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190B1 -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90B1
KR0120190B1 KR1019920022890A KR920022890A KR0120190B1 KR 0120190 B1 KR0120190 B1 KR 0120190B1 KR 1019920022890 A KR1019920022890 A KR 1019920022890A KR 920022890 A KR920022890 A KR 920022890A KR 0120190 B1 KR0120190 B1 KR 012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torage
lamp
compress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914A (ko
Inventor
심재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90B1/ko
Publication of KR94001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서 김치 숙성기능에서 저장기능으로 절환할 때, 압축기를 제어하여 고내온도 변화를 안정화시키되, 상기 고내온도의 안정화 기간 동안에는 저장표시램프를 점멸하다가 고내온도가 안정화되면 저장표시램프만을 점등표시토록 하는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숙성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숙성완료판단단계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숙성램프를 점등하고,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숙성램프점등단계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되었으면 숙성램프를 소등시키는 숙성램프소등단계와, 상기 숙성램프 소등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한가를 판단하는 고내온도판단단계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면 저장램프를 점등시키는 저장램프점등단계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지 않으면 소정시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단계와, 상기 타이머 구동단계에 의하여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와, 상기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에서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어 있으면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저장램프소등단계로 하여 김치숙성완료후 저장기능으로 진행상황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판단오류를 방지하여 최적의 김치맛을 유지하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제1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상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고내온도 안정에 따른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표시모드를 나타낸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숙성완료후 저장상태로 돌입시 고내온도 센서와 고내온도변화 과정을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숙성표시구동부 나 : 저장표시구동부
다 : 고내온도감지부 라 : 마이콤
마 : 히터구동부 바 : 압축기구동부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치냉장고에서 김치 숙성기능에서 저장기능으로 절환할 때, 압축기를 제어하여 고내온도 변화를 안정화시키되, 상기 고내온도의 안정화기간 동안에는 저장표시램프를 점멸하다가 고내온도가 안정화되면 저장표시램프만을 점등표시 토록하는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혐기성식품(발효식품)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화학작용에 의해 열이 발생하며 이것과 함께 최적의 발효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효기간에는 일정의 고온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는바, 이와 같이 일정의 고온을 유지하면서 발효를 진행하는 도중에 발효종료의 최적점을 읽어 발효를 최대한 억제시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직접 냉각방식 또는 간접 냉각방식에 관계없이 부하(김치류)를 품온(표면과 내부의 온도가 일정해지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을 진행할 때, 숙성시의 고온이 냉장고의 내벽면과 식품표면 및 내부의 온도를 고온(30˚)상태로 장시간 유지시켰음에 따른 잡열에 의해 품온유지기간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소비자는 품온유지전 저장중인가 또는 숙성중인가를 판단하여 저장중으로 표시되면 식품을 먹게 되는데, 이때 품온유지 전에는 냉각미약에 의한 덜 시원함 또는 따뜻함 등으로 인하여 제맛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숙성 진행중에는 숙성중을 표시토록 하고, 숙성이 종료되었거나 품온으로 유지되기 전까지는 저장중 표시램프를 일정주기로 점멸하도록 하며 품온이 유지되면 저장중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일반 소비자가 잘 숙성되고 저장된 최적의 맛을 유지된 식품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성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숙성완료판단단계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숙성램프를 점등하고,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숙성램프점등단계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되었으면 숙성램프를 소등시키는 숙성램프소등단계와, 상기 숙성램프소등단계에서 숙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한가를 판단하는 고내온도판단단계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면 저장램프를 점등시키는 저장램프점등단계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지 않으면 소정시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단계와, 상기 타이머 구동단계에 의하여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와, 상기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에서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어 있으면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저장램프소등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기능표시 회로도로서, 숙성기능을 표시하는 저항(R1), 표시램프(L1),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되는 숙성표시구동부(가)와, 저장기능을 표시하는 저항(R2), 표시램프(L2), 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되는 저장표시구동부(나)와, 고내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TH1), 저항(R3),(R4), 콘덴서(C1)로 구성되는 고내온도감지부(다)와, 상기 고내온도감지부(다)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되는 고내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여 제어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라)과, 상기 마이콤(라)의 제어신호를 받아 고내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히터를 구동시키는 포터트라이액(T1), 히터(H1)로 구성되는 히터구동부(마)와, 상기 마이콤(라)의 제어신호를 받아 고내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포터트라이액(T2), 압축기(COMP)로 구성되는 압축기구동부(바)로 구성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의 플로우챠트로서, 숙성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숙성완료판단단계(20)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20)에서 숙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숙성램프를 점등하고,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숙성램프점등단계(21)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20)에서 숙성이 완료되었으면 숙성램프를 소등시키는 숙성램프소등단계(22)와, 상기 숙성램프소등단계(22)에서 숙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한가를 판단하는 고내온도판단단계(23)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면 저장램프를 점등시키는 저장램프점등단계(24)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지 않으면 소정시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단계(25)와, 상기 타이머 구동단계(25)에 의하여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26)와, 상기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26)에서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어 있으면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저장램프소등단계(27)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고내온도 안정에 따른 플로우챠트로서, 숙성이 완료된 후 숙성에서 저장으로 절환되는 과정에서, 고내온도를 저장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구동판단단계(31)와, 상기 압축기구동판단단계(31)에서 압축기가 구동을 하고 있지 않으면, 오프시간 타이머를 온시키고, 온시간 타이머는 정지시키는 타이머절환단계(32)와, 상기 타이머절환단계(32)에서 타이머가 절환된 후, 현재 온시간이 이전에 온시간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압축기 온시간판단단계(33)와, 상기 압축기 온시간 판단단계(33)에서 이전 온시간이 같거나 크지 않으면 상기 현재 온시간을 이전 온시간으로 저장하는 현재 온시간저장단계(34)와, 상기 압축기구동판단단계(31)에서 압축기가 온되어 있으면, 온시간타이머를 온시키고, 오프시간타이머는 정지시키는 타이머절환단계(35)와, 상기 타이머절환단계(35)에서 타이머가 절환된후, 현재 오프시간이 이전 오프시간보다 크거나, 같은가를 판단하는 압축기 오프시간 판단단계(36)와, 상기 압축기 오프시간 판단단계(36)에서 현재 오프시간이 이전 오프시간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현재 오프시간을 이전 오프시간에 저장하는 현재 오프시간 저장단계(37)와, 상기 압축기 오프시간판단단계(36)와, 상기 압축기온시간판단단계(33)에서 현재 오프시간과 현재 온시간이 크거나 같으면, 현재 온시간과 현재 오프시간을 합산하는 현재시간 합산단계(38)와, 상기 현재시간 합산단계(38)에서 이 합산된 시간이 이전 듀티 사이클과 같은가를 판단하는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와, 상기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에서 합산된 현재시간이 듀티사이클과 같으면 상기 합산된 시간을 이전 듀티사이클에 저장하는 듀티사이클저장 및 안정횟수를 클리어시키는 듀티사이클 저장 및 안정횟수 클리어단계(40)와, 상기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에서 합산된 현재시간이 듀티사이클과 같지 않으면, 안정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안정횟수 판단단계(41)와, 상기 안정횟수 판단단계(41)에서 안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안정횟수를 증가하는 안정횟수 증가단계(42)와, 상기 안정횟수 판단단계(41)에서 안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 되면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되었음을 인식하고 표시램프를 제어하는 램프제어단계(43)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표시모드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숙성기능에서는 고내온도가 숙성영역을 유지하다가 저장기능에서는 고내온도가 저장영역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숙성기능에서 저장영역으로 이행되어 가는 과정에서 상기 숙성기능시에는 오직 숙성표시램프를 점등하고, 저장영역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는 저장표시램프를 점멸을 반복하다가 상기 저장영역으로 안정하게 도달하면 도달된 후에는 저장표시램프가 점등상태를 유지함을 표시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에 적용되는 숙성완료후 저장상태로 돌입시 고내온도센서와 고내온도변화과정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고내온도감지부에서 감지온도는 기능이 숙성에서 저장으로 이행되어진 이후 압축기가 온되고 오프되는 점이 처음이나 후반부나 동일한 점을 가지나 실제 부하의 온도는 공기온도에 비해 열냉각된 상태에서 압축기가 오프됨에 따라 고내온도에 비해, 높은점에서부터 서서히 감소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t1과 tn의 듀티사이클은 거의 비슷하더라도 t1'시간과 tn'시간 또는 tn'+n시간은 냉장고의 내벽이 충분히 냉각됨에 따라 그 주기(시간)가 짧은 것에서 출발하여 점점 길게된 후 안정된 시간(전후가 동일한 시간대)으로 유지되는 냉장고와 식품의 특성을 이용하여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한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tn+1, tn+2, tn+3 등과 tn+1', tn+2', tn+3'로 표시된 것이 품온에 도달되게 됨에 따라 고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보존됨을 나타낸 것으로써 압축기의 온시간과 오프시간의 합과 압축기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일정한가 여부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김치냉장고에서 김치가 숙성이 될때에는 제1도의 마이콤(라)에서는 고내온도감지부(다)의 온도센서(TH1)를 통해서 고내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고내온도에 따라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제어하여 제어된 신호를 히터구동부(마)로 출력시켜 히터구동부(마)의 히터(H1)를 온 오프하면서 고내온도를 조절하면서 숙성을 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숙성표시구동부(가)를 제어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숙성표시램프(L1)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어서 소정의 숙성기능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제2도의 숙성완료판단단계(20)로 가서 숙성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숙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상기 숙성표시구동부(가)를 구동시켜 숙성표시램프(L1)를 점등시키는 반면에 저장표시구동부(나)의 저장표시램프(12)를 오프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20)에서 숙성이 완료되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숙성표시구동부(가)를 제어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숙성표시램프(L1)를 소등시킨 후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고내온도판단단계(23)로 가서 고내온도변화가 안정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고내온도변화가 안정되어 있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저장표시구동부(나)를 구동제어하여 저장표시램프(12)를 점등시켜 현재 저장중임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에서 고내온도변화가 안정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타이머구동단계(25)로 가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저장표시램프점등판단단계(26)로 가서 저장표시구동부(나)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표시램프(L2)를 소정시간 동안 점등시키고 상기 저장표시램프(L2)가 소정시간 점등이 완료되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저장램프소등단계(27)로 가서 제1도의 저장표시구동부(나)의 저장표시램프(L2)를 상기 타이머에 의한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소등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숙성기능에서 저장기능으로 돌입되기 전에 저장표시램프(L2)를 점멸하여 고내온도가 안정되어감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숙성기능이 완료된 후 저장기능으로 진행할 때,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에서 고내온도를 안정화가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압축기 구동판단단계(31)로 가서 상기 숙성이 완료됨으로 해서 숙성된 것을 저장하기 위하여 고내온도를 냉각되도록 압축기구동부(바)를 제어하여 압축기(COMP)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가 구동을 하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타이머절환단계(32)로 가서 압축기 오프 시간타이머는 온구동시키고, 온시간타이머는 정지시키고,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압축기온시간판단단계(33)로 가서 상기 이전 온시간이 현재 온시간보다 크거나 같은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 온시간판단단계(33)에서 현재 온시간이 크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현재 온시간저장단계(34)로 가서 현재 온시간을 이전 온시간에 저장시키고 다음 루틴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구동판단단계(31)에서 압축기가 구동을 하지 않고 있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타이머 절환단계(35)로 가서 압축기 온시간타이머는 온구동시키고, 오프시간타이머는 정지시키며, 이어서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압축기오프시간판단단계(36)로 가서 현재 오프시간이 이전 오프시간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현재 오프시간 저장단계(37)로 가서 현재 오프시간을 이전 오프시간에 저장시키고, 다음 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현재 오프시간저장단계(37)와 현재 온시간저장단계(34)에서 현재 오프시간이 이전 오프시간보다 같거나 크고, 상기 현재 온시간이 이전 온시간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현재시간 합산단계(38)로 가서 현재 오프시간과 현재 온시간을 합산을 하게 되고,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로 가서, 상기 합산된 현재 시간이 이전 듀티사이클과 같은가를 판단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합산된 현재시간이 이전 듀티사이클과 같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듀티사이클저장 및 안정횟수 클리어단계(40)로 가서 상기 합산된 현재시간을 상기 이전 듀티사이클에 저장을 하며 아울러, 안정횟수를 클리어시키고 다음 루틴을 수행한다.
그러나 듀티사이클비교판단단계(39)에서 상기 합산된 현재시간이 듀티사이클과 같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안정횟수판단단계(41)로 가서 안정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안정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이 아니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안정횟수증가단계(42)로 가서 안정횟수를 증가시킨 후 다음 루틴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안정횟수판단단계(41)에서 안정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이면 상기 마이콤(라)에서는 램프제어단계(43)로 가서 고내온도가 안정되었음을 판단한 후 저장표시구동부(나)의 저장표시램프(L2)를 구동시켜 현재 고내온도가 안정되고 저장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서 김치를 숙성한 후 저장시킬 때, 상기 숙성완료에서 저장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에 고내온도가 저장에 알맞는 온도로 유지될 때까지 저장램프를 점멸시켜 주고, 고내온도가 저장에 알맞는 온도로 유지되면 저장램프를 계속 점등시킴으로써 숙성완료후 바로 저장램프 점등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오류 판단을 방지하게 되어 최적의 맛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김치의 숙성 및 저장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 표시방법에 있어서, 숙성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숙성완료판단단계(20)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20)에서 숙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숙성램프를 점등하고,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숙성램프점등단계((21)와, 상기 숙성완료판단단계(20)에서 숙성이 완료되었으면 숙성램프를 소등시키는 숙성램프소등단계(22)와, 상기 숙성램프소등단계(22)에서 숙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한가를 판단하는 고내온도판단단계(23)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면 저장램프를 점등시키는 저장램프점등단계(24)와,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에서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하지 않으면 소정시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단계(25)와, 상기 타이머 구동단계(25)에 의하여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26)와, 상기 저장램프점등판단단계(26)에서 저장램프가 소정시간 점등되어 있으면 저장램프를 소등하는 저장램프소등단계(2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온도판단단계(23)는 고내온도를 저장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구동판단단계(31)와, 상기 압축기구동판단단계(31)에서 압축기가 구동을 하고 있지 않으면, 오프시간 타이머를 온시키고, 온시간 타이머는 정지시키는 타이머절환단계(32)와, 상기 타이머절환단계(32)에서 타이머가 절환된 후, 현재 온시간이 이전에 온시간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압축기 온시간 판단단계(33)와, 상기 압축기 온시간 판단단계(33)에서 이전 온시간이 같거나 크지 않으면 상기 현재 온시간을 이전 온시간으로 저장하는 현재 온시간저장단계(34)와,상기 압축기 구동판단단계(31)에서 압축기가 온되어 있으면, 온시간타이머를 온시키고, 오프시간타이머는 정지시키는 타이머절환단계(35)와, 상기 타이머절환단계(35)에서 타이머가 절환된후, 현재 오프시간이 이전 오프시간보다 크거나, 같은가를 판단하는 압축기 오프시간 판단단계(36)와, 상기 압축기 오프시간 판단단계(36)에서 현재 오프시간이 이전 오프시간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현재 오프시간을 이전 오프시간에 저장하는 현재 오프시간 저장단계(37)와, 상기 압축기 오프시간 판단단계(36)와, 상기 압축기 온시간 판단단계(33)에서 현재 오프시간과 현재 온시간이 크거나 같으면, 현재 온시간과 현재 오프시간을 합산하는 현재시간 합산단계(38)와, 상기 현재시간 합산단계(38)에서 이합산된 시간이 이전 듀티사이클과 같은가를 판단하는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와, 상기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에서 합산된 현재시간이 듀티사이클과 같으면 상기 합산된 시간을 이전 듀티사이클에 저장하는 듀티사이클저장 및 안정횟수를 클리어시키는 듀티사이클 저장 및 안정횟수 클리어단계(40)와, 상기 듀티사이클 비교판단단계(39)에서 합산된 현재시간이 듀티사이클과 같지 않으면, 안정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안정횟수 판단단계(41)와, 상기 안정회수 판단단계(41)에서 안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안정횟수를 증가하는 안정회수 증가단계(42)와, 상기 안정회수 판단단계(41)에서 안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 되면 고내온도 변화가 안정되었음을 인식하고 표시램프를 제어하는 램프제어단계(4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KR1019920022890A 1992-11-30 1992-11-30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KR012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890A KR0120190B1 (ko) 1992-11-30 1992-11-30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890A KR0120190B1 (ko) 1992-11-30 1992-11-30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914A KR940011914A (ko) 1994-06-22
KR0120190B1 true KR0120190B1 (ko) 1997-10-22

Family

ID=1934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890A KR0120190B1 (ko) 1992-11-30 1992-11-30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76B1 (ko) * 2002-09-19 2005-04-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76B1 (ko) * 2002-09-19 2005-04-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914A (ko)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6528A (en) Temperature set point control for a refrigerator
US4812622A (en) Apparatus for defrosting frozen articles
KR940005572B1 (ko) 김치냉장고의 김치 숙성저장제어장치 및 방법
KR0120190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 및 저장기능표시방법
US5156011A (en) Loa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59310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cooked food chilling chamber in a refrigerator
KR0159625B1 (ko) 냉장고의 표시부 제어장치
KR100839849B1 (ko) 냉장고의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KR0129236B1 (ko) 냉장고의 김치 숙성 및 보관방법
KR950003129B1 (ko) 김치 냉장고의 숙성 및 보관 제어방법
KR950003130B1 (ko) 냉장고의 김치 숙성 제어 방법
JP2000304433A (ja) 連動調理が可能な冷蔵庫と調理器
JP2944339B2 (ja) 冷蔵庫
KR100213928B1 (ko) 다용도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온도 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620469B2 (ja) 冷蔵庫の温度制御方法
KR20070075674A (ko)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KR960014839B1 (ko) 냉장고의 김치류 발효 및 저장 제어방법
KR100381658B1 (ko)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 밝기조절방법
KR870001215B1 (ko) 김치발효 및 저장 냉장고
JP2000161758A (ja) 温度調節装置
KR960010658B1 (ko) 냉장고의 급속냉동 제어방법
KR100203087B1 (ko) 자동판매기의 절전제어방법
KR100269465B1 (ko) 김치저장고의 구동제어방법
KR100484976B1 (ko) 김치저장고의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JPH0424480A (ja) 冷却貯蔵庫の負荷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