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404Y1 - 신발용 쿠션 바닥창 - Google Patents

신발용 쿠션 바닥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404Y1
KR0118404Y1 KR2019950003127U KR19950003127U KR0118404Y1 KR 0118404 Y1 KR0118404 Y1 KR 0118404Y1 KR 2019950003127 U KR2019950003127 U KR 2019950003127U KR 19950003127 U KR19950003127 U KR 19950003127U KR 0118404 Y1 KR0118404 Y1 KR 0118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ground
present
cushion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090U (ko
Inventor
정찬일
Original Assignee
이용구
한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한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2019950003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404Y1/ko
Publication of KR960028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용 쿠션 바닥창에 관한 것으로, 바닥창(1) 내부에 밀폐 성형된 공간부(4)와 저면부(2)의 곡면을 따라 돌출된 반구형 돌기(3)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 완충 및 쿠션작용을 수행하고, 특히 완만한 곡선의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측면 형상에서, 앞축(A)의 둥글고 완만하게 돌설된 지면 접촉 융기부(6)가 지면을 내딛을 때 강한 탄력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쿠션 바닥창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이 신발에 적용된 사용상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저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창 2 : 저면부
3 : 반구형 돌기 4 : 공간부
5 : 격판 6 : 지면 접촉 융기부
10 : 신발 A : 앞축
본 고안은 신발용 쿠션 바닥창에 관한 것으로, 착지시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해주면서 발걸음을 내딛을 때 쿠션과 탄력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신발용 쿠션 바닥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용 쿠션 바닥창에는, 액체의 에너지 전파특성으로 인해 비탄성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성질과 유사한 겔 및 쿠션재로 잘 알려진 스폰지 또는 강철 스프링을 중창과 바닥창 사이에 삽입 해 왔다. 그러나 충격에 의한 변형이 원상태로 복귀하기도 전에 재충경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므로 충격 흡수력이 저하되고 특히 강철재 스프링의 경우, 발바닥을 국부적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불량해지고, 장기간 착용시 스프링이 중창을 뚫고 올라와서 발바닥을 찌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신발의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프링과 같은 부재는 별도로 제작하여 내장시킴에 따라 자연히 그 제조공법이 복잡하고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창 내부에 전체적인 요홈부를 형성하고 그 요홈부를 가로방향으로 잇는 격판을 일체로 설치하여 밀폐된 다수의 공간부를 갖도록 하고 밀폐된 공간부에서 보행시의 충격을 흡수완화 하도록 하였으며, 바닥창의 앞축 접지면은 앞끝과 뒷축보다 두께를 높여줌으로써 착지시 뒷축에 편중되는 충격을 발바닥 전체로 분산시키도록 유도하고 또한, 높은 두께를 가진 앞축의 지면 접촉 융기부에서 발생되는 탄력성을 이용하여 지면을 박차고 내딛는 힘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창 내부에 다수의 밀폐된 공간부가 격판들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창의 측면은 저면부에서부터 앞끝과 뒤쪽을 향해 경사진 곡면을 이루며 완만한 곡선의 역삼각형 모양을 연상케 하고, 또한 바닥창 저면부에는 저면부의 곡면을 따라 여러개의 반구형 돌기부가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및 참조부호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부(2)의 반구형 돌기(3)가 크기와 배열에 있어서 불규칙하게 돌설되어 있으며 앞축(A)을 중심으로 양끝쪽으로 다양한 크기의 반구형 돌기(3)가 형성돼 있어 바닥창(1)에 와닿는 충격을 앞축(A)으로 유도하고 바닥창 전체로 그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저면부(2)의 앞축(A)에는 현저하게 둥근 지면 접촉 융기부(6)가 나와 있어 착지시의 충격을 흡수하고 특히, 지면을 박차고 발걸음을 내딛을 때 앞축(A)의 지면 접촉 융기부(6)에서 탄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특징으로 한 구조다.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바닥창(1)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요홈부에는 횡방향의 격판(5)들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밀폐 공간부(4)가 바닥창(1)의 접지곡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두고 배열되 있어, 보행시의 충격으로부터 다수개의 반구형 돌기(3) 및 바닥창 내부의 공간부(4)에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용 쿠션 바닥창은 보행시 뒷축에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만한 곡면의 역삼각형 모양을 연상케 하는 측면형상에서 볼 때, 앞축(A)의 둥근 지면 접촉 융기부(6) 부분과 바닥면의 반구형 돌기(3) 및 바닥창 내부의 밀폐 공간부(4)에서 쿠션재의 역할을 함으로써 충격을 분산시켜주고 또한 완충작용을 하도록 된 고안이다.
특히, 본 고안의 특징적인 것은 앞축(A)의 둥근 지면 접촉 융기부(6) 부분에서 지면을 차고 발걸음을 내딛을 때 강한 탄력성이 작용하도록 형성된 것이 장점인 고안이다.

Claims (1)

  1. 내부에는 격판(5)들에 의해 공간부(4)가 연속적으로 밀폐 형성되고, 저면부(2)에 돌출된 반구형 돌기(3)가 격판(5)들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저면부(2)의 앞축(A)에는 반구형의 돌기(3) 보다 더 형성된 지면 접촉 융기부(6)가 형성되므로, 바닥창(1)이 지면 접촉 융기부(6)를 중심으로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바닥창.
KR2019950003127U 1995-02-24 1995-02-24 신발용 쿠션 바닥창 KR0118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127U KR0118404Y1 (ko) 1995-02-24 1995-02-24 신발용 쿠션 바닥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127U KR0118404Y1 (ko) 1995-02-24 1995-02-24 신발용 쿠션 바닥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90U KR960028090U (ko) 1996-09-17
KR0118404Y1 true KR0118404Y1 (ko) 1998-04-27

Family

ID=1940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127U KR0118404Y1 (ko) 1995-02-24 1995-02-24 신발용 쿠션 바닥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4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73A (ko) * 2001-10-10 2002-11-09 류정현 파형 신발창
KR101288905B1 (ko) * 2011-06-04 2013-07-23 김준희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90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041Y1 (ko) 신발창
US5005299A (en) Shock absorbing outsole for footwear
US5974695A (en) Combination midsole stabilizer and enhancer
US7441347B2 (en) Shock resistant shoe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US6598320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20030061732A1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JPH08173207A (ja) 靴用外底
EP1219193A4 (en) SPORT SHOE SOLE STRUCTURE
KR20010032794A (ko) 신발 밑창 쿠션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JPH05309001A (ja) くつ用のくつ底
KR0118404Y1 (ko) 신발용 쿠션 바닥창
KR19990069793A (ko)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KR200169388Y1 (ko) 여성용하이힐의충격흡수구조
CN113498910A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KR100578331B1 (ko) 완충용 스프링이 장착된 신발용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777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JP3479611B2 (ja) 靴底構造
CN213756884U (zh) 一种高弹性气垫运动鞋
CN215270890U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835836B1 (ko) 완충 구조가 적용된 신발창
KR102567784B1 (ko)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CN219679895U (zh) 一种减震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