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366Y1 -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366Y1
KR0118366Y1 KR2019950009472U KR19950009472U KR0118366Y1 KR 0118366 Y1 KR0118366 Y1 KR 0118366Y1 KR 2019950009472 U KR2019950009472 U KR 2019950009472U KR 19950009472 U KR19950009472 U KR 19950009472U KR 0118366 Y1 KR0118366 Y1 KR 0118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water supply
connector
r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937U (ko
Inventor
강신규
Original Assignee
강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규 filed Critical 강신규
Priority to KR2019950009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366Y1/ko
Publication of KR960035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예관수용 스프링쿨러의 설치 및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장등지에서 대단위로 재배육성되는 작물에 급수시설로부터 필요선택적으로 스프링쿨러를 설치 및 연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어 넓은 면적에 육성되는 작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재배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수시설, 예로서 급수펌프에서 급수가 필요한 곳에 지상에 간편하게 연이어 연결하고 이에 스프링쿨러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서 스프링쿨러의 연결 및 설치용이성과 신속성이 제공되어 작업성이 뛰어나고 급수가 필요한 곳에 선택적으로 적절히 연결사용할 수 있어 급수가 필요치 않은 곳에서의 물소모량을 없앨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 연결구의 분해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1 : 급수관
13 : 나사관 14 : 지지통
17 : 고정관 20 : 연결구
21 : 연결니플 22 : 커넥터
31 : 조임링 40 : 결합링
본 고안은 원예관수용 스프링쿨러의 설치 및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장 등지에서 대단위로 재배육성되는 작물에 급수시설로부터 필요선택적으로 스프링쿨러를 설치 및 연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어 넓은 면적에 육성되는 작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재배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훼, 정원수, 과수, 야채 및 그밖의 식용작물을 대단위로 재배,육성하고 있는 농장등에서는 작물생육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급수를 행하고 있는바, 이는 통상 양수기로 급수하거나 또는 급수시설로 스프링쿨러 등을 설치하여 급수를 행해오고 있는 것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급수방식에 있어 전자의 방식은 양수기를 이동하면서 일일이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작물관리에 따른 작업의 불편함이 있고, 특히 근래의 인건비 상승으로 소요경비의 부담이 있었고, 후자의 방식인 스프링쿨러에 의한 급수방식은 시설비가 많이들고 급수가 필요치 않은 곳에도 물의 소비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수시설, 예로서 급수펌프에서 급수가 필요한 곳에 지상에 간편하게 연이어 연결하고 이에 스프링쿨러를 조립하여 사용할수 있으므로 해서 스프링쿨러의 연결 및 설치용이성과 신속성이 제공되어 작업성이 뛰어나고 급수가 필요한 곳에 선택적으로 적절히 연결사용 할 수 있어 급수가 필요치 않은 곳에서의 물소모량을 없앨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고장발생율이 극소화되어 신뢰성이 확보되는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프링쿨러가 조립설치되는 받침 수단과 상기 받침수단에 연이어 급수호오스를 연결할수 있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서 급수가 필요한 개소에 상기 받침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상기 받침수단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특징적 목적을 구체화하는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스프링쿨러 (S,C)의 연결관(P)이 조립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를 상호연결하는 연결구(20)로 대별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양방에 나사부(12,12)를 형성하고 중앙, 상부에 스프링쿨러(S,C)의 나사조립을 위한 나사관(13)이 일체로 연통형성된 급수관(11)이 형성되어 함실(15,15)을 갖는 지지통(14,14)이 양측에 일체 형성되어지되, 상기 나사관(13)은 상기 급수관(11)으로 급수되는 물의 수압을 고려하여 급수관의 내경보다 작은 소공(13a)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통(14,14)은 함실(15)내부에 보강편(16)과 팩 또는 쐐기설치용 고정관(17)과 하부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18)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급수관(11)의 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는 연결니플(21)과 상기 연결니플(21)과 연결되는 커넥터(22)로 구성된다.
상기 열결니플(21)은 일측의 내부에 기밀유지용 O-링(25a)를 결합하여 나사부(23)가 형성되고 외주타측에 걸립환턱(24)이 돌출되고 O-링(25)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22)는 일측이 내관(26)과 외관(27)의 2중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관(27)은 외주에 나사부(28)가 형성되고 선단에 조임돌기(30)를 갖는 다수의 가압테이퍼 편(29)이 경사상태로 분할구성되어 상기 나사부(28)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와 상기 가압테이퍼 편(29)을 가압하는 경사환턱(33)을 내주에 구성한 조임링(31)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내관(26)의 타측에는 대향으로 걸림공(34)이 관통되어 걸림편(35,35)이 내부로 출몰가능케 일체형성되고 상기 걸림편(35,35)사이의 외주에 탄지편(36)과 가이드편(37)을 대향돌출되며 가이드홈(39)을 대향구성한 걸림환턱(38)이 선단에 일체형성되어지되, 상기 가이드홈(39)을 통하여 상기 탄지편(36)와 맞닿아 걸합되는 가압간(41)과, 상기 걸림편(35,35)을 상기 걸림공(34,34)을 통하여 내부로 가압하여 돌출시키는 가압돌기(42), 상기 가이드편(37)이 끼워 안내되는 가이드간(43)및 상기 걸림환턱(38)과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이탈방지편(44)을 대향으로 일체 형성한 결합링(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5는 연결호오스를, 46은 엔드링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5도의 사용상태도에서와 같이 농장등지에서 재배 육성되는 작물에 급수가 필요한 각 개소마다 받침대(10)를 설치하는 바, 이러한 받침대(10)는 지지통(14,14)의 함실(15,15)에 돌멩이 또는 흙등을 채우거나 고정관(17,17)을 통하여 통상의 팩, 또는 쐐기를 지면에 박아서 고정하고 급수관(11)의 양측 나사부(12,12)에 연결구(20)의 연결니플(21)을 나사부(23)로 통하여 나사조립한 상태에서 커넥터(22)의 일측에 나사결합된 조립링(31)을 어느정도 풀고 연결호스(45)를 내관(26)과 외관(27) 사이에 끼운상태에서 상기 조임링(31)을 나사회동시키게 되면 내부의 경사환턱(33)이 외관(27)을 구성하는 다수의 가압테이퍼편(29)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테이퍼편(29)의 선단에 형성된 조임돌기(30)가 연결호스(45)를 가압하여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이렇게 연결호스(45)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10)의 급수관(11)에 나사결합된 연결니플(21)에 커넥터(22)를 연결시키는 바, 이러한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결합링(40)을 후퇴시키게 되면 내부의 가압돌기(42)에 의해서 가압되어 걸림공(34)을 통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던 양방의 걸림편(35,35)이 자체 탄성으로 후퇴되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니플 (21)을 끼우고 결합링(40)을 놓게되면 탄지편(36)에 맞닿아 있는 가압간(41)에 의한 상기 탄지편(36)의 탄성력으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내부의 가압돌기(42,42)가 다시 걸림편(35,35)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걸림편(35,35)은 걸립공(34,34)을 통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니플(21)의 걸림환턱(24)에 걸린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결합링(40)을 후퇴시키지 않는한 분리가 이루어지지않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니플(21)에 결합된 O-링(25)에 의하여 커넥터(22)와 기밀이 유지된다.
이러한 순서로 작물에 급수가 필요한 장소에 적정수로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10)의 급수관(11)에 형성된 나사관(13)에 스프링쿨러(S,C)가 조립된 연결관(P)을 필요한 높이로 나사결합하여 설치를 하고 최후에 설치되는 받침대(10)의 급수관(11)의 끝단에는 통상의 엔드링(46)으로 나사결합하여 밀페시키고 최초의 연결호그(45)에는 통상의 급수시설 예로 급수펌프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급수관(11)과 연통되는 나사관(13)을 소공(13a)으로 형성하여 다수개로 연이어 설치하더라도 급수펌프로 가압공급되는 물이 거의 동일한 수압으로 스프링쿨러(S,C)에 의한 분사가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쿨러의 설치가 필요한 곳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이어 설치가 제공되고 필요치 않을 때는 신속한 분해가 제공되어 막대한 시설비를 들여서 스프링쿨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경제적인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한 것이다.

Claims (3)

  1. 스프링쿨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쿨러가 입설조립되는 받침대(10)와, 이를 상호연결하는 연결구(20)로 대별되어지되, 상기 받침대(10)는 중앙상부에 나사관(13)이 일체로 연통형성된 급수관(11)이 형성되어 함실(15,15)를 갖는 지지통(14,14)이 양측에 일체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20)는 연결니플(21)과 이와 연결되는 커넥터(22)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니플(21)은 일측에 걸림환턱(24)이 돌출되고 0-링(25)이 결합되어 타측으로 상기 급수관(11)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커넥터(22)는 일측이 내관(26)과 외관(27)의 이중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관(27)은 다수의 가압 테이퍼편(29)이 분할구성되어 이를 가압하는 경사환턱(33)을 내주에 구성한 조임링(31)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내관(26)의 타측에는 대향으로 걸림공(34)이 관통되어 걸림편(35,35)이 내부로 출몰가능케 일체형성되고 이들사이에 탄지편(36)과 가이드편(37)이 대향돌출되며 가이드홈(39)을 대향구성한 걸림환턱(38)이 선단에 일체형성되되, 상기 탄지편(36,36)과 맞닿아 결합되는 가압간(41)과, 상기 걸림편(35,35)을 가압하는 가압돌기(42)와, 상기 가이드편(37)이 끼워안내되는 가이드간(43)및 상기 걸림환턱(38)과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이탈방지편(44)을 대향으로 일체형성한 결합링(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를 구성하는 급수관(11)의 나사관(13)는 급수수압을 고려하여 상기 급수관의 내경보다 작은 소공(13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통(14,14)은 함실(15,15)내부에 보강편(16)과 팩 또는 쐐기 설치용 고정관(17,17)과, 하부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다수의 고정돌치(18)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KR2019950009472U 1995-05-04 1995-05-04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KR0118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472U KR0118366Y1 (ko) 1995-05-04 1995-05-04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472U KR0118366Y1 (ko) 1995-05-04 1995-05-04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937U KR960035937U (ko) 1996-12-16
KR0118366Y1 true KR0118366Y1 (ko) 1998-04-27

Family

ID=1941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472U KR0118366Y1 (ko) 1995-05-04 1995-05-04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3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937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4268A (e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tie
US5172515A (en) Irrigation system and portable watering system therefor
US5158231A (en) Mini-sprinkler stake assembly and mini-sprinkler unit and deflector therefore
KR0118366Y1 (ko) 스프링쿨러 설치/연결장치
KR102153316B1 (ko)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
KR102026680B1 (ko)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NO138680B (no) Anordning for stoette og opphengning av vekster
US5099602A (en) Tree freeze protection and irrigation system
EP0598676A1 (en) Drip irrigation emitter and water tap useful therein
KR013166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US5617999A (en) Connector member assembly for use with sprinkler system
KR200282125Y1 (ko) 농업용 급수관 분기구
AU684468B2 (e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tie
KR0140630Y1 (ko) 가요성 호스용 클램프 부재
KR0122822Y1 (ko) 농업용수 분기용밸브
KR200188526Y1 (ko) 농업용 분기관연결구
KR100408975B1 (ko) 급수관 분기구
CN220359816U (zh) 一种园林绿化用树木保护支架
KR200293174Y1 (ko) 스프링클러 설치 받침대
KR102445590B1 (ko) 호스 꺾임 방지 및 재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꺾임 조절유닛을 구비한 농업용 점적호스밸브
CN213214667U (zh) 一种绿化养护用滴灌结构
KR200156700Y1 (ko) 농업용 밸브
KR200286592Y1 (ko) 스프링쿨러의 호스 연결구조
KR20190038695A (ko) 관수용 호스 장력 제어모듈
KR200368066Y1 (ko) 농업용 분기호스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