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96Y1 -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96Y1
KR0120596Y1 KR2019970026113U KR19970026113U KR0120596Y1 KR 0120596 Y1 KR0120596 Y1 KR 0120596Y1 KR 2019970026113 U KR2019970026113 U KR 2019970026113U KR 19970026113 U KR19970026113 U KR 19970026113U KR 0120596 Y1 KR0120596 Y1 KR 0120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ace
terminal
spring contac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루즈 톰
윌하이트 매튜
도널 캐롤 니알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954,859 external-priority patent/US5259769A/en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96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90)과의 면 결합을 위한 스프링 접촉부(78)을 갖는 가요성 띠형 터미널(16)을 장착하는 유전체 본체(14)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체는 대향 측면(58, 60)들과 단부면(62)를 한정하는 격벽형 벽(56)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벽의 한 측면(58)에 인접하여 고정되고, 터미널의 스프링 접촉부(78)은 벽의 단부면(62) 주위로 휘어지고 벽의 단부면에 대체로 직각인 소정의 방향(A)로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의 가요성 면 결합을 위해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터미널은 벽(56)의 다른 측면(60)의 리세스 구역내에 위치한 스프링 접촉부(78)의 단부에서의 말단부(80)을 갖는다. 그러므로 말단부는 스프링 접촉부에 예비 부하를 가하고, 벽(56)의 한 측면(58)을 향한 방향(B)로 결합될 경우 스프링 접촉부(78)의 휨에 저항한다.

Description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 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본 고안은 전기 커넥터 기술, 특히 예비 부하가 걸린 스프링 접촉부를 갖는 가요성 터미널을 갖고 제2 접촉 요소와의 결합시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 면 결합되는 스프링 접촉부를 갖는 가요성 터미널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론적으로는 임의의 상호 결합 접촉부의 쌍은 반드시 면 결합해야 하지만, 여기에서 “면 결합”이라는 용어는 접촉면이 핀과 소켓의 접촉과 같이 결합 중 서로 미끄러지는 접촉을 하는 경우 등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수직 또는 인접 관계로 맞물리는 상호 결합 접촉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또는 이동 전화 장치의 경우, 송수화기는 통상적으로 대에 삽입되고 상당히 견고하고 통상적으로 평면인 접촉부가 베이스 유니트의 대 내의 가요성 접촉부와 접촉(“면 결합”)된다. 다른 용도로는 전화, 녹화기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전지 충전기가 있는 데, 전지 팩은 전지 재충전기의 가요성 접촉부와 접촉 면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한 상당히 견고한 평면 접촉부를 갖는다.
이동 전화 장치, 녹화기 등의 경우에, 접촉면이 오염이 당면 문제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접촉부가 결합중 표면 결합 또는 접촉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접촉부 사이의 보다 나은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촉부 사이에 소정의 와이핑 작용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변형 중 소정의 횡방향의, 즉 접촉부의 결합의 수직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이동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횡방향 이동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응용 또는 환경에서의 면 결합 가능 접촉부의 사용이, 접촉부를 변형시킬 수도 있는 이물질에 의한 결합에 접촉부를 노출시킨다는 점에서 다른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 문제는, 가요성 접촉부를 대응 접촉부에 소정의 상호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예비 부하를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요성 접촉부의 변형이 소정의 예비 부하를 소멸시킬 수 있을 경우 더 복잡해진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호 결합 접촉부가 결합 중 와이핑 작동을 하고, 가요성 접촉부에 예비 부하가 걸리며, 대응하는 견고한 접촉부의 원래의 접촉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결합될 경우 가요성 접촉부의 변형에 저항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면 결합 가능 접촉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새롭고 향상된 “면 결합 가능” 접촉부 또는 터미널을 갖는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장착 브래킷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새로운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의 바닥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2는 장착 브래킷의 전체 사시도.
도3은 도1과 유사한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된 커넥터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새로운 터미널 중 하나의 사시도.
도6은 표면이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에 의해 맞물린 때의 터미널 중 하나의 스프링 접촉부의 위치 및 이동을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2 : 장착 브래킷
14 : 유전체 본체
16 : 터미널
50 : 꼬리
52, 74, 86 : 홈
56 : 벽
58, 60 : 측면
62 : 단부면
66 : 턱
68 : 레그부
78 : 스프링 접촉부
80 : 립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에,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의 면 결합을 위한 스프링 접촉부를 갖는 가요성 터미널을 장착하는 유전체 본체가 제공된다. 상기 유전체 본체는 대향 측면들을 한정하는 격벽형 벽과 단부면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벽의 한 측면에 인접하여 고정된다. 터미널의 스프링 접촉부는 벽의 단부면 주위로 휘어지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벽의 단부면에 대체로 직각인 소정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 가요성 면 결합되게 된다.
본 고안은 스프링 접촉부의 단부에, 스프링 접촉부의 단부를 붙잡기 위해 벽의 다른 측면의 리세스 구역에 위치한 말단부를 갖는 터미널을 제공한다. 터미널의 붙잡힌 말단부는 스프링 접촉부에 예비 부하를 가하고 벽의 단부면에 대체로 수직인 소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맞물릴 경우 스프링 접촉부의 휨에 저항한다.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서, 터미널은 유전체 본체의 한 측면에 고정된 대체로 평평한 레그부와, 상기 평평한 레그부의 한 단부에서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그 외측 단부로부터는 벽의 단부면 주위로 휘어진 스프링 접촉부가 설치된 스페이서 레그부와, 터미널의 말단부에서 스프링 접촉부의 단부에 의해 한정되고 단부면을 향해 역의 각도로 내측으로 구부려진 립을 포함한다. 벽의 다른 측면의 리세스 구역은 벽의 단부면을 향해 역의 각도로 벽의 다른 측면내로 연장되는 턱을 한정하는 노치에 의해 형성된다. 터미널 또는 스프링 접촉부의 말단부의 립은 턱에 안착되어 벽의 상기 한 측면에 결합될 경우 스프링 접촉부의 이동에 저향한다. 터미널의 레그부와 말단부는 벽의 대향 각각의 홈에 배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본 고안의 신규한 특징에 관해서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설명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은 동일 요소를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면, 도1은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는 특정 장치의 장착 브래킷(12)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10)을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가요성 띠형 터미널(16)을 장착하는 일체로 주조된 유전체 본체(14)를 포함한다. 장착 브래킷(12)는 스탬핑되고 성형된 금속 시트 재질로 일체로 만들어지고 또한 커넥터의 실드 수단을 제공한다. 커넥터는 브래킷에 (도1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장착된다.
도1과 관련하여 도2를 보면, 장착 브래킷(12)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 등의 특정 장치에 장착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20)을 가질 수 있는 대체로 평면인 베이스벽(18)을 포함한다. 베이스벽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래치 윙(latch wing, 26)을 갖는 브래킷의 바닥에 있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안에 전기 커넥터(10)이 장착되는 절단 구역(28)의 양측면상에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한 쌍의 측면 플랜지(30)이 베이스벽(18)로부터 돌출하여 특히 브래킷을 적절한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벽을 보강한다.
도1과 관련하여 도3을 보면, 커넥터(10)의 일체로 주조된 유전체 본체 또는 하우징(14)는 본체의 결합면(36)으로부터 돌출하여 본체의 대향 측면(38)들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하여 대향 측면들로부터 지점(40)에서와 같이 이격되는 한 쌍의 래치 아암(34)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래치 아암은 약간의 탄성 또는 가요성을 갖는다. 각 래치 아암(34)는 래치 노치(4)에 이르는 비스듬한 외면(42)를 포함하고 정지 플랜지(46)에서 종결된다. 그러므로 커넥터(10)이 도1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브래킷(12)에 장착될 때 래치 아암(34)의 비스듬한 외면(42)는 장착 브래킷(12)의 래치 윙(25)과 접촉하여 래치 아암을 커넥터의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밀게된다. 브래킷의 래치 윙이 래치 아암(34)의 래치 노치(44)에 도달하면 래치 아암은 본체의 외측으로 도1에 도시된 래치 또는 장착 위치로 스냅식으로 복귀된다. 이때 정지 플랜지(46)은 래치 윙에 접촉한다.
커넥터(10)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2)에 완전히 장착되면 유전체 본체(14)의 바닥면(48)은 브래킷의 바닥면(22)의 외측과 동일면이 된다. 상기 연속 평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각 터미널(16)은 커넥터 본체의 바닥면(48)의 개개의 홈(52)에 위치한 용접 꼬리가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회로선 또는 용접 패드에 면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도4는 장착 브래킷(12)로부터 분리된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하고 커넥터면이 인쇄 회로 기판(54)에 접촉하고 터미널(16) 중 하나의 용접 꼬리(50)이 판의 상부와 면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장착 브래킷은 터미널을 인쇄 회로 기판에 면 장착하는 것의 도시를 혼란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상부는 도1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의 바닥면(22)와 접촉하며, 도1에서, 커넥터 본체의 바닥면(48)과, 터미널(16)의 용접 꼬리(50)과, 장착 브래킷의 바닥면(22)는 모두 인쇄 회로 기판상에 면 장착을 위해 대체로 같은 평면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커넥터(10)의 유전체 본체(14)의 터미널(16)의 새로운 장착 및 형태를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커넥터(10)의 유전체 본체(14)가 그 결합면(36)과 일치하는 단부면(62)를 따라 대향 측면(58, 60)을 한정하는 격벽형 벽(56)을 한정한다. 터미널(16)의 용접 꼬리(solder tail; 50)을 수용하는 홈(52)가 격벽형 벽(56)의 바닥면(64)에 형성된다. 벽(56)의 측면(60)의 리세스 구역은 벽의 단부면(62)를 향해 역의 각도로 벽으로 연장되는 턱(66)을 제공하는 노치에 의해 한정된다.
도4와 관련하여 도5를 보면 각 터미널(16)은 바람직하게는 스탬핑되고 성형된 금속 시트 재료로 만들어진 가요성 띠형 터미널인 것을 알 수 있다. 터미널은 일종의 L형 형상인 용접 꼬리(50)으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대체로 평평한 레그부(68)을 포함한다. 레그부는 (도4의) 유전체 본체(14)내의 개개의 홈(74)내에 장착되기 위한 폭을 갖는 외측 돌출 치(72)가 제공되는 확대 구역(70)을 갖는다. 치는 레그부(68)을 유전체 본체의 벽(56)의 측면(58)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각 터미널(16)을 유전체 본체에 고정 장착하기 위해 유전체 플라스틱 재료를 파들어간다. 각 터미널은 평평한 레그부(68)의 상부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페이서 레그부(76)을 더 포함하고, 스페이서 레그부는 벽(56)의 측면(5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둥그런 스프링 접촉부(78)이 스페이서 레그부(76)의 외측 단부로부터 벽(56)의 단부 면(62) 주위로 휘어지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 가요성 면 결합되기 위해 벽의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마지막으로 터미널은 스프링 접촉부(78)의 단부에 립(80)을 한정하는 말단부를 포함한다. 립은 벽(56)의 단부면(62)를 향해 역의 각도로 내측으로 구부러져 립의 벽의 측면(60)의 역의 각도의 턱(66)에 안착되게 한다.
도4 및 도5의 상기 설명을 참조하여 도6을 보면 터미널(16)중 하나가 예비 부하를 받는 상태의 비접촉 위치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터미널의 용접 꼬리(50)이 하우징(14)의 바닥의 홈(52)내에 배치되어 용접 꼬리(50)의 바닥이 하우징의 바닥면(48)과 동일면인 것을 알 수 있다. 터미널의 대체로 고정된 평평한 레그부(68)은 하우징의 홈(74)내에, 하우징의 벽(56)의 측면(58)에 대해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터미널의 스페이서 레그부(76)은 벽의 측면(58)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측면(58)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터미널의 고정 레그부(68)에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한다. 터미널의 스프링 접촉부(78)이 벽(56)의 단부면(62) 주위에 휘어 있는 것과, 스프링 접촉부의 말단부의 역으로 구부려진 립(80)이 벽(56)의 측면(60)의 역의 각도의 턱(66)에 대해 안착된 것을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상기 비접촉 상태에서 터미널의 스프링 접촉부에는 턱(66)에 대한 립(80)의 안착에 의해 예비 부하가 가해진다. 또한, 립의 역 구부러짐과 턱의 역의 각도 때문에 터미널의 스프링 접촉부의 일종의 래칭(latching)이 실행되어 벽(56)의 측면(58)을 향한 방향으로 맞물릴 경우 스프링 접촉부의 휘어짐에 저항한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 접촉부(78)이 하우징(14)의 측면(8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식을 도1에서 알 수 있다. 스프링 접촉부가 외부 물체에 의해 (도6의) 화살표 (B)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맞물릴 경우, 턱(66) 아래에 래칭된 립(80)은 스프링 접촉부의 휨에 저항하여 우발적인 스프링 접촉부의 예비 부하의 변경이나 파괴를 방지한다.
작동시, 도6의 요소(90)은 이동 전화 송수화기 장치의 전지 팩의 전지 패드와 같은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를 나타낸다. 그와 같은 경우, 커넥터(10)은 이동 전화 장치의 베이스 유니트에 장착된다. 전지 팩 표면은 스프링 접촉부(78)과 화살표(C)방향으로 맞물린다. 스프링 접촉부의 휨 곡선과 대체로 접하는 지점(92)에서 접촉 요소가 스프링 접촉부와 맞물린다는 것이 중요하다. 접촉 요소(90)의 화살표(C) 방향으로 계속적인 하향력이 가해지면 스프링 접촉부(78)이 점선 위치로 휘게 된다. 무엇보다도 립(80)이 역의 각도의 턱(66) 뒤의 래칭 결합에서 해제되어 스프링 접촉부(78)이 횡방향으로 또는 도면에서 보다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촉 요소(90)의 화살표(C) 방향의 힘이 스프링 접촉부를 실선 위치로부터 점선 위치로 이동시킬 때, 스프링 접촉부(78)은 화살표(D) 방향으로 휘어지고 접촉 요소는 이제 스프링 접촉부와 접점(94)에서 맞물린다. 원래의 접점(92)와 “휜 상태의” 접점(94) 사이의 거리는 접촉 요소(90)과 스프링 접촉부(78) 사이의 상태 와이핑 이동의 양 또는 길이를 나타낸다. 와이핑 길이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접촉 요소(90)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 접촉부(78)은 도6의 점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복귀되고 립(80)은 역의 각도의 턱(66) 뒤에 다시 안착 또는 래칭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에 의해 예비 부하를 소멸시키는 위험없이 와이핑 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그 정신이나 중심 특징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이고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면 본 고안은 상기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6)

  1.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90)과의 면 결합을 위한 스프링 접촉부(78)을 갖는 가요성 띠형 터미널(16)을 장착하는 유전체 본체(14)를 포함하고, 유전체 본체(14)는 제1 및 제2 대향 측면(60, 58)들과 단부면(62)를 한정하는 격벽형 벽(56)을 포함하고, 띠형 터미널(16)은 벽의 제2 측면(58)에 인접하여 고정된 대체로 평평한 레그부(68)를 포함하고, 터미널의 스프링 접촉부(78)은 벽의 단부면(62)으로부터 이격되어 주위로 휘어지고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 벽의 단부면에 수직인 소정 방향(C)로 가요성 면 결합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스프링 접촉부(78)에 예비 부하를 가하고, 벽의 제2 측면(58)을 향한 방향(B)로 결합될 경우 스프링 접촉부의 휨에 저항하도록, 상기 터미널이 벽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평평한 레그부(68)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측면(5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페이서 레그부(76)와, 스프링 접촉부의 말단부에서 상기 단부면(62)를 향해 역의 각도로 내측으로 구부려진 립(80)과 벽의 제1 측면(60)의 리세스 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립(80)을 그 아래에 안착되게 수용하게 되어있는 턱(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접촉부(78)은 스페이서 레그부(76)의 외부 단부로부터 벽의 단부면(62)주위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터미널의 상기 평평한 레그부(68)과 립(80)이 벽의 대향 측면들의 홈(74, 86)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바닥면(64)와 대향 측면(58, 60)들과 단부면(62)와 대향 측면들 중 하나(60)에 형성된 역의 각도의 턱(66)을 한정하는 격벽형 벽(56)을 포함하는 유전체 본체(14)와, 띠형 터미널(16)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16)은, 벽(56)의 다른 측면(58)에 고정된 평평한 레그부(68)과, 벽의 바닥면(64)으로부터 이격된 평평한 레그부(68)의 단부에서 벽의 다른 측면(5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페이서 레그부(76)과,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90)과 면 결합을 위한 것이고 벽의 단부면에 수직인 소정 방향(C)로 대응 커넥터 부품의 접촉 요소와 가요성 면 결합되기 위해 벽(56)의 단부면(62) 주위로 휘어진 형상이고 단부면(62)로부터 이격되게 스페이서 레그부(76)의 외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접촉부(78)과, 휘어진 스프링 접촉부의 말단부에 위치하고 스프링 접촉부에 예비 부하를 가하고 외부 물체에 의해 벽(56)의 다른 측면(58)을 향한 방향(B)로 맞물릴 경우 스프링 접촉부의 휘어짐에 저항하기 휘에 벽의 단부면을 향해 역의 각도로 내측으로 구부려저 턱(66) 밑에 안착되는 립(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터미널(16)의 상기 평평한 레그부(68)과 립(80)이 벽의 대향 측면들의 홈974, 86)들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벽(56)의 바닥면(64)가 홈(52)를 포함하고, 터미널(16)이 상기 홈에 배치되고 바닥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되는 용접 꼬리(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2019970026113U 1992-09-29 1997-09-19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01205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54,859 US5259769A (en) 1992-09-29 1992-09-29 Electrical connector with preloaded spring-like terminal with improved wiping action
US7/954,859 1992-09-29
KR1019930019839A KR940008161A (ko) 1992-09-29 1993-09-27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 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839A Division KR940008161A (ko) 1992-09-29 1993-09-27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 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0596Y1 true KR0120596Y1 (ko) 1998-07-15

Family

ID=2662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113U KR0120596Y1 (ko) 1992-09-29 1997-09-19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5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7640Y2 (ja) 電気コネクタ
KR100191747B1 (ko) 낮은 형상의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970002440B1 (ko) 하우징과 접촉부 사이에 과응력 방지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TW457752B (en) Device-to-board electrical connector
JP2655081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回路基板への取付け方法
US4427249A (en) Low height ADS connector
EP0929129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pair of latching devices
KR0128487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US588509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bilized offset spring arm
JP3287514B2 (ja) コネクタ
JPH04229965A (ja) ラッチ装置付き回路板用コネクタ
EP063254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05376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function terminals
KR100403531B1 (ko)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0945927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356394B2 (ja) 電気コンタクト
US20020111064A1 (en) Bottom entry connector
KR0120596Y1 (ko) 향상된 와이핑 작용을 갖는 예비부하가 걸린 스프링형 터미널을 갖는 전기 커넥터
JP2582876Y2 (ja) 電気コネクタ
US4968259A (en) High density chip carrier socket
JP3314100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H0732878U (ja) 遊動型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H0224222Y2 (ko)
JP323384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JP3948782B2 (ja) カードモジュール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