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932Y1 - 유압 냉면기 - Google Patents

유압 냉면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932Y1
KR0119932Y1 KR2019950012737U KR19950012737U KR0119932Y1 KR 0119932 Y1 KR0119932 Y1 KR 0119932Y1 KR 2019950012737 U KR2019950012737 U KR 2019950012737U KR 19950012737 U KR19950012737 U KR 19950012737U KR 0119932 Y1 KR0119932 Y1 KR 0119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owered
hydraulic
switch
sepa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107U (ko
Inventor
하복진
Original Assignee
하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복진 filed Critical 하복진
Priority to KR2019950012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932Y1/ko
Publication of KR970000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8Extruding machines with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유압냉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냉면기는 냉면을 압출하는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할때 분판의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하강되는 피스톤이 분판의 통공과 일치되지 않을때에도 피스톤이 하강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피스톤이 하강할 때 과부하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이때에 피스톤의 하강위치가 변동되어지며, 이와같이 변동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하강되면 이때 피스톤은 상당한 고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분통 및 주변기기를 손상시키는 폐단과 안전사고를 유발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요지는 통공이 있는 분판(2)에 설치된 자석(6)(6')과 지지대의 일점에 설치된 센서(7)가 서로 일치될시에 한하여 전원이 인가(ON)되게 하고, 이와같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ON스위치를 누르면 비로서 피스톤(4')이 하강작동하게 되며, 피스톤(4')의 하강작동 과정 과부하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이때에는 압력스위치(10)와 유압밸브러크(11)가 작동하면서 하강되는 피스톤(4')이 하강운동을 멈추고 원위치로 되돌림되어지고, 외압이나 충격요인이 제거되면 이때 다시 ON 스위치를 누르면 피스톤이 하강 작동될 수 있게 하며, 유압밸브러크(11)의 내부에는 실린더(4)와 연결된 유압호우스(12)(12')(12)의 유로 및 모터펌프(8)와 연결된 유압호우스(12') 사이에 조절구(11')를 개재한 직선 유로(11)를 형성하므로서 기계적인 무리방지 및 제작상 난점을 극복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냉면기 압력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분판의 정위치 표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유로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유로작동 표시도로서
a는 피스톤이 상승되었을 때
b는 피스톤이 하강되었을 때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전원 배선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9 도는 회로 구성도
제 10 도는 종래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1' : 지지체
2 : 분판2' : 통공
2 : 손잡이3,3' : 분통
4 : 실린더4' : 피스톤
5,5' : 마그네트코일(M1,M2)6,6' : 자석
7 : 센서8 : 모터펌프
9 : 유압탱크9' : 콘트롤박스
10 : 압력스위치11 : 유압밸브러크
11' : 조절구11 : 직선유로
12,12',12 : 유압호우스
(1)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받은 공고번호 96-3335호와 관련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유압냉면기에 관한 것이다.
(2)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상기의 선출원 유압냉면기는 냉면을 압출하는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할때 분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유동상태로서 아무곳에 있을때에도 피스톤이 하강하기 때문에 하강되는 피스톤이 분판의 통공과 일치하지 않을때에도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분판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이 하강할 때 과부하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이때에는 피스톤이 변동되어지면서 하강위치가 변동된 상태에서 고압을 갖고 하강하기 때문에 문통 및 주변기기를 손상시키는 폐단이 있고 또한 유압밸브러크의 경우는 릴리브밸브를 개재시킨 후 회유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작상 난점이 있었던 것이다.
(3)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지지대에 설치되어진 센서와 분판에 설치된 자석이 일치되어야만 전원이 공급되어 피스톤이 작동될 수 있게 함과 동시 피스톤이 하강할때나 작동과정에 과부하될시는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압력스위치를 작동시켜 피스톤을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함과 동시에 유압밸브러그에는 직선유로를 형성시켜 이의 제작상 난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4)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4)내에 끼움된 피스톤(4')의 상하 축에는 마그네트코일(5)(5')이 설치되고 이의 하단부는 지지대(1')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분판(2)의 통공(2')과 연통된 분통(3)(3')내에 헐겁게 끼움되게 하고 분판(2)의 주연에는 자석(6)(6')이 일정(90°) 간격을 갖고 매입 설치되어 잇으며, 분판(2)의 주연과 접하는 지지대(1')의 일정지점에는 센서(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7)는 콘트롤박스(9')와 도선으로 연결되어지며 실린더(4)의 상부에 연결된 유압호우스(12)는 압력스위치(10)를 개재시켜 유압탱크(9)와 연결되고 유압탱크(9)위에 설치된 유압밸브러크(11)에는 유압호우스(12')를 개재한 모터펌프(8)가 설치되며 유압밸브러크(11)의 타측에 연결된 유압호우스(12)는 실린더(4)의 하부와 연결되고, 유압밸브러크(11)의 내부에는 직선유로(11)와 조절구(11')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회로구성(제 8도)에 있어서는 전원(T,R)을 모터마그네트코일(M-1) 및 솔마그네트코일(M-2)과 이의 솔리노이드에 연결하며, 전원(R)을 개폐하는 토콜스위치(SW-1)와 결선된 A접점(SM-2)과 전원(T)와 연결된 모터 마그네트코일(M-1)과의 사이에는 B'접점(AR-1) 및 A'접점(CM-1)이 결선됨과 동시에 전원(T)과 연결된 자석센서(MG-1) 및 릴레이코일(R-1)과 자석센서(MG-2) 및 릴레이코일(R-2)와의 사이에는 프레샤스위치(SW-3)가 연결되며 전원(T)와 결선된 릴레일(R-3) 사이에는 토콜스위치(SW-1)와 결선된 자석센서(7)가 설치되고, 오프스위치(SW2)와 결선된 A접점(DM-2), B접점(BR-2) 및 온스위치(SW-3)와 결선된 솔라그네트코일(M-2)은 전원(T)과 연결된 구조이다.
(5) 본 고안의 작용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토콜스위치(SW-1)에 전원을 ON시킨 다음 온스위치(SW-3)을 누르면 솔마그네트코일(M-2)이 작동하여 마그네트코일(M-2)의 접점과 모터마그네트코일(M-1)의 접점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온스위치(SW-3)와 B접점(BR-2) 및 A접점(DM-2)이 연결되고, A접점(SM-2) 및 모터마그네트코일(M-1)과 B'접점(AR-1) 및 A'접점(CM-1)이 연결되어 작동한다.
이때 자석센서(MG-2)와 릴레이코일(R-2)은 연결되어 있고, 자석센서(MG-2)의 접점에 피스톤(4')이 하강하여 피스톤(4')에 부착된 자석(6)이 자석센서(MG-2)에 감지되어지면, 이때 B접점(BR-2)은 소멸되어지고, 아울러 솔마그네트코일(M-2)도 함께 소멸된다.
이와같이 솔마그네트코일(M-2)에 전원이 소멸되면 자동으로 유량회로가 바뀌어 실리더(4)내의 피스톤(4')은 상승한다.
이때에는 모터마그네트코일(M-1)접점만 살아있고 나머지 접점은 전부 소멸된다.
그리고 자석센서(MG-1)에 피스톤(4')의 자석(6)이 감지되면 릴레이코일(R-1)이 소멸되고, B'접점(AR-1)은 차단되어진다.
마그네트코일(M-1)이 소멸되면 피스톤(4')이 원위치에 상승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어지므로서 1차 동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온스위치(SW-3)를 작동시키면 솔마그네트코일(M-2)이 연결되어 실린더(4)가 하강하게 되나 이때 오프스위치(SW-2)를 작동시키면 솔마그네트코일(M-2)이 소멸되어 유압 복귀로에 기름이 주입되어 피스톤(4')은 다시 상승하고 이때 자석센서(MG-2)에 피스톤(4')의 자석(6)이 감지되면 이때에는 릴레이코일(R-1)이 작동하여 B'접점(AR-1)이 차단되므로 마그네트코일(M-1)은 소멸되어 원위치된다.
그리고 온스위치(SW-3)를 다시 가동시켰다가 토콜스위치(SW-1)를 차단하면 이때에는 전원이 차단되어지고 아울러 실린더내에 피스톤(4')의 작동은 바로 중단된다.
전기한 선등록 고안에는 압력스위치(10)가 없어서 피스톤(4')을 하강시킬 때 과부하나 외부충격으로 무리한 힘이 피스톤(4')에 가해지면 피스톤(4')이 하강 위치 변동되어 계속 하강하게 되고 이때 분판(2)의 통공(2')과 위치가 조금만 틀려도 기계의 파손요인이 되었으나, 본 고안은 피스톤(4')을 하강시킬 때 과부하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무리한 힘이 피스톤(4')에 가해지면 피스톤(4')은 계속 하강되나 이때 분판(2)의 통공(2')과 피스톤의 위치가 조금만 틀려진 상태에서 분판에 힘이 가해지면 지지대(1')에 부착된 센서(7)가 이를 감지하여 압력스위치(10)를 작동시켜 피스톤(4')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코일마그네트(5)(5')와는 관계없이 피스톤(4')을 상승시켜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한 것이다.
즉 분판(2)에 부착된 자석(6)과 지지대(1')에 부착된 센서(7)가 서로 일치되어 전원이 공급되게 한 후 온스위치(SW-3)를 누르면 피스톤(4')이 하강하게 되나, 이때 과부하나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압력스위치(10)가 작동하여 실린더(4)내에 있는 기름의 유출이 드레인(다시 되돌아감)되어 실린더(4)내로 유입되어짐에 따라 피스톤(4')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하부의 코일마그네트(5)(5')와는 관계없이 기름은 계속 하부측 실린더(4)내로 유입되어지고, 피스톤은 상승하여 원위치로 돌아온다. 그리고 과부하한 충격원인이 제거된 후 ON 스위치를 누르면 피스톤(4')은 다시 하강한다.
그리고 분판(2)에 부착되어진 자석(6)(6')과 지지대(1')에 부착된 센서(7)가 서로 일치되어지면 솔리노이드밸브에 전원이 들어와서 유압탱크(9)에 있던 기름이 유압밸브러크(11) 및 유압호우스(12)를 통하여 실린더(4)로 흘러들어가면, 이때의 유압으로 인하여 피스톤(4')이 하강하며, 실린더(4)내에 있는 기름을 유압호우스(12)내로 흘려보내면 이 기름은 유압밸브러크(11)를 거쳐 바로 유압탱크(9)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솔리노이드밸브에 전원이 끊어지면 유압탱크(9)에 있던 기름이 유압밸브러크(11)를 통하여 유압호우스(12)에서 실린더(4)로 흘러들어가는 유압으로 인하여 피스톤(4')이 상승하여 실린더(4)내에 있는 기름은 다시 유압호우스(12)를 통해 유압밸브러크(11)를 거쳐 유압탱크(9)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유압밸브러크(11)의 내부에는 직선유로(11)가 형성되어 있어 종래처럼 릴리브밸브를 없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로구성을 단순화하였기 때문에 제작상 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분판(2)의 주면에 부착된 자석(6)(6')과 지지대(1')에 부착된 센서(7)가 일치되어지면 비로소 전원이 인가하여 피스톤(4')이 하강하며, 피스톤(4')이 하강할 때 과부하를 받으면 이때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해 압력스위치(10)의 솔리노이드밸브(7')가 작동하면서 유압밸브러크(11)를 통해 유체를 드레인시켜 피스톤이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하였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압밸브러크(11)의 내부에는 직선유로(11)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작상 간편함은 물론 기계적 무리가 없어 기계의 수명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통공(2')이 있는 분판(2)의 주면에 자석(6)(6')이 일정간격을 갖고 매입되어 있고, 분판(2)의 주연과 접하는 지지대(1')의 일정지점에는 센서(7)가 설치되어 센서(7)와 자석(6)(6')이 일치되었을 때 전원이 공급되어 ON 스위치를 누르면 실린더(4)내의 피스톤(4')이 하강되면서 피스톤(4')이 작동하는 과정에 과부하나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이때에는 압력스위치(10)가 작동하면서 유압 밸브러크(11)가 동시에 작동하여 유로가 변환되어 실린더(4)내에 있는 피스톤(4')이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실린더(4) 하부에 유체가 유입되어 피스톤(4')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므로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유압냉면기.
KR2019950012737U 1995-06-01 1995-06-01 유압 냉면기 KR0119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737U KR0119932Y1 (ko) 1995-06-01 1995-06-01 유압 냉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737U KR0119932Y1 (ko) 1995-06-01 1995-06-01 유압 냉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07U KR970000107U (ko) 1997-01-21
KR0119932Y1 true KR0119932Y1 (ko) 1999-02-01

Family

ID=1941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737U KR0119932Y1 (ko) 1995-06-01 1995-06-01 유압 냉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9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1518A (zh) * 2011-11-21 2012-06-27 深圳爱她他智能餐饮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选择加工不同形状面条的刀削面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1518A (zh) * 2011-11-21 2012-06-27 深圳爱她他智能餐饮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选择加工不同形状面条的刀削面机
CN102511518B (zh) * 2011-11-21 2014-05-21 深圳爱她他智能餐饮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选择加工不同形状面条的刀削面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07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8867B1 (en) Power-assist door closer
KR0119932Y1 (ko) 유압 냉면기
WO2002018800A3 (en) Pilot solenoid control valve with an emergency operator
US3060458A (en) Adjustable toilet seat inner bowl and seat
US4533908A (en) Warning means for a safety valve of a hydraulic power unit and a hydraulic power unit having the same
US2732450A (en) Stevenson
JPH1017285A (ja) 油圧リフト
CN209708859U (zh) 一种安装屏切换片操控装置
US4161140A (en) Protected rocker-arm safety device for presses
KR200254627Y1 (ko) 소변기의 자동 세정장치
KR200221832Y1 (ko) 트랙터 자동 유압승강장치
KR940000180Y1 (ko) 중장비의 아웃트리거 작동용 실린더안전장치
KR0136456Y1 (ko) 식기세척기용 수위감지장치
JPS5925359Y2 (ja) 洗濯機の給水装置
JPH0433496Y2 (ko)
CN107039197B (zh) 一种微动限位通用开关
JPS6048328B2 (ja) 安全カバ−をもつ射出成形機の型締め装置
JPH081066Y2 (ja) 射出成形機の油圧式安全装置
KR200152168Y1 (ko) 승용차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와 그에 결합된 콘트롤암의 조립체
KR900003241Y1 (ko) 가스 차단기
KR860003115Y1 (ko) 일수(溢水) 방지장치
JP2520878Y2 (ja) 浴室用機器コントローラ
JPH0547190Y2 (ko)
KR940003009Y1 (ko) 전자석 밸브
KR810002526Y1 (ko) 자동우물 펌프의 운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