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233Y1 -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233Y1
KR0119233Y1 KR2019950043775U KR19950043775U KR0119233Y1 KR 0119233 Y1 KR0119233 Y1 KR 0119233Y1 KR 2019950043775 U KR2019950043775 U KR 2019950043775U KR 19950043775 U KR19950043775 U KR 19950043775U KR 0119233 Y1 KR0119233 Y1 KR 0119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utlet
corrugated pipe
auxiliary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750U (ko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3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233Y1/ko
Publication of KR970038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엔진룸(1) 내부에 액체 주입탱크(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주입탱크(2)의 주입구(2a)에 액체를 주입하는 보조용기(3)가 있으며, 상기 보조용기(3)와 배출구(3a)가 주름관(3b)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3a)는 캡(4)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관(3b)의 외측에 체결되어지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캡(5)으로 구성되어져, 상기 액체 보조용기(3)의 배출구(3a)내부에 접혀져 있는 주름관(3b)을 외부로 펼쳐서 저장탱크(2)의 주입구(2a)에 직접 끼워넣어진 상태로 주입시킬 수 있으므로, 주입되어지는 액체가 엔진룸(1)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이 엔진룸(1)이 청결해지고, 액체의 유입으로 인한 화학작용으로 생겨지는 변색, 탈색 및 부식등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 (A liquid container for refilling in the tank of a car)
제1도 (a)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액체류 보조 용기로 차량의 액체류 저장탱크에 액체를 충진하는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액체공급장치의 결합단면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액체공급장치의 마개를 개방하여 주름관을 전개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를 사용하여 차량에 액체를 주입하는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엔진룸 2: 액체류 저장탱크
2a: 주입구 3: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기
3a: 배출구 3b: 주름관
4: 마개 5: 캡(cap)
본 고안은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정비시 소모되는 액체류를 내부에 담아두었다가 필요시 자동차 액체류 탱크에 공급해주는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필요한 액체류에는 와셔액, 엔진오일, 냉각수 브레이크오일등이 있고 이러한 액체류는 각각 별도의 저장탱크에 담겨져 엔진룸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액체류 저장탱크는 그 용량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내부에 충진된 액체류가 전부소모되고 나면 다시 보충해주어야 한다.
그중 몇몇 액체류는 용기내에 남아 있는 잔량이 계기판에 표시되지 않는 것도 있어, 운행중 용기내의 액체류가 부족해지면 차량이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액체류를 운행중 보충해야 할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액체류를 담은 보조용기를 차량에 보관해두고 있는 데, 이러한 일반적인 보조 용기는 통상 일반적인 병타입의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보조용기로 부족한 액체류를 그 탱크안으로 주입할 때 주입안내도구 예컨대 튜브나 깔대기가 없이 곧바로 탱크에 액체류를 부어넣게 되면 액체류가 용기밖으로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탱크(12) 외부로 흘러내린 액체는 엔진룸(11)을 적시게 되어 이 엔진룸(11) 내부에 설치된 기기들을 화학작용에 의하여 변색, 탈색 및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며, 상기 흘러내린 액체로 인하여 쉽게 먼지가 내려앉아 엔진룸(11) 내부를 더럽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체류 저장탱크내에 주입할 때 액체류가 탱크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된 차량용 액체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 배출구 선단에 주름관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외측 원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캡이 나사결합식으로 덮여지되, 상기 배출구에 캡이 결합될 때 상기 주름관은 주름부가 접혀지면서 캡내측에 수용되는 상태로 되고, 캡를 배출구에서 개방하면 상기 주름관은 주름부의 탄성력으로 전개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로 액체류 저장탱크에 액체류를 보충할 때 액체류 저장탱크 주입구에 주름관 선단을 삽입하여 액체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액체류를 유실없이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기는 제1도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a) 선단에 그 측벽을 따라 주름관(3b)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선단 입구부에 마개(4)로 밀폐되게 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3a)는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이 배출구(3a)에 캡(5)이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3b)은 그 주름부가 포개어지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배출구(3a)에 캡(5)이 결합될 때 배출구(3a)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있게 된다.
또 배출구(3a)에 결합된 캡(5)을 분리시키면 그 배출구(3a) 내부에 접혀져 있던 주름관(3b)은 그 주름부가 펼쳐지면서 배출구(3a) 외부로 전개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류 저장탱크(2)에 본 고안의 보조용기로 액체류를 보충시킬 때에는 제1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을 열어 주름관(3b)을 보조용기의 배출구(3a)에서 전개시키고, 그 전개된 주름관(3b) 선단에서 마개(4)를 분리시킨 다음, 그 주름관(3b) 선단을 제1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2)의 주입구(2a)에 직접 끼워넣은 상태에서 용기를 거꾸로 치켜들면 보조용기내부의 액체류는 한방울의 유실없이 저장탱크(2a)로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용기를 차내에 보관할 때에는 주름관(3b) 선단을 마개(4)로 막고 그 주름관(3b)을 접어서 배출구(3a) 안쪽으로 밀어넣은 다음, 배출구(3a)에 캡(5)을 결합하면 주름관(3b)의 입구가 캡(5)에 의해 2중으로 밀봉되므로 용기(3) 내부의 액체류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에 의하면, 액체류 보조용기(3)의 배출구(3a) 선단에 구비된 주름관(3b)을 저장탱크(2)의 주입구(2a)에 끼워넣어서 주입하므로, 주입되어지는 액체가 엔진룸(11)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이 엔진룸(11)이 청결해지고, 액체의 유입으로 인한 화학작용으로 생겨지는 변색, 탈색 및 부식등을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출구(3a) 선단에 그 측벽을 따라 주름관(3b)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마개(4)로 밀폐되게 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3a)는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이 배출구(3a)에 캡(5)이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도록 되며, 상기 배출구(3a)에 캡(5)이 결합될 때 상기 주름관(3b)은 그 주름부가 포개어지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배출구(3a)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있는 한편, 상기 배출구(3a)에 결합된 캡(5)을 분리시키면 그 배출구(3a) 내부에 접혀져 있던 주름관(3b)은 그 주름부가 펼쳐지면서 배출구(3a) 외부로 전개되게 한 차량용 액체류 보조용기.
KR2019950043775U 1995-12-19 1995-12-19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KR0119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775U KR0119233Y1 (ko) 1995-12-19 1995-12-19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775U KR0119233Y1 (ko) 1995-12-19 1995-12-19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750U KR970038750U (ko) 1997-07-29
KR0119233Y1 true KR0119233Y1 (ko) 1998-07-15

Family

ID=1943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775U KR0119233Y1 (ko) 1995-12-19 1995-12-19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2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75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315511D1 (de) Behälter für flüssige Chemikalien und Ausgabesystem
KR970704626A (ko) 재충전가능한 디스펜서(rechargeable dispensers)
KR910009342A (ko) 허니콤 구조체를 위한 액체 코우팅 방법 및 장치
JP2003001853A (ja) インクタンクの充填のための装置
US584207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a liquid from a container
ATE150671T1 (de) Verbesserungen f]r fl]ssigkeitsbeh[lter
KR0119233Y1 (ko) 차량용 액체 공급장치
KR970706201A (ko) 재충전가능한 디스펜서(rechargeable dispensers)
US6712241B1 (en) Flexible-pouch support and dispenser containing said support
US1544922A (en) Fuel-mixing apparatus
CN200985113Y (zh) 清洗剂瓶
US20050247727A1 (en) Hand operated fluid delivery device
JPH08244891A (ja) 漏 斗
US5511592A (en) Spare bottle for an ink refilling of piston-type fountain pens or of writing implements fitted with an ink reservoir and an ink conducting system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KR19980021919U (ko) 워셔액 공급장치
JPH0446836B2 (ko)
CN216867076U (zh) 单级泵加油装置
CN211813423U (zh) 一种压力液体存储装置及压力设备
KR19980013884U (ko) 워셔액 탱크용 뚜껑
KR19980041734U (ko) 자동차 워셔탱크의 주입구
KR100498863B1 (ko) 포장체 인쇄 장치의 잉크 자동 공급장치
GB2136774A (en) A connector for use in the dispensing of liquids
KR0134075Y1 (ko) 샤시동력계의 동력조절기용 세척장비
KR0113981Y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크리닝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