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926Y1 -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926Y1
KR0117926Y1 KR2019940020979U KR19940020979U KR0117926Y1 KR 0117926 Y1 KR0117926 Y1 KR 0117926Y1 KR 2019940020979 U KR2019940020979 U KR 2019940020979U KR 19940020979 U KR19940020979 U KR 19940020979U KR 0117926 Y1 KR0117926 Y1 KR 011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lay contact
output device
contact protection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157U (ko
Inventor
류석주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40020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926Y1/ko
Publication of KR960009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고체저항결집체소자(41)와 캐패시터(42)가 직렬로 연결된 후 컴파운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봉지재(43)로 몰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되어 방전현상을 제어함에 따라, 릴레이 접점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릴레이 보호장치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가 내장된 릴레이 출력장치의 사용 상태도,
제 3 도는 종래의 릴레이 접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릴레이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도,
제 4 도는 (a),(b)는 종래의 릴레이 접점 보호회로에 사용되는 저항소자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레이 출력장치11 : 릴레이
12 : 스위칭부13 : 릴레이 접점 보호회로
20 : 유도성부하30 : 노이즈흡수기
40 :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41 : 고체저항결집체소자
42 : 캐패시터43 : 봉지재
50 : 저항선51 : 절연체
60 : 저항체61 : 홈
본 고안은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릴레이 출력장치에 의해 유도성부하가 온/오프될 때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전압으로부터 릴레이 접점을 보호하는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접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릴레이 접점 보호회로가 내장된 릴레이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도는 제 3 도와 같이 도시할 수 있는 바, 인덕턴스(L) 및 스위치(SW)로 구성되어 인덕턴스(L)에 직류전원(DC)이 인가/차단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SW)가 온/오프되는 릴레이(11)와,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릴레이구동신호(RS)가 입력되면 온되어 상기 릴레이(11)의 인덕턴스(L)에 직류전원(DC)을 인가시키는 스위칭부(12) 및, 저항(R) 및 캐패시터(C)로 구성되어 순간적인 고전압으로부터 릴레이 접점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릴레이(11)와 병렬을 이루는 릴레이 접점 보호회로(13)로 구성되는 릴레이 출력장치(10)의 일단에 유도성부하(20)를 연결하여 상기 릴레이 출력장치(10)의 릴레이(11)가 온됐을 경우 유도성부하(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유도성부하(20)가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릴레이 출력장치(10)가 모터, 솔레노이드, 전자개폐기 등의 유도성부하(20)를 온/오프할 때에 유도성부하(20) 양단에 순간적으로 고전압(수십V 내지 수십KV)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파크킬러(Spark Killer)와 같은 노이즈흡수기(30 : Noise Absorber)를 유도성부하(20) 양단에 설치하여 상기 고전압을 1차로 흡수하고 릴레이 접점 보호회로(13)를 통해 2차로 흡수하여 순간적인 고전압으로 부터 릴레이(11)의 접점을 보호하였다.
그러나, 순간적인 고전압을 흡수하는 상기 노이즈흡수기(30)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두지 않거나, 불량일 경우에는 노이즈성 고전압이 직접 릴레이 출력장치(10)로 입력되어 릴레이 접점 보호회로(13)로 인가됨에 따라 제 4 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형의 저항이 사용되었을 경우, 절연체(50) 외주면에 감긴 저항선(51)간의 전위차에 의해 인접한 저항선(51)사이에 방전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제 4 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이 가공된 피막저항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저항체(60)에 형성된 홈(61)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저항체(60)간의 전위차에 의해 방전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방전현상이 장기간 계속되면 저항이 손상되어 릴레이 접점을 보호하는 기능이 소멸됨에 따라 릴레이 접점이 손상되어 릴레이 출력장치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본 고안은 유도성부하가 온/오프될 때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전압에 의해 릴레이접점 보호회로의 저항에서 발생되는 방전현상을 제거한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접점 보호장치는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고체저항결집체소자와 캐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후 몰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고체저항결집체소자(41)와 캐패시터(42)가 직렬로 연결된 후 컴파운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봉지재(43)로 몰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고체저항결집체소자(41)와 캐패시터(42)가 직렬로 연결되어 양단에 순간적인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 이 전압은 캐패시터(42)에 충전됨에 따라 본 고안과 병렬로 연결되는 릴레이 접점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릴레이 접점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가 내재된 릴레이 출력장치가 모터, 솔레노이드, 전자개폐기 등의 유도성부하를 온/오프할 때는 유도성부하 양단에 발생하는 순간적인 고전압이 직접 상기 고체저항결집체소자(41)로 인가되더라도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아니라,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가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되어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를 사용한 릴레이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인덕턴스(L) 및 스위치(SW)로 구성되어 인덕턴스(L)에 직류전원(DC)이 인가/차단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SW)가 온/오프되는 릴레이(11)와,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릴레이구동신호(RS)가 입력되면 온되어 상기 릴레이(11)의 인덕턴스(L)에 직류전원(DC)을 인가시키는 스위칭부(12) 및,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고체저항결집체소자(41)와 캐패시터(42)가 직렬로 연결된 후 컴파운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봉지재(43)로 몰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된 본 고안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40)로 구성되는 릴레이 출력장치(10)의 일단에 유도성부하(20)를 연결하여 상기 릴레이(11)가 온됐을 경우 유도성부하(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유도성부하가 동작한다.
이때, 본 고안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40)는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릴레이 출력장치(10)가 모터, 솔레노이드 전자개폐기 등의 유도성부하(20)를 온/오프할 때에 유도성부하(20) 양단에 발생하는 순간적인 고전압(수십V 내지 수십KV)을 1차로 흡수하기 위해 스파크킬러(Spark Killer)와 같이 노이즈흡수기(30 : Noise Absorber)를 유도성부하(20) 양단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고체저항결집체소자가 손상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방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고체저항결집체소자와 캐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후 컴파운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봉지재로 몰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된 릴레이접점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릴레이 출력장치가 유도성부하를 온/오프할 때에 유도성부하 양단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고전압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노이즈흡수기를 유도성부하 양단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릴레이 보호장치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체저항 결집체소자로 이루어진 저항소자(41)와, 캐패시터(42)가 직렬로 연결된 후 컴파운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봉지재(43)로 몰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된 후, 이 패키지가 릴레이 접점(SW)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접점(SW)을 보호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KR2019940020979U 1994-08-19 1994-08-19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KR011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979U KR0117926Y1 (ko) 1994-08-19 1994-08-19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979U KR0117926Y1 (ko) 1994-08-19 1994-08-19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157U KR960009157U (ko) 1996-03-16
KR0117926Y1 true KR0117926Y1 (ko) 1998-06-01

Family

ID=1939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979U KR0117926Y1 (ko) 1994-08-19 1994-08-19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9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157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1822A (en) Soft turn-on power
JPS61254021A (ja) 電源ラインフイルタ
US46708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tection of converter equipment with GTO thyristors against short circuit
US3372285A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s
KR0117926Y1 (ko) 릴레이 출력장치의 릴레이 접점 보호장치
EP0373713B1 (en) Semiconductor circuit having an excess voltage protection circuit
KR20190093554A (ko) 과전압 보호기
GB2315374A (en) Control apparatus for an AC generator on a vehicle
JP2002175124A (ja) 車両用電源回路
US3431466A (en) Arc-suppressing circuit for switching devices in alternating current circuit
JPH02271077A (ja) 内燃機関の誘導的放電点火装置
KR870001386Y1 (ko) 서어지 전류 방지회로
JPH0249682Y2 (ko)
JPH10107605A (ja) トランジスタの過電流保護回路
JPH08116663A (ja)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用スナバ回路
JPH0130847Y2 (ko)
KR970001861Y1 (ko) 부하 보호장치
JP4498736B2 (ja) 電気回路保護システム
KR100398824B1 (ko) 피뢰기 장치
KR0129938Y1 (ko) 소자열화에 의한 단락방지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
KR200326451Y1 (ko) 누전차단기용 에스엠티 적용 회로 기판
JPS6145345Y2 (ko)
KR930002747B1 (ko) 역상 검출회로
KR200366992Y1 (ko) 무정전 배전공법에서의 써지전압 방지장치
JPH0352011A (ja) 関連した制御回路を持つ電力装置を含む集積回路の電源を横切った負の過電圧に対する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