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634Y1 - 마그네트론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634Y1
KR0120634Y1 KR2019940012308U KR19940012308U KR0120634Y1 KR 0120634 Y1 KR0120634 Y1 KR 0120634Y1 KR 2019940012308 U KR2019940012308 U KR 2019940012308U KR 19940012308 U KR19940012308 U KR 19940012308U KR 0120634 Y1 KR0120634 Y1 KR 0120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insulating ring
ring
metal tube
ch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21U (ko
Inventor
오인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2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634Y1/ko
Publication of KR950034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36Coupl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for introducing or removing wave energy

Landscapes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등의 마이크로파 가열기기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링에 접합되는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링 및 금속관의 접합구조를 개선한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써, 절연링(21) 및 금속관(19)의 접합시에는 접합강도를 유지하도록 쵸크용금속링(26)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연링 및 금속관의 접합시 절연링의 깨어짐을 방지함을 물론, 상기 절연링 및 쵸크용금속링의 접합강도를 개선하여 조립공정시의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트론
제1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금속관의 출력측단부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금속관의 출력측단부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양극통체3:베인
5:필라멘트7,9:상부 및 하부엔드햇
11:외측리이드선13:중앙리이드선
15:제 1자극편17:제2자극편
19:금속관21:절연링
23:배기관25,26:쵸크용 금속링
27:안테나
본 고안은 전자렌지등의 마이크로파 가열기기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링에 접합되는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링 및 금속관의 접합구조를 개선한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마그네트론은 제 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그네트론의 외부로 누설되는 복수종류의 고조파 성분을 감쇄시키도록 양극통체(1)의 내부에 필라멘트(5)측으로 돌출해서 공진공종을 형성하는 복수(짝수)개의 베인(3)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양극통체(1)의 양측 개구단부에는 자게수속용의 제1 및 제2 자극편(15,17)이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자극편(15,17)의 상하부에는 상기 양극통체(1)의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기위한 금속관(19)이 상기 제1 및 제2 자극편(15,17)의 중간부 혹은 상기 양극통체(1)의 양측개구단부에 각각 기밀하게 용접고착되어 있고, 상기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 내측에는 쵸크용 금속링(25) 이 상기 금속관(19)에 접합되어 쵸크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관(19)의 상부 개구단부에는 출력부를 구성하는 세라믹제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절연링(21)이 상기 금속관(19)의 일단부에 기밀하게 용접고착되어 있고, 상기 절연링(21)의 상부측 선단부에는 동으로 이루어진 배기관(23)이 고착되어 마그네트론의 출력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절연링(21), 금속관(19) 및 쵸크용금속링(25,26)의 접합(Brazing)은 양측단부에 Metallizing라는 특수처리가 되어 있는 상기 절연링(21)과 금속관(19) 및 쵸크용금속링(25,26)의 출력측단부를 특수한 플럭스(Flux)를 함유한 접합재(대체로, Ag와 Cu의 합금)를 이용하여 수소로속에서 800~900℃정도로 가열하여 접합시킨다.
그런데, 상기 금속관(19) 및 쵸크용 금속링의 재질을 일반 Fe, Ni도금강판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가 안테나(27)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쵸크용 금속링(25)이 절연링(21)의 금속관(19)쪽 단부에서 상기 금속관(19)쪽으로 0.5~0.6mm정도 떨어져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관(19), 쵸크용 금속링(25) 및 절연링(21)의 접합시에 상기 접합재(대체로, Ag와 Cu의 합금)가 상기 금속관(19)쪽으로 확산되지 않고 상기 절연링(21)과 쵸크용 금속링(25)사이에 과도하게 많이 존재하여 그 접합재의 잔류량이 금속관(19)역할을 하면서 상기 절연링(21)과 금속관(19)사이의 선접촉이 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링(21)과 접합재의 잔류량사이에 열팽창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절연링(21)이 깨어짐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의 출력부의 조립공정시 불량률이 많이 발생할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비용손실 및 생산성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금속관(19), 절연링(21) 및 쵸크용 금속링(25)의 접합시에 상기 접합재(Ag와 Cu의 합금)의 응력이나 수소로콤베어의 흔들림등으로 인해 상기 쵸크용금속링(25,26)이 상기 절연링(21)의 금속관(19)쪽 측단부로 올라가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쵸크용 금속링(25)이 금속관(19)과 함께 상기 절연링(21)에 접합되어 절연링(21)의 선접촉이 면접촉으로 바뀌면서 이에 따른 열팽창차이가 심하게 되어 상기 절연링(21)이 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Embossing) 및 그와 유사한 형상을 형성시켜 절연링 및 금속관의 접합시 상기 절연링의 깨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절연링 및 쵸크용금속링의 접합강도를 개선하여 조립공정시의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은 양극통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도록 제 1자극편의 상부에 고정에 고정되어 있는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의 출력측단부 내측에 접합되어 쵸크구조를 형성하는 쵸크용금속링과, 상기 금속관의 상부에 적합되어 출력부를 구성하는 절연링과, 상기 절연링의 상부에 접합되어 출력부를 구성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일단부가 고착되며 베인에 타단부가 고착되어 공진공동내에 발진된 고주파를 출력하는 안테나를 갖춘 마그네트론에 있어서, 상기 절연링 및 금속관의 접합시에 접합강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판등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통체(1)의 내부에는 외부로 누설되는 고조파성분을 감쇄시키도록 복수개의 공진공동을 형성하는 다수(짝수)개의 베인(3)이 축심방향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양극통체(1)와 베인(3)에 의해 양극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인(3)의 선단부측 근처에는 상하부에 각각 캐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일정한 공진주파수를 얻도록 내측 및 외측균압링(3a,3b)이 상기 베인(3)을 하나 걸러서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양극통체(1)의 중심축상 근처에는 상기 다수개의 베인(3)의 선단부에 의해 작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용공간내에는 열전자를 방사하도록 토륨-텅스텐등을 나선형상으로 권회한 필라멘트(5)가 상기 양극통체(1)와 동축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필라멘트(5)의 양단부에는 발진에 기여하지 못하는 손실전류인 열전자가 중심축 방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엔드햇(9)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엔드햇(9)의 바닥면에는 몰리브덴제의 외측리이드선(11)이 용접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엔드햇(9)의 중앙부에는 올리브덴제의 중앙지지체인 중앙리이드선(13)이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상부엔드햇(7)의 하단부에 용접고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리이드선(13)은 상기 하부엔드햇(9) 및 필라멘트(5)에 비접촉으로 관통하면서 중간부의 2개소에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외측 및 중앙리이드선(13)은 금속관 및 절연세라믹(43)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 외부접속단자(45,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필라멘트(5)에 동작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극통체(1)의 양측개구부에는 상기 필라멘트(5)와 베인(3)에 의해 형성되는 작용공간내에 균일하게 자속을 형성하도록 자로를 형성하는 깔대기 형상의 제1 및 제2자극편(15,17)이 상기 양극통체(1)의 양단부 내측에 절결된 위치에 안착되어서 잔류하는 양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고정한다음 기밀하게 용접고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자극편(15,17)의 상하부에는 상기 양극통체(1)의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기 위한 금속관(19)이 상기 제1 및 제2 자극편(15,17)의 중간부 혹은 상기 양극통체(1)의 양측개단부에 각각 기밀하게 용접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금속관(19)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링형상의 영구자석(35)이 상기 제1 및 제2 자극편(15,17)에 인접해서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관(19)의 상부 개구단부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출력측 절연링(21)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링(21)의 상부측 선단부에는 동으로 이루어진 배기관(23)이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요지인 마그네트론의 출력부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양극통체(1)의 한쪽에 제1 자극편(15,17)이 끼워져 있는 출력측 금속관(19)은 양극통체(1)의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도록 상기 양극통체(1)의 양측개구단부에 각각 기밀하게 접하며 고착되어 있고, 상기 금속관(19)의 상부 개구단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세라믹제로 이루어진 절연링(21)이 상기 금속관(19)의 출력부측에 원통형상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 내측에는 쵸크용금속링(25,26)이 초크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금속관(19)에 접합되어 있는데, 상기 절연링(21)에 접합되는 쵸크용금속링(25)의 출력부측 단부는 상기 절연링(21) 및 금속관(19)의 접합시 접합강도를 유지하도록 엠보싱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상기 절연링(21) 및 금속관(19)의 접합시에 상기 쵸크용금속링(25,26)의 절연링(21)쪽으로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절연링(21)의 상부측 선단부에는 동으로 이루어진 배기관(23)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23)의 내측 중앙부근처에는 공진공동내에 발진된 고주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베인(3) 하나로부터 도출된 안테나(27)가 상기 제1 자극편(15,17)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축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안테나(27)의 끝이 상기 배기관(2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배기관(23)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기관(23)의 용접고착부를 보호함은 물론, 전계집중에 의한 스파크방지 및 고주파안테나의 작용을 함과 동시에 고주파 출력을 외부로 끌어내는 안테나캡(29)이 씌워져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그네트론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양극통체(1)의 한쪽에 제1자극편(15,17)이 끼워져 있는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 내측에 쵸크용 금속링(25)을 접합시키고, 상기 금속관(19)의 상부 개구단부에 세라믹제의 절연링(21)을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양측단부에 Metallizing라는 특수처리가 되어 있는 절연링(21)과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를 특수한 플럭스(Flux)를 함유한 접합제(대체로, Ag와 Cu의 합금)를 이용하여 수소로속에서 800~900℃정도로 가열하여 접합시킨다.
이때, 상기 금속관(19)과 절연링(21)의 접합시에는 상기 접합제(Ag와 Cu의 합금)의 응력이나 수소로콤베어의 흔들림등으로 인해 상기 쵸크용금속링(25,26)이 상기 절연링(21)의 금속관(19)쪽 측단부로 올라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접합공정에서는 절연링(21)과 금속관(19)의 열팽창률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절연링(21)과 금속관(19)의 열팽창률이 큰 차이를 보일때에는 상기 접합공정 및 실사용에서 상기 절연링(21)의 깨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절연링(21)과 접합되는 금속관(19)의 재질 및 상기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형상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력부구조에서는 상기 쵸크용금속링(25)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링(21)과 금속관(19)의 접합공정시에 쵸크용 금속링(25)이 상기 절연링(21)의 금속관(19)쪽 측단부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링(21)과 쵸크용 금속링(25)사이에 일정거리가 확보되어 상기 절연링(21)과 쵸크용 금속링(25)사이에 존재하는 접합제(Ag와 Cu의 합금)의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팽창차이로 인해 종래의 접합공정시에 발생하던 상기 절연링(21)의 깨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쵸크용금속링(25)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면, 상기 절연링(21)과 금속관(19)의 접합공정에서뿐만 아니라, 상기 마그네트론의 실사용에서도 상기 절연링(21)의 깨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은 양극통체(1)에서 2450MHz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하여 출력부를 통해 전자렌지의 캐비티내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전자렌지와 마그네트론의 임피던스매칭이 맞지 않으면, 상기 전자렌지의 도파관을 통해 반사되는 반사파때문에 상기 마그네트론의 출력부는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고, 특히 상기 금속관(19)과 배기관(23)사이에 접합된 절연링(21)은 그 반사파를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쵸크용금속링(25,26)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시키면, 금속관(19) 및 절연링(21)의 접합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절연링(21)이 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시킨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이외에 이와 유사한 어떤 형상을 형성하는 것도 본고안의 범주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에 의하면, 쵸크용금속링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Embossing) 및 그와 유사한 형상을 형성시켜 절연링 및 금속관의 접합시 상기 절연링의 깨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절연링 및 쵸크용금속링의 접합강도를 개선하여 조립공정시의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극통체(1)의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도록 제1 자극편(15,17)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금속관(19)과, 상기 금속관(19)의 출력측단부 내측에 접합되어 쵸크구조를 형성하는 쵸크용금속링(25,26)과, 상기 금속관(19)의 상부에 접합되어 출력부를 구성하는 절연링(21)과, 상기 절연링(21)의 상부에 접합되어 출력부를 구성하는 배기관(23)과, 상기 배기관(23)에 일단부가 고착되며 베인(3)에 타단부가 고착되어 공진공동내에 발진된 고주파를 출력하는 안테나(27)를 갖춘 마그네트론에 있어서, 상기 절연링(21) 및 금속관(19)의 접합시에 접합강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쵸크용금속링(25,26)의 출력부측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KR2019940012308U 1994-05-30 1994-05-30 마그네트론 KR0120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308U KR0120634Y1 (ko) 1994-05-30 1994-05-30 마그네트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308U KR0120634Y1 (ko) 1994-05-30 1994-05-30 마그네트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21U KR950034321U (ko) 1995-12-18
KR0120634Y1 true KR0120634Y1 (ko) 1998-07-01

Family

ID=1938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308U KR0120634Y1 (ko) 1994-05-30 1994-05-30 마그네트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6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21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742B1 (ko) 마그네트론
KR0161015B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0120634Y1 (ko) 마그네트론
KR0120631Y1 (ko) 마그네트론의 출력부구조
KR0125459Y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부 구조
KR0133042Y1 (ko) 마그네트론의 안테나구조
KR0168178B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구조
KR940009316B1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음극체
KR890002132B1 (ko) 마그네트론 음극구체
JP3039956B2 (ja) マグネトロン陰極構体
KR100269478B1 (ko) 마그네트론의 폴피스구조
KR200169605Y1 (ko) 마그네트론
KR100231037B1 (ko) 마그네트론
KR200154588Y1 (ko) 전자렌지의 도파관구조
KR0122691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0139342Y1 (ko) 마그네트론의 출력부구조
KR0136192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0136191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US3412283A (en) Coaxial magnetron in which the anode is welded to the body
KR0136190Y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구조
KR100269479B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부구조
KR0120636Y1 (ko) 마그네트론
KR100192275B1 (ko) 마그네트론의 쵸크코일 고정구조
KR0139282Y1 (ko) 마그네트론의 캐소드구조
JPS62115627A (ja) マグネトロ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