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60Y1 - 축전지이동용 밴드 - Google Patents

축전지이동용 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60Y1
KR0120560Y1 KR2019950020669U KR19950020669U KR0120560Y1 KR 0120560 Y1 KR0120560 Y1 KR 0120560Y1 KR 2019950020669 U KR2019950020669 U KR 2019950020669U KR 19950020669 U KR19950020669 U KR 19950020669U KR 0120560 Y1 KR0120560 Y1 KR 0120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attery
handle
support
suppor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241U (ko
Inventor
김성종
Original Assignee
김성중
주식회사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중, 주식회사델코 filed Critical 김성중
Priority to KR2019950020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560Y1/ko
Publication of KR970011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05Acid electrolytes
    • H01M2300/0011Sulfuric acid-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의 외측에 횡으로된 지지밴드와 종으로 된 손잡이밴드를 설치하여 간편하게 축전지를 이동할 수 있는 축전지 이동용 밴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전지 일본특허공개번호 제5-28980호, 동제5-28981호의 구성과 같이, 축전지의 외부둘레 보다 다소 길면서 양측 단부가 접합되어 둥글게 형성된 횡밴드와 종으로 설치된 시트를 결합하여 축전지하부로 삽입한 다음 축전지와 결합하였으나 횡밴드와 시트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합한 다음 축전지를 들어 횡밴드와 시트 사이로 삽입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양측단부가 결합되어 둥글게 형성된 손잡이밴드(10)와 양단이 절단된 지지밴드(12)를 연결체(20)로 결합하여 축전지(14)를 손잡이밴드(10)와 지지밴드(12) 내측으로 삽입한 다음 지지밴드(12) 양측 단부를 고정하고, 지지밴드(12)의 양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밴드(10)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동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축전지 이동용 밴드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지지밴드 단부를 고정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연결체로 손잡이밴드와 지지밴드를 결합한 정면도
제4도는 연결체로 손잡이밴드와 지지밴드를 결합한 상태의 절단면도
제5도는 지지밴드의 양 단부가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제6도는 지지밴드의 양 단부가 결합된 상태의 절단면도
제7도는 종래 축전지 이동용 밴드의 사시도
제8도는 종래 축전지 이동용 밴드에 있어 밴드와 투명시트가 결합된 상태의 절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축전지전조(電槽) 4:전극단자
6:충전지시계 8:전해액주입구
10:손잡이밴드 12:지지밴드
14:축전지 16:양면접착테이프
18:절개부 20:연결체
22:지지테 24:절곡부
본 고안은 축전지의 외측에 횡으로 된 지지밴드와 종으로 된 손잡이밴드를 설치하여 간편하게 축전지를 이동할 수 있는 축전지 이동용 밴드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측단부가 결합되어 둥글게 형성된 손잡이밴드와 양단이 절단된 지지밴드를 연결체로 결합하여 축전지를 손잡이밴드와 지지밴드 내측으로 삽입한 다음 지지밴드 양측 단부를 고정하고, 지지밴드의 양측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밴드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좌우 및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축전지(트럭이나 버스 등의 차량에 쓰는 축전지의 무게는 통상 30Kg-60Kg)를 운반하기 위하여 손잡이용 밴드를 부설하여야 하는데, 통상 축전지전조(電槽)의 생산을 쉽게 하고, 포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축전지전조의 외측이 밋밋하거나 다소 힘살이 형성된 육면체이면서, 내측에 전해액을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축전지전조의 외측에 축전지전조와 일체로 돌출된 파지부나 이동용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사출성형상 많은 어려움과 포장 및 운반(판매지로 운반할 때)이 어려우므로 축전지전조의 외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가 밋밋한 축전지전조를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고, 자동차 등에 축전지를 설치할 때에는 자동차에 설치된 축전지 고정용 철편을 벌린 상태에서 축전지를 삽입한 다음 철편을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 축전지는 외부에 손잡이를 형성하였으나 사출성형 및 운반 등의 어려움으로 축전지전조의 외부를 밋밋하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축전지의 경우 사출성형이 쉽고 운반하기 쉬우나 사용자가 한 개씩 운반하기 어려워 끈으로 축전지를 적당히(횡과 종을 묶어) 묶거나 축전지를 양손으로 싸 감아 안고 이동하였다.
이러한 경우 축전지를 묶은 끈이 빠져 축전지가 떨어지거나 전해액(황산)이 유출될 경우 인체나 의복 등에 손상을 주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번호 제5-28980호, 동제5-28981호의 구성과 같이, 축전지의 외부둘레 보다 다소 길면서 양측 단부가 접합되어 둥글게 형성된 횡밴드(손잡이밴드)와 종으로 설치된 시트(지지밴드)를 결합하여 축전지하부로 삽입한 다음 축전지와 결합한다.
일본특허공개번호 제5-28981호는 도면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투명시트(100)의 양측단부와 중앙에 시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두개의 절개부(102)를 형성하고, 시트(10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02)를 일치한 다음 밴드(104)의 단부를 일측 절개부(102)로 삽입하고, 다시 타측 절개부(102)로 밴드(104)를 뽑아내어 밴드(104)와 시트(100)를 결합하고, 밴드(104)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102)도 상기와 같이 밴드(104)를 삽입하여 밴드(104)의 양측단부를 결합한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면 제8도와 같이 밴드(104)가 투명시트(100)의 절개부(102)에 끼워져 밴드(104)와 시트(1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이렇게 고정된 축전지용 밴드(104)와 시트(100)를 축전지(108) 하부에서 삽입하고, 축전지(108)의 배면 중앙에 밴드(104)를 위치시키고, 투명시트(100)를 축전지(108) 사각 면으로 삽입하여 축전지(108) 상부까지 끌어올려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밴드(104)와 시트(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밴드(104)의 양단부를 통상 바느질로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때 밴드(104)의 양단부를 바느질하는데 간섭받지 않도록 시트(100)를 이동하면서 바느질을 하여야 하고, 밴드(104)의 양단부를 정확히 바느질하기 위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제작이 완료된 축전지 이동용 밴드(104)를 축전지(108) 하부로 삽입하기 위해 축전지(108)를 들어 축전지 이동용 밴드(104)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무게가 무거운 축전지(108)를 들어올린 다음 밴드(104)를 축전지(108) 배면으로 삽입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량의 축전지(108)를 축전지 이동용 밴드(104)로 삽입하기 위해 많은 인건비가 소요된다.
또한 밴드(104)가 축전지(108)의 중앙부위를 정확히 지지하지 않을 경우 축전지(108)가 빠지게 되므로 밴드(104)를 좌우로 이동하면서 중앙부로 위치교정을 하여야 하나 밴드(104)가 시트(100)와 상하로는 이동 가능하고, 좌우로는 고정되므로 밴드(104)를 축전지(108) 중심으로 이동하기 위해 투명시트(100)를 회전하여야 하므로 번거럽다.
축전지(108)에 있어 상부면 일측 또는 중앙에 다수개의 전해액 충진 주입구(110)를 형성하고, 충전지 외측 전조를 투명하게 하여 전해액 충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전해액 충진 주입구(110)가 밴드(104)의 하부에 있을 경우 밴드(104)가 좌,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충진 주입구(110)에 전해액을 주입하여야 할 경우 시트(100)와 밴드(104)를 회전하여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지전조를 상하로 감싸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가 긴 둥근띠의 손잡이밴드와, 전조를 횡으로 감쌀 수 있을 정도 길이를 가진 지지밴드와 얇은 사각체이면서 내측에 사각공이 형성된 연결체를 준비한 다음, 연결체를 손잡이밴드 외부면 두곳에 위치시킨 다음 지지밴드를 연결체 지지테 상부로 삽입하여 손잡이밴드 하부로 삽입하고, 다시 연결체의 지지테 상부로 삽입하여 손잡이밴드와 지지밴드를 연결체로 결합한다.
연결체로 손잡이밴드와 지지밴드를 양측면(두곳)에서 고정하여 축전지를 제2도와 같이 지지밴드의 개방된 쪽으로 삽입한 다음 지지밴드의 양단을 결합하여 축전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육면체의 축전지(14) 상부면에 전극단자(4)와 충전지시계(6) 및 전해액주입구(8)가 형성되고, 종으로된 손잡이밴드(10)와 횡으로된 지지밴드(12)로 축전지(14)를 결합하여 손잡이밴드(10)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축전지 이동용 밴드에 있어서, 축전지(14)의 상하부 및 측면을 감싸면서 다소 길이가 길고, 양측단부가 접합된 둥근 형상의 손잡이밴드(10)와 축전지전조(2)를 횡으로 감쌀 수 있는 지지밴드(12)의 양측 단부에 양면접착테이프(16)를 부착하되 양면접착테이프(16)의 일측에 절개부(18)를 형성하고, 절개부(18)의 깊이는 지지밴드(12)의 중심부까지 절개하고, 절개부(18)의 단부는 둥글게 절개한다.
대체로 얇은 사각 형상이면서 내측에 손잡이밴드(10)와 지지밴드(12)의 폭 보다 조금 큰 사각의 통공이 형성된 연결체(20)를 손잡이밴드(10) 외측에 위치시킨 다음 지지밴드(12) 일측 단부를 연결체(20)의 지지테(22) 상부에서 손잡이밴드(10) 하부로 삽입하고, 다시 연결체(20)의 지지테(22) 상부로 빼내고, 타측도 동일한 방법으로 손잡이밴드(10)와 지지밴드(12)를 연결체(22)로 결합한다.
지지밴드(12)에 있어 축전지전조(2)의 네모서리와 결합되는 면에 절곡부(24)를 형성하고, 지지밴드(12)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양측 절개부(18)를 서로 끼우면 지지밴드(12)의 폭과 동일한 폭이 되게 한다.
미설명부호 (26)종이, (28)파지부이다.
이상과 같이 둥근 손잡이밴드(10)와 지지밴드(12)를 연결체(20)로 연결하여 지지밴드(12)의 개방부로 축전지(14)를 삽입하고, 지지밴드(12)의 양단에 설치된 절개부(18)를 서로 끼움한 다음 양면접착테이프(16)에 설치된 종이(26)를 떼어내고, 지지밴드(12)의 양측단부를 접합한다.
이러한 결합의 경우 축전지(14)를 들어올리지 않고 축전지(14)를 일측으로 45도정도 눕힌 다음 개방된 지지밴드(12) 쪽을 이용하여 손잡이밴드(10)를 축전지(14) 하부로 삽입하고, 손잡이밴드(10)를 축전지(14) 중심에 위치시킨 다음 지지밴드(12)의 양 단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고 신속히 축전지 이동용 밴드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밴드(12)의 양 단부에 절개부(18)를 형성하여 양 단부의 절개부(18)를 서로 끼움 하면 지지밴드(12)가 축전지전조(2)를 밀착 결합하고, 절개부(18)의 단부를 둥굴게 절개하여 더 이상의 절개를 방지하도록 하며, 축전지전조(2)의 절곡된 면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밴드(12)에 절곡부(24)를 형성한다.
손잡이밴드(10)와 지지밴드(12)를 연결체(20)로 결합하므로 지지밴드(12)와 손잡이밴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밴드(10)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좌우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축전지(14)와 축전지 이동용 밴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밴드(10)의 하부에 설치된 충전지시계(6)로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손잡이밴드(10) 하부에 전해액주입구(8)가 형성된 경우에도 전해액주입구(8)로 전해액을 쉽게 주입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지밴드(12)를 하부로 빼내어 축전지(14)와 축전지 이동용 밴드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축전지에 축전지 이동용 밴드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지지밴드의 양단에 설치된 절개부를 결합하여 내산 내열성이 매우 강한 양면접착테이프로 고정하고, 파지부를 쉽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축전지 상부면에 설치된 충전지시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해액주입구로 쉽게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다.
축전지전조의 외측 절곡된 부분과 동일하게 지지밴드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쉽게 지지밴드를 축전지전조와 결합할 수 있고, 손잡이밴드의 상부 파지부에 쉽게 손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밴드를 투명하게 하면 축전지전조의 외측에 인쇄된 상표 등을 선명히 확인할 수 있고, 내산 내열성 재질로된 손잡이밴드와 지지밴드 및 연결체를 사용하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종으로된 손잡이밴드(10)와 횡으로된 지지밴드(12)를 결합하여 축전지(14)를 이동할 수 있는 종래 축전지 이동용 밴드에 있어서, 축전지(14)의 테두리 보다 길고 양단부가 고정된 둥근 형상의 손잡이밴드(10)에 얇은 사각형상이면서 중앙에 사각공이 형성된 연결체(20)로 손잡이밴드(10)와 축전지전조(2)를 횡으로 묶을 수 있는 지지밴드(12)를 결합하되 축전지(14)를 손잡이밴드(10)와 지지밴드(12)의 내측에 삽입하여 지지밴드(12)의 양측단부를 고정한 축전지 이동용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밴드(10)의 외측면 두곳에 연결체(20)를 위치시킨 다음 지지밴드(12)를 연결체(20)의 일측 지지테(22) 상부를 통해 손잡이밴드(10) 하부로 끼운 다음 다시 지지테(22) 상부로 빼내어 축전지(14)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이동용 밴드.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밴드(12)의 양측 단부에 양면접착테이프(16)를 설치하고, 양면접착테이프(16)의 내측에 절개부(18)를 형성하되, 절개부(18)의 깊이를 지지밴드(12)의 중앙부까지 절개하되 절개부(18) 단부를 둥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이동용 밴드.
  4. 제3항에 있어서, 육면체의 축전지(14)에 횡으로 지지밴드(12)를 설치할 때 축전지전조(2)의 절곡면과 동일한 위치의 지지밴드(12)에 절곡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축전지 이동용 밴드.
KR2019950020669U 1995-08-09 1995-08-09 축전지이동용 밴드 KR0120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669U KR0120560Y1 (ko) 1995-08-09 1995-08-09 축전지이동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669U KR0120560Y1 (ko) 1995-08-09 1995-08-09 축전지이동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41U KR970011241U (ko) 1997-03-29
KR0120560Y1 true KR0120560Y1 (ko) 1998-07-15

Family

ID=1942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669U KR0120560Y1 (ko) 1995-08-09 1995-08-09 축전지이동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40U (ko) 2015-08-26 2017-03-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철탑 항공장애등용 축전지 인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40U (ko) 2015-08-26 2017-03-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철탑 항공장애등용 축전지 인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41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3877B1 (en) Secondary battery
EP1577966A2 (en) Accumulator device
US6259228B1 (en) Battery pack and protective pouch therefor
JPS6365956U (ko)
KR0120560Y1 (ko) 축전지이동용 밴드
JP3226109U (ja) 自転車収納用組立て式携帯箱
CN213782122U (zh) 提手、箱体、电池和用电装置
JP4924816B2 (ja) 蓄電池用包装体
EP0775645B1 (en) Packaging holder for decorative lamp assembly
JP3022066U (ja) 蓄電池移動用バンド
CN110758869B (zh) 一种蓄电池包装盒
CN217049471U (zh) 电池极耳包装盒
CN214609185U (zh) 一种简便的自行车前把保护盒
CN218369215U (zh) 一种便携式食品纸盒
JP2584834Y2 (ja) 蓄電池の取手の取付構造
JP2956357B2 (ja) 蓄電池の包装箱
CN220474814U (zh) 一种电池扎带及电池模组
CN218199306U (zh) 一种耐用型产品内托
CN113772019B (zh) 一种用于海洋船舶的货箱打包方法
CN213229375U (zh) 一种结构稳定的折叠纸盒
WO2024063075A1 (ja) 梱包箱付き蓄電池、および蓄電池用の梱包箱
CN218431077U (zh) 一种车顶行李包
CN215286138U (zh) 一种方便包装的瓦楞彩箱
CN213594699U (zh) 一种蓄电池快速装箱装置
CN214085790U (zh) 一种马桶盖的包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