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574Y1 -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 Google Patents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574Y1
KR0117574Y1 KR92015147U KR920015147U KR0117574Y1 KR 0117574 Y1 KR0117574 Y1 KR 0117574Y1 KR 92015147 U KR92015147 U KR 92015147U KR 920015147 U KR920015147 U KR 920015147U KR 0117574 Y1 KR0117574 Y1 KR 0117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blocking body
fix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616U (ko
Inventor
이국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92015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574Y1/ko
Publication of KR940006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5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에 관한 것을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는 측면에 보수의 고정공과 하단에 복수의 고정편을 형성하는 차단본체와, 차단본체의 하단 고정편이 끼워지는 복수의 장공이 뚫린 인쇄회로기판과, 차단본체의 상단내면과 인쇄회로기판의 장공으로 끼워지면서 차단본체의 고정공에 걸림되는 엠보싱 돌기를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편이 마련된 상하부 덮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부품실장효과의 조립성이 향상된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제1도는 종래의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셀룰라폰의 고주파수 차폐용 실드케이스의 조립상태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차단본체21':돌기 고정공
22:고정편23:상부덮개
23a:걸림편23b:안내편
23c:고정편23d:엠보싱돌기
24:하부덮개25:콘트롤 인쇄회로 기판
본 고안은 주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고주파(High-Frequency)로 인한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하는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Shild cas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부품실장효과와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1)과 덮개(3)로 구분된다.
밑판(1)은 사각형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둘레로 탄성을 가진 다수의 돌출부(2)가 대략 수직방향으로 전개되며 그 끝부분이 외측으로 굽혀져 있다. 또한 상측 중앙부와 하측 양쪽에 고정공(1b)을 형성한 고정돌기(1a)가 형성되어 있다. 밑판(1)의 일측에 마련된 관통공(3)은 추후에 설명될 핀 콘넥터가 끼워지는 곳이다.
덮개(4)는 하측이 개구된 상자모양이며 그 외측 폭과 길이가 밑판(1)의 내측 폭과 길이보다 약간 크거나 같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드케이스에 내장되는 고주파 인쇄회로기판(5)은 고주파가 발생되는 전기적으로 불리한 특성을 지닌 부품들이 조립되는 것으로서 밑판(1)의 내측에 안착되도록 사각 평판상측에 밑판(1)의 고정돌기(1a) 및 고정공(1b)에 일치되도록 상측에 고정공(5b)을 형성한 고정돌기(5a)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실드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본체에 형성된 보스(11)에 키패드 인쇄회로기판(7:key pad PCB)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8)을 고정하여 그 사이에는 핀 콘넥터(9:pin connector)가 끼워져 회로가 연결되게 하였다.
이 상태에서 밑판(1)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현출된 핀 콘넥터(9)의 다수의 핀(10)을 관통공(3)에 통과시키며 각 보스(11)에 고정돌기(1a)를 재치시킨다.
그 다음에, 고주파를 발생하는 부품을 조립시킨 고주파 인쇄회로기판(5)을 밑판(1)의 내측에 안착시킨다. 이때, 마련된 고정볼트(12)로 각각의 고정공(1b,5b)을 통하여 밑판(1)과 고주파 인쇄회로기판(5)을 함께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하면 핀 콘넥터(9)에 의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7)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8)과 고주파 인쇄회로기판(5)은 서로 단절됨 없이 제어될 수 있도록 회로가 연결된다.
끝으로, 덮개(4)를 밑판(1)의 돌출부(2) 내측으로 덮는 형식으로 끼운다. 그러면 덮개(4)의 단부가 고주파 인쇄회로기판(5)의 상.하측 단부 사이로 진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가상선으로 도시한 고주파 발생부품(13)이 회로기판(5)과 함께 밑판(1)과 덮개(4)로 구성된 실드케이스 내에 내장되게 된다.
그러므로 부품(13)이 발생하는 고주파를 차단하여 다른 기판(7,8)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양호한 상태로 출력을 얻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실드케이스는 밑판과 덮개의 공간에 부품의 조립된 고주파 인쇄회로기판을 실장하므로 부품이 차지하는 면적 및 높이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조립시에는, 밑판의 돌출부 내면으로 덮개의 단면부를 끼우는 작업과 핀콘넥터의 핀에 고주파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볼트가 필요하므로 조립공정이 길어져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고주파 발생 부품이 차지하는 부품실장효과를 증대하며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주파수 발생부품을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소정부위에 집결 조립하며 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 조립된 고주파발생부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차단본체와 상.하덮개판을 구비한 실드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실드케이스가 차지하는 높이가 축소되고 조립되는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되어 부품실장효율이 증대되며 간단히 조립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술한 특성을 구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본체(21)와 상부덮개판(23)과 하부덮개판(24)으로 구성된다.
차단 본체(21)는 바람직하기로는 절연체로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상자모양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차단본체(21)의 좌우양측 벽면에 2줄로 각각 6개의 돌기 고정공(21')을 천설하였다. 이러한 각 돌기 고정공(21')은 행 과열이 수직.수평으로 배열하였다.
또한 차단본체(21)의 밑면 모서리에는 각각 고정편(22)을 하방으로 형성하였다.
상부덮개(23)는 바람직하기로는 차단본체(21)의 내면크기로 사각형상의 평판으로서 네모서리의 좌우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된 4개의 걸림편(23a)을 형성하여 상부덮개(23)의 상단과 하단에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게 절곡형성한 2개씩의 안내편(23b)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양측 하단면에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고정편(23c)이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편(23c)의 3구역으로 나뉘어진 돌출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된 엠보싱돌기(23d)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하부덮개(24)는 4개의 걸림편(24)는 4개의 걸림편(24a)과 상하측에 2개씩의 좌우측에 3개씩의 엠보싱돌기(24d)를 마련한 고정편(24d)을 형성하며 상부덮개(23)와 마찬가지로 그 형상과 크기가 일치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드케이스를 조립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5)에는 고주파 발생 부품(27)이 조립되는 소정영역에 대하여 차단본체(21)의 고정편(22)이 바깥쪽으로 끼워지고 하부덮개(24)의 안내편(24b)이 안쪽으로 맞대어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측에 각각 2개씩의 고정공(26)을 천설하며 좌우양측에는 하부덮개(24)의 고정편(24c)이 끼워질 수 있도록 3개씩의 고정공(26)을 더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5)에 차단본체(21) 및 하부덮개(24)의 고정수단을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차단본체(21)의 내측 둘레부위에 총 10개의 고정공(26)을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차단 본체(21)의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하며 양측 상하로 3개씩의 돌기고정공(21')을 총 12개로 형성하였으나 고주파발생 부품(27)이 차지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돌기고정공(21')의 갯수도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차단본체(21)의 형성 및 돌기 고정공(21')의 갯수에 따라 이에 부합되도록 상부덮개(23) 및 하부덮개(24)의 형상으로 변형함이 당연하다.
이하, 차단본체와 상.하부덮개를 구비한 본 고안의 셀룰라폰의 고주파차폐용 실드케이스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 조립되는 과정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4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발생부품(27)이 조립된 고주파수 발생부위에 형성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5)의 상하측의 고정공(26)에 차단본체(21)의 고정편(22)을 삽입시킨다. 이때 삽입된 각각의 고정편(22)의 단부와 차단본체(21)의 외측으로 맞닿는 기판(25)의 저면을 납땜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차단본체(21)의 상면에 상부덮개(23)를 고정시키기 위하여서는 좌우 상하측의 고정편(23b) 및 안내편(23c)이 차단본체(21)의 내면에 맞닿아 끼워지면서 상부덮개(23)의 엠보싱 돌기(23d)가 차단본체(21)의 상측 돌기 고정공(21')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한다. 이때 네모서리부의 걸림편(23a)은 차단본체(21)의 상면에 걸려 안착된다.
그리고 하부덮개(24)를 상부덮개(23)와 마찬가지로 기판(25)의 저면으로부터 기판(25)에 형성한 고정공(26)을 통하여 각 안내편(24b) 및 고정편(24c)를 삽입시켜 엠보싱 돌기(24d)를 차단본체(21)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 고정공(21')에 끼워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범으로 조립이 끝나면 제4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고주파발생부품(27)들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5)에 조립된 상태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28)과도 차단이 된다. 그러므로 고주파 발생으로 인한 해로운 요인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실드케이스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특정힌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여러가지 설계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고주파 발생부품이 부착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밀폐시키는 셀룰라폰의 차폐용 실드케이스에 있어서, 측면에 복수의 고정공(21')과 하단에 복수의 고정편(22)을 형성한 차단본체(21)와, 상기 차단본체(21)의 하단 고정편(22)이 끼워지는 복수의 장공(26)이 뚫린 인쇄회로기판(25)과, 상기 차단본체(21)의 상단내면과 인쇄회로기판(25)의 장공(26)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차단본체(21)의 고정공(21')에 걸림고정되는 엠보싱돌기(23d,24d)를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편(23c,24c)이 마련된 상하부 덮개(23,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KR92015147U 1992-08-12 1992-08-12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KR0117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147U KR0117574Y1 (ko) 1992-08-12 1992-08-12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147U KR0117574Y1 (ko) 1992-08-12 1992-08-12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616U KR940006616U (ko) 1994-03-25
KR0117574Y1 true KR0117574Y1 (ko) 1998-07-01

Family

ID=1933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147U KR0117574Y1 (ko) 1992-08-12 1992-08-12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5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616U (ko) 199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607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shielding member
US4697044A (en) Casing for electronic devices
US6238241B1 (e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552261B2 (en) Push-fit shield
JP3377965B2 (ja)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KR20010061996A (ko) 열 확산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4948923A (en) Bottom cover installation structure of a shield case
JP4348725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US5876247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1157523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454580B1 (en) Guide rail for receiving a GBIC module
US6511345B1 (en) Guide rail assembly for receiving optoelectronic modules
US5398169A (en) Microelectronic package comprising metal housing grounded to board edge
US6231382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stand off
KR0117574Y1 (ko) 셀룰라폰의 고주파 차폐용 실드케이스
KR100585938B1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US20030157837A1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2020205211A (ja) 集合型防水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RU2000115173A (ru) Кожух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или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3534476B2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シールドケース
US3746933A (en) Housing assembly for contacts
US6301125B1 (en) Unit with shield
JP2001197628A (ja) 電気接続箱
JP2809211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