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18Y1 -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18Y1
KR0117618Y1 KR2019940033693U KR19940033693U KR0117618Y1 KR 0117618 Y1 KR0117618 Y1 KR 0117618Y1 KR 2019940033693 U KR2019940033693 U KR 2019940033693U KR 19940033693 U KR19940033693 U KR 19940033693U KR 0117618 Y1 KR0117618 Y1 KR 0117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electricity
paper
cassette
paper fe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026U (ko
Inventor
최삼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3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18Y1/ko
Publication of KR960026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0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1.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카세트를 사용하는 프린터나 팩스밀리, 그리고 복사기등의 사무자동화 기기에서 정전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시스템 다운이나 기능이상등을 줄이기 위한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정전기를 제어하여 기기에 주는 악영향을 줄이는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카세트의 정전기를 본체에 접지시켜 주며, 전기의 도체이며 자기방전하는 정전기 제어패드를 급지카세트와 그라운드 스프링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급지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카세트의 본체를 연결하며, 자기방전하며 전기의 도체인 정전기 제어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기기가 오동작되거나 기기가 다운되는 것등을 줄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급지카세트 12:용지받침판
14:철판 16:스프링
18: 정전기 제어패드 20: 그라운드 스프링
22:나사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카세트(cassete)를 사용하는 프린터나 팩스밀리, 그리고 복사기등의 사무자동화 기기에서 정전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시스템 다운이나 기능이상등을 줄이기 위한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카세트를 사용하는 사무자동화 기기는 용지의 상호 마찰에 의한 정전기와, 용지의 포장시 용지 자체가 가지고 있던 정전기와, 그리고 카세트를 착탈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하여 기기가 다운되거나 일시 기능이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전기를 제어하여 기기에 주는 악영향을 줄이는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카세트에 발생된 정전기를 본체와 연결시키며, 전기의 도체이며 자기방전하는 정전기 제어패드를 급지카세트와 그라운드 스프링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어패드(18)를 급지카세트(10)와 그라운드 스프링(20) 사이에 설치한 것을 보여준 사시도를 제1도에 도시하였으며 그 단면도를 제2도에 도시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 장치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급지카세트(10)와, 용지의 받치고 있는 용지받침판(12)와, 용지받침판(12)을 도시하지 않은 급지롤러 측으로 밀러올리는데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과, 전기의 도체이며 자기방전하는 정전기 제어패드(18)와, 그리고 한쪽은 나사(22)로 기기본체(24)에 고정되었고 다른 쪽은 정전기제어패드에 접촉되어진 그라운드 스프링(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급지카세트(10)는 상면이 개구된 직사각통체이다. 또한 상기 급지카세트(10)에서 정전기 제어패드(18)가 부착되는 부분과 바닥부분은 전기의 도체인 철판(14)으로 되어졌다.
상술한 바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급지카세트(10)의 내부바닥면의 한쪽에는 스프링(16)이 설치되었으며, 용지받침판(12)의 한쪽은 급지카세트(10)의 내부바닥면에 다른 쪽은 스프링(16)에 접촉되게 설치되었다. 급지카세트(10)의 철판(14)에는 정전기 제어 패드가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었다. 정전기 제어패드(18)에는 그라운드 스프링(20)의 한쪽이 접촉되었으며, 그라운드 스프링(20)의 다른 쪽은 나사(22)에 의해 기기본체(24)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라운드 스프링(20)은 접지(earth) 되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급지카세트(10)의 정전기 제어장치는 용지가 가지고 있는 정전기와, 용지간의 상호 마찰에 의해 발생된 정전기, 또는 급지카세트(10)를 착탈할 때 발생된 정전기는 급지카세트(10)의 용지 받침판과 스프링(16), 급지카세트(10)의 바닥부분과 측면의 철판(14)을 거쳐서 정전기 제어패드(18)에 도달한다. 정전기제어패드에 도달된 정전기의 일부는 공기중으로 방전되며, 나머지 정전기는 그라운드 스프링(20)에 의해 접지된 곳으로 흐른다.
이상에서 설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급지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카세트와 본체가 접지되어 있고, 자기방전하며 전기의 도체인 정전기 제어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기기가 오동작되거나 기기가 다운되는 것등을 줄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린터나, 팩스밀리, 그리고 복사기등의 사무자동화 기기에서 정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급지카세트(10)와, 바닥부분과 한쪽면이 전기의 도체인 철판(14)으로 구성된 상기 급지카세트(10)와, 용지를 받치고 있는 용지받침판(12)과, 용지받침판(12)을 급지롤러 측으로 밀어올리는데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과, 전기의 도체이며 자기방전하는 정전기 제어패드(18)와, 그리고 한쪽은 나사(22)로 기기본체(24)에 고정되었고 다른 쪽은 정전기제어패드에 접촉되어진 그라운드 스프링(20)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급지카세트(10)의 내부바닥면의 한쪽에는 스프링(16)이 설치되었으며, 용지받침판(12)의 한쪽은 급지카세트(10)의 내부바닥면에 다른 쪽은 스프링(16)에 접촉되게 설치되었고, 급지카세트(10)의 철판(14)에는 정전기 제어 패드가 부착되었으며, 정전기 제어패드(18)에는 그라운드 스프링(20)의 한쪽이 접촉되었으며, 그라운드 스프링(20)의 다른 쪽은 나사(22)에 의해 기기본체(24)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라운드 스프링(20)은 접지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제어패드(18)는 상기 철판(14)에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KR2019940033693U 1994-12-12 1994-12-12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KR0117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693U KR0117618Y1 (ko) 1994-12-12 1994-12-12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693U KR0117618Y1 (ko) 1994-12-12 1994-12-12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26U KR960026026U (ko) 1996-07-22
KR0117618Y1 true KR0117618Y1 (ko) 1998-05-15

Family

ID=194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693U KR0117618Y1 (ko) 1994-12-12 1994-12-12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26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112B1 (ko)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기기에 사용되는 카세트
JPS6360910B2 (ko)
US4042939A (en) Printer/plotter style system for confined installation and method
KR0117618Y1 (ko) 급지 카세트의 정전기 제어장치
KR20010049770A (ko) 급지 장치
CA2078868A1 (en) Electrostatic roller transfer of toned images from a photoconductor member to a sheet substrate
EP0674241B1 (en) Detection system for a roll media feed apparatus
EP087235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920003492B1 (ko) 복사기용 급지 카세트장치
JP3200945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23794Y2 (ja) 電子写真装置
JP3640639B2 (ja) シート材の供給装置
US6411794B1 (en) Dischar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47233B2 (ja) 紙粉除去装置
KR940001488B1 (ko) 복사기용 대전 와이어 셔터장치
JP2002274684A (ja) 原稿搬送装置
JPH0125954Y2 (ko)
KR100426086B1 (ko) 사무용기기의 마찰패드를 갖는 용지분리장치
JPS62182735A (ja) 自動原稿搬送装置付電子複写機
KR920008466B1 (ko) 카세트의 용지 장착장치
JPH081247Y2 (ja) 折りたたみ記録紙送り装置
JPH05116422A (ja) 印字装置
JPH0153790B2 (ko)
KR100500247B1 (ko)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920000560Y1 (ko) 복사기의 용지 중첩급지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