处理集成工艺
JP2006224064A (ja) 排水浄化システム
RU2749370C1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станция очистки сер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4683482U (zh) 一种污染土壤淋洗与污水处理集成化系统
KR200277039Y1 (ko) 중수도 시스템
KR20110058929A (ko) 음식물배출수, 가축폐수 및 분뇨의 통합 정화처리방법
KR20020001681A (ko) 하수 재 이용 정화처리시스템과 정화처리방법
CN2633872Y (zh) 小区污水回用的icast处理自控与监测装置
Parsons et al. Chemical vs. biological treatment of grey water
JP2005013937A (ja) 有機廃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