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969Y1 -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969Y1
KR0117969Y1 KR2019950044737U KR19950044737U KR0117969Y1 KR 0117969 Y1 KR0117969 Y1 KR 0117969Y1 KR 2019950044737 U KR2019950044737 U KR 2019950044737U KR 19950044737 U KR19950044737 U KR 19950044737U KR 0117969 Y1 KR0117969 Y1 KR 0117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tch
inner end
tube
outer en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801U (ko
Inventor
임기남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969Y1/ko
Publication of KR970032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8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5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with arrangement for sealing the devi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or for concealing gaps between the device and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단의 직경이 외측단의 직경보다 큰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단과 외측단에는 각각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쪽으로 일정한 길이범위에 결쳐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소정지점이 윗쪽으로 절곡된 형태의 방진관이 구비되고, 상기 방진관의 내측단과 외측단상의 플랜지부와 대응되는 조향측의 외주면과 레서스위치의 내측단상에는 각각 장착공과 체결리브가 형성된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진관의 외측단 내주면 선단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위치결정리브가 중심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진관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레버스위치상의 체결리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위치 결정리브가 끼워지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의 조향축일측 외주면과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스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조향축상에 결합된 지지간을 외측에서 감싸주어 그 결합부위에 먼지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스위치의 조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진관의 외측단이 상기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
제1도는 자동차의 스터어링휠의 조향축상부에 레버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티어링휠 12 : 조향축
14 : 레버스위치 16 : 지지간
32,32' : 플랜지부 34 : 주름부
36 : 방진관 38 : 장착공
40 : 협지리브 42 : 위치결정리브
44 : 위치결정홈
본 고안의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의 조향축일측 외주면과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스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조향축상에 결합된 지지간을 외측에서 감싸주어 그 결합부위에 먼지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관의 외측단이 상기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0)의 조향축(12)상부 일측에는 주행중인 상태에서 후속차량에 차선변경신호를 보내는 좌우측 방향지시등과 포그램프와 전조등 및 상향 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레버스위치(1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레버스위치(14)에서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 등의 점등제어는 상기 레버스위치(14)의 하단으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조향축(12)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간(16)이 상기 조향축(12)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그램프나 상향등의 점등제어는 상기레버스위치(14)의 지지간(16)상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해당 스위치조작노브(18)가 그 지지간(16)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레버스위치(14)의 설치구조에서 레버스위치(14)의 내측단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간(16)과 상기 조향축(12)의 결합부위가 노출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등 이물질이나 에어컨가동시 실내로 토출되는 바림에 함유된 습기등이 상기 지지간(16)과 조향측(12)상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틈새에 유입되어 상기 레버스위치(14)의 작동불량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티어링휠의 조향측 외주면과 레버스위치의 내측단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스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조항축상에 결합된 지지간을 외측에서 감싸주어 그 결합부위에 먼지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스위치의 조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진관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진관에서는 그 외주면 소정 위치에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주름부가 형성되고, 그 주름부의 소정 지점이 윗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레버스위치와 결합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나, 종래의 방진관에서는 이와 같은 위치결정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정착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의 조향축일측 외주면과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스위치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조향축상에 결합된 지지간을 외측에서 감싸주어 그 결합부위에 먼지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스위치의 조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진관의 외측단이 상기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단의 직겅이 외측단의 직경보다 큰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단의 외측단에는 각각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쪽으로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소정 지점이 윗쪽으로 절곡된 형태의 방진관이 구비되고, 상기 방진관의 내측단과 외측단상의 플랜지부와 대응되는 조향축의 외주면과 레버스위치의 내측단상에는 각각 장착공과 체결리브가 형성된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지관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진관의 외측단 내부면 선단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위치결정리브가 중심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진관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레버스위치상의 체결리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위치결정리브가 끼워지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본 고안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30)은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단의 직경이 외측단의 직경보다 큰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단과 외측단에는 각각 플랜지부(32)(32')가 형성되며,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쪽으로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주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34)의 소정 지점이 윗쪽으로 절곡된형태의 방진관(36)이 구비되며, 상기 방진관의 내측단과 외측단상의 플랜지부(32)(32')와 대응되는 조향축(12)의 외주면과 레버스위치(14)의 내측단상에는 각각 장착공(38)과 체결리브(40)가 형성된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진관(36)의 외측단 내주면 선단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위치결정리브(42)가 중심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진관(36)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레버스위치(14)상의 체결리브(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위치결정리브(42)가 끼워지는 위치결정홈(4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결합관계 및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레버스위치(14)의 내측단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간(16)을 상기 방진관(36)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방진관(36)의 내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2)를 상기 조향축(12)상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장착공(38)에 끼워 결합하면 상기 방진관(36)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2)와 상기 장착공(38)의 가장자리 내측에 걸리게 되면서 그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방진관(36)의 외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2')의 내측으로 상기 레버스위치(14)의 내측단상의 체결리브(40)를 삽입하면되는 데, 이때 상기 체결리브(40)상에 형성된 위치결정홈(44)에 상기 외측단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 돌설되는 위치결정리브(42)를 맞추어 끼우면, 방진관(36)이 정확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레버스위치(14)를 이용하여 좌우측 깜빡이등을 점등조작하고자 상기 레버스위치(14)를 상기 조향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방진관(36)상의 주름부(34)의 작용에 의하여 회동조작상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조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상기 레버스위치상의 체결리브에 상기 방진관의 외측단을 서로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리브와 위치결정홈의 상호 맞춤작용에 의하여 그 정확한 체결상태가 유지되므로 장착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단의 직경이 외측단의 직경보다 큰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단과 외측단에는 각각 플랜지부(32)(32')가 형성되며,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쪽으로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주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34)의 소정 지점이 윗쪽으로 절곡된형태의 방진관(36)이 구비되고, 상기 방진관의 내측단과 외측단상의 플랜지부(32)(32')와 대응되는 조향축(12)의 외주면과 레버스위치(14)의 내측단상에는 각각 장착공(38)과 체결리브(40)가 형성된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진관(36)의 외측단 내주면 선단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위치결정리브(42)가 중심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진관(36)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레버스위치(14)상의 체결리브(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위치결정리브(42)가 끼워지는 위치결정흠(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
KR2019950044737U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KR0117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737U KR0117969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737U KR0117969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01U KR970032801U (ko) 1997-07-26
KR0117969Y1 true KR0117969Y1 (ko) 1998-04-23

Family

ID=1943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737U KR0117969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9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01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386B2 (en) Wiper pivot and vehicle wiper device having the same
JPS58110336A (ja) スイツチボツクスの取付構造
KR0117969Y1 (ko)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치관장착구조
US5802924A (en) Shroud for a vehicle steering column
US5129687A (en) Swivelling conduit, in particular for the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passenger space of a motor vehicle
JPH1150845A (ja) 電動ファンを支持して、その電動ファンを車のラジエータに固定するための構造物
KR0138417B1 (ko)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
JPS6246744A (ja) ワイパ−モ−タ
US6454450B1 (en) Vehicular lamp
JP200429954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リンク駆動機構
ES1051820U (es) Faro para vehiculos.
KR0162724B1 (ko) 전조등 브래킷
KR100423054B1 (ko) 다기능 스위치의 턴 시그널 자동 취소장치
JPH0533401Y2 (ko)
KR100372456B1 (ko) 자동차의 컴비네이션 레버스위치 취부구조
KR0182214B1 (ko) 헤드 램프 구조
JPH0236190Y2 (ko)
RU2201358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ки фары
JPS6132869Y2 (ko)
KR200151624Y1 (ko) 램프하우징의 물유입방지 구조
KR100337510B1 (ko)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의 체인지 레버 조립체
KR0151502B1 (ko) 자동차의 와이퍼 작동레버 설치구조
KR0138418B1 (ko) 자동차용 레버스위치의 손잡이 장착구조
KR19980036571U (ko) 자동차공조케이스의 인카센서부착장치
JPS62424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