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280Y1 - 알람 스위치 - Google Patents

알람 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280Y1
KR0119280Y1 KR2019940015583U KR19940015583U KR0119280Y1 KR 0119280 Y1 KR0119280 Y1 KR 0119280Y1 KR 2019940015583 U KR2019940015583 U KR 2019940015583U KR 19940015583 U KR19940015583 U KR 19940015583U KR 0119280 Y1 KR0119280 Y1 KR 0119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ime
key
alarm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969U (ko
Inventor
윤용화
Original Assignee
윤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화 filed Critical 윤용화
Priority to KR2019940015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280Y1/ko
Publication of KR960002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4Means for time setting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에서 선택된 신호는 콘트롤러부(200)로 입력되어 처리된 후, 시계부(300) 또는 알람부(400)를 거쳐 액정표시장치 구동부(500)를 구동시키는 한편, 증폭부(600)에서 증폭되어 래치 릴레이부(700)의 릴레이 접점을 개폐시켜 부하(900)에 교류전원(950) 공급여부가 결정되게 한 것으로, 예야된 일정한 시간에 예약기능을 동작시키는 회로의 전원으로서 밧데리(75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약시간이나 현재시간의 조정에 있어서 시간의 최소단위 조정키만을 사용하여 보다 큰 시간단위까지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람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콘트롤러부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주기의 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시계부의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알람부의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증폭부 및 릴레이부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 120:세트키
130:셉엎키 140:셉다운키
150:셀렉트키 160:부하 온/오프 키
170:방범키 180:알람키
200:콘트롤러부 270:분주기(divider)
300:시계부 310:분단위 계수기
320, 420:10분단위 계수기 330, 340:시간단위 계수기
400:알람부 500:액정표시장치 구동부
550:액정표시부 600:증폭부
610:제1증폭단 620:제2증폭단
700:래치릴레이부 750:밧데리
800:스위치 회로부 850:정류 충전부
900:부하 950:교류전원
본 고안의 알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약된 일정한 시간에 예약기능을 동작시키는 회로의 전원으로서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게하고, 예약시간 및 시계의 시간 조정을 용이하게 하며, 부하(load)의 온/오프키 외에 예약 온키, 예약 오프키, 알람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알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알람 스위치는 SCR이나 트라이액을 사용한 스위치 회로를 사용하여 그 전원으로서 밧데리를 사용하기 어려웠다.
도한, 알람 시간이나 시계의 시간 조정에 있어서 시간 및 분을 각기 별개로 조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SCR등을 사용한 스위치 회로 대신에 래치 릴레이(Latch Relay)를 사용하여 그 전원으로 밧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알람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예약시간이나 시계의 현재 시간 조정에 있어서 시간의 최소단위 조정키 만을 사용하여 보다 큰 시간단위까지 조정할 수 있는 알람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하나의 장치에 실생활에 유용한 기능인 부하 온/오프 키, 예약 온키, 예약 오프키, 알람키를 구비시켜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알람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본 고안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 콘트롤러부(200), 시계부(300), 알람부(400), 액정표시장치 구동부(500), 액정표시부(550), 증폭부(600), 래치 릴레이부(Latch Relay)(700), 스위치 회로부(800), 정류 충전부(850), 부하(900), 교류전원(950), 밧데리(750)로 구성된다.
기능선택 및 시간 조정부(100)에서 선택된 기능의 신호 콘트롤러부(Controller)(200)로 입력되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고, 시계부(300)와, 알람부(400)는 상기 콘트롤러부(2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시계부(300)에서 현재시간과 조정된 시간을 처리하고 상기 알람부(400)에서는 예약된 시간을 처리하여야 액정표시장치 구동부(500)로 출력하고, 상기 액정표시 장치 구동부(500)는 액정표시부(LCD)(550)를 구동시켜 시계부(300) 및 알람부(4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액정표시부(550)화면상에 각각 나타나게 된다.
상기 콘트롤러부(200)에서 출력된 신호는 또한 증폭부(600)에서 증폭되어 래치 릴레이부(Latch Relay)(700)에 공급되며, 상기 증폭부(600)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릴레이부(700)의 릴레이 접점이 기폐되어 부하(900)에 교류전원(950)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데, 상기 래치 릴레이부(700)를 사용함으로써 밧데리(750)를 그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위치 회로부(800)는, 백열등이나 콘덴서가 붙은 형광등을 사용하는 경우등에 상기 래치 릴레이부(700)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SCR이나 트라이액을 사용하여 스위치 역할을 하고, 정류 충전부(850)를 통하여 약하게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고 정전압을 만들어 충전지를 충전하여 잔원으로 사용한다.
부하(900)는 예를들어 전등과 알람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류전원(950)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액정표시부(550)가 포함된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세트키(set key)(120), 셉엎키(setup key), (130), 셉다운 키(setdown key)(140)는 현재의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조정키 또는 알람시간, 예약 온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시간예약 키로서, 시간 조정을 할 때는 셉엎키(130)와 셉다운키(140)중 하나의 키와 세트키(120)를 동시에 조작하여야 하고 알람시간 및 예약 온 시간 조정을 할 때는 예약 온키(방범키)(170), 또는 알람키(180)를 켠상태에서 셉엎키(130) 또는 셉다운키(140)를 조작하여야 한다.
또한 시간의 조정 또는 예약할 때 시간의 변화는 시간단위의 크기 순서에 따라 작은 단위로부터 큰 단위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바 예를 들어 현재의 시간을 조정하고자 할 때 세트키(set key)와 셉엎키(setup key)(130)를 동시에 누르면, 시간이 1분 단위로 증가하게 되고, 증가분이 10분이 되면 자동적으로 10분 단위 숫자가 증가하고 그 결과 60분이 되면 자동적으로 시간단위 숫자가 증가하게 되어 분단위만을 조정함으로써 시간단위를 포함한 전체 시간이 조정된다.
또한, 세트키(Sey key)(120)와 셉다운 키(Setdown key),(140)를 동시에 누르면, 상기의 방식과 같은 원리로 현재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이 1분 단위로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감소분이 10분이 되면 10분의 단위 숫자가 감소하고 60분이 되면 시간단위 숫자가 감소하여 전체시간이 조정된다.
시간예약시는 시간의 최소단위가 10분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시간 조정시와 같은 원리로 작동된다.
셀렉트 키(Select key)(150)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부하가 꺼지게 하는 예약 오프키이며, 예를 들어 상기 셀렉트 키(Select Key)(150)를 한번 누르면 부하, 예를들어 전등이 90분후에 소동이 되고, 2번 누르면 60분후에 소등이 되며, 3번 누르면 30분후에 소등이 되고 4번 누르면 시간 예약기능이 해제된다.
온/오프 키(160)는 부하, 예를들어 전등을 점등 및 소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버튼을 누르는 숫자에 따라 교대로 온 또는 오프된다.
방범키(170)는 정해진 시간에 부하를 온 시켰다가 일정시간 후 예를 들어 6시간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기능을 하는 예약 온키이며, 방범 기능이 요구되는 시간을 방범키(170)를 온시킨 상태에서 셉엎키(Setup key)(130) 또는 셉 다운키(Setdown key)(140)을 사용하여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에 방범등이 점등되고 예를들어 6시간후 자동으로 소등되게 된다. 알람키(Alarm key)(180)는 정해진 시간에 알람(Alarm)기능을 작동시키며, 알람기능이 요구되는 시간을 알람키(180)를 온시킨 상태에서 셉엎키(130) 또는 셉다운 키(140)를 사용하여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에 알람기능이 작동된다.
제3도는 본고안의 콘트롤러부(Controller)(200)의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의 온/오프 키(160), 셀렉트 키(150), 방범키(170), 알람키(180)의 조작에 상응하여 시간설정기능등을 수행하고 릴레이의 온 또는 오프 출력을 발생시킨다.
제4도는 분주기(divider)(270)의 회로도로서 평상시 시계의 시간을 진행시키는 1Hz펄스와 리셋펄스, 64Hz펄스와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 조작에 따른 신호들을 입력받아 타임클록(time clock)에서는 평상시는 60초 주기마다 1펄스를 발생시키고 시계의 시간을 조정할 때는 8Hz의 펄스를 발생시키며, 알람클럭(ararm clock)에서는 알람설정시 8Hz 펄스를 발생시킨다.
현재 시간 조정이나 예약시간 설정을 위하여 셉엎키(130) 또는 셉운키(140)를 계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처음 약 0.5초 동안은 하나의 펄스가 발생하다가 0.5초 이후에는 8Hz의 펄스를 발생시켜서 전체시간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제5도는 시계부(300)회로도로서 시계의 시간을 조정하는 경우에 분단위 키만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으면 10분단위 및 시간단위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의 세트키(120) 및 셉키(130)를 동시에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으면 분단위계수기(310)는 그 수치가 점차 상승하여 9에 도달한 후 9에서 0으로 이동할 때 1개의 펄스를 출력하고 이는 10분단위계수기(320)에 입력되어 10분단위계수기(320)의 수치가 1단위 증가된다. 10분단위 계수기(320)는 그 단위가 점차 상승하여 5에 도달한 후 5에서 0으로 이동시 1개의 펄스를 출력하고 이는 시간단위 계수기(330)로 입력되어 시간단위 계수기(330)의 수치가 1단위 증가한다. 역으로 세트키(120) 및 셉엎키(140)를 동시에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으면 분단위 계수기(310)의 수치는 점차 하강하여 0에 도달한 후 계속하여 9로 이동할 때 1개의 펄스를 출력하고 이 펄스는 10분단위 계수기(320)에 입력되어 10분단위 계수기(320)의 수치가 1단위 감소한다.
또한 10분단위 계수기(320)의 수치가 감소하여 0에 도달한 후 5로 이동할 때 1개의 펄스를 발생시켜 시간단위 계수기(330)로 입력되고 시간단위 계수기(330)의 수치가 1단위 감소한다.
제6도는 본고안의 알람부(400)의 회로도로서 상기 제5도의 시계부(300) 회로도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나 다만 제5도에서의 분단위 계수기(310)가 생략되어 있다.
즉 알람시간을 조정하기 위하여 알람키(180)를 켜고 셉엎키(130)를 계속적으로 누르는 경우는 10분단위 계수기(420)의 수치가 증가하여 5에 도달한 후 계속하여 5로부터 0으로 이동함에 따라 1개의 펄스를 출력시키고 이는 시간단위 계수기(430)로 입력이 되어 시간단위 계수기(430)의 수치가 1단위 증가하고, 셉다운키(140)를 계속적으로 누르는 경우는 10분단위 계수기(420)의수치가 감소하여 0에서 5로 이동할 때 시간단위 계수기(430)의 수치가 1단위 감소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증폭부(600) 및 릴레이부(700)의 회로도로서 증폭부(600)는 콘트롤러부(200)에서는 오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고 이는 래치 릴레이부(700)에 입력되어 릴레이 접점을 개폐시키며 이에 따라 부하(900)에 교류전원(950)이 공급 또는 차단된다.
즉 제1 증폭단(610)에서 펄스를 출력시키면, 래치 릴레이부(700)의 릴레이 접점이 단락되어 부하(900)에 교류전원(950)이 공급되며, 제2 증폭단(620)에서 펄스를 출력시키면, 래치 릴레이 접점이 개바오디어 부하(900)로의 교류전원(950)공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장점으로는 종래에 예약점등 스위치에서의 SCR이나 트라이액 대신에 래치 릴레이를 사용하므로써 밧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계의 현재 시간이나 예약시간을 조정할 때 시간의 최소단위 키 만을 조작하여 보다 큰 단위의 시간을 차례로 조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알람스위치에 예약은 기능키, 예약오프 기능키 알람키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한 용어는 예시를 위한 것 일뿐이며 본원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은 변형 개조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에서 선택된 신호가 콘트롤러부(200)로 입력되어 처리된 후 시계부(300) 또는 알람부(400)와 증폭부(600)로 입력되고, 상기 시계부(300) 또는 알람부(400)에서 처리된 신호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부(500)로 입력되어, 증폭부(60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래치릴레이부(700)의 릴레이 접저미 개폐되어 부하(900)에 교류전원(950)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 알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시계부(300)는 상기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의 셉엎키(130) 및 셉다운키(140) 중 하나의 세트키(120)를 동시에 조작하여 분단위 계수기(310)수치가 10단위 만큼 증가 또는 감소할 때 10분이 단위계수기(320)의 수치가 1단위 증가 또는 감소하고, 상기 10분 단위 계수기(320)의 수치가 6단위 만큼 증가 또는 감소하면 시간단위 계수기(330)의 수치가 1단위 증가 또는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는 부하(900)의 예약 온은 위한 방범키(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 및 시간조정부(100)는 부하(900)의 예약 오프를 위한 셀렉트키(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스위치.
KR2019940015583U 1994-06-28 1994-06-28 알람 스위치 KR0119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583U KR0119280Y1 (ko) 1994-06-28 1994-06-28 알람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583U KR0119280Y1 (ko) 1994-06-28 1994-06-28 알람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69U KR960002969U (ko) 1996-01-22
KR0119280Y1 true KR0119280Y1 (ko) 1998-07-15

Family

ID=1938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583U KR0119280Y1 (ko) 1994-06-28 1994-06-28 알람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69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1916A1 (en) Menu driven wall console with led indicators for garage door operator
JP3713064B2 (ja) 適応形バッテリー充電装置
KR100306275B1 (ko)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에서시계기능을이용한빽라이트제어방법
KR0119280Y1 (ko) 알람 스위치
KR960016640A (ko) 인체감지에 따른 실내등 점멸제어장치
KR100299760B1 (ko) 절전형대기전원제어장치및방법
KR920000751Y1 (ko) 심야 전력 공급용 타이머 장치
KR960005982B1 (ko)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장치
JPH0775180A (ja) 遠隔操作装置
KR100338055B1 (ko) 재실 감시 형광등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
KR0133449B1 (ko) 전자레인지의 절전방법
KR0178612B1 (ko) Vcr의 전원 오프시 현재시간 표시방법
KR20010038733A (ko) 전원 스위치의 원격 제어장치
JPH06148600A (ja) 液晶表示装置付電子機器
JP3025620U (ja) タイマー装置
KR200148562Y1 (ko) 냉장고 표시기능 제어장치
KR200197242Y1 (ko) 알람 시계·전등 장치
KR200279235Y1 (ko) 보안등 점등/소등 제어장치
KR0151426B1 (ko) 키폰전화기의 실내상황 표시장치
KR920007374Y1 (ko) Tv마이콤을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회로
KR950006441B1 (ko) 텔레비젼의 '온 타임'시 멜로디 발생회로
KR20000008158A (ko) 전원 자동 오프방법
KR960015629A (ko) 알람 스위치
JPH10104572A (ja) 液晶表示駆動素子及びバックライト駆動素子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20079123A (ko) 다목적 타이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