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710Y1 - 스포트 킬러 회로 - Google Patents

스포트 킬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710Y1
KR0116710Y1 KR2019940025943U KR19940025943U KR0116710Y1 KR 0116710 Y1 KR0116710 Y1 KR 0116710Y1 KR 2019940025943 U KR2019940025943 U KR 2019940025943U KR 19940025943 U KR19940025943 U KR 19940025943U KR 0116710 Y1 KR0116710 Y1 KR 0116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rt
circuit
spot killer
f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858U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5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710Y1/ko
Priority to US08/536,188 priority patent/US5677730A/en
Publication of KR960012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6Modifications of scanning arrangements to improve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4Blank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모니터나 TV에서 편향 회로의 동작만을 정지시킬 때 발생하는 스포트를 제거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가 개시되는바, 이는 입력 전압을 충전하고 입력 전압이 차단되면 방전에 의해 마이너스 고전압을 브라운관의 제 1 그리드에 제공하여 스포트를 제거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에 있어서, 고압을 발생하는 FBT에 별도의 권선을 추가하고 상기 권선이 추가된 FBT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스포트 킬러 회로의 전압으로 사용함으로써, 주전원에 관계없이 편향 회로 및 고압 발생회로가 동작을 정지한 경우에 항상 CRT의 캐소드에 컷/오프전압을 제공하여 CRT의 노광면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불어 DPMS 기능이 구비된 모니터의 회로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스포트 킬러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스포트 킬러 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의 블록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평편향부 200 : 고압 발생 출력부
300 : 수평 편향 출력부 400 : 정류부
50 : 스포트 킬러부 FBT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C1∼C4 : 콘덴서 R1∼R4 : 저항
D1∼D4 : 다이오드 VR1 : 가변 저항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이 고안은 스포트 킬러(Spot Killer)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관리(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 이하, DPMS라 칭함)기능이 있는 모니터나 텔레비젼(이하, TV라 칭함)에서 편향 회로의 동작만을 정지시킬 때 발생하는 스포트를 제거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수상기나 모니터등 브라운관(이하, CRT라 칭함)을 사용하는 제품에 있어서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할 경우 수평 및 수직 편향 회로는 전원이 오프되는 즉시 편향 동작이 중단되지만 CRT에 충전된 고압은 방전 루프가 없어 서서히 전압이 떨어진다. 또한, CRT에 내장된 열전자 방출을 위한 히터도 서서히 식게 되므로 CRT 내에서의 열전자 방출은 히터가 식어가는 동안 서서히 감소한다. 이때, CRT에 충전된 고압도 서서히 방전을 하게 되어 히터에서 방출되는 열전자를 CRT의 앞으로 끌어당기게 되나 수직, 수평 편향회로는 동작을 멈춘 상태이므로 히터에서 방출된 열전자는 그대로 CRT의 앞면으로 끌리게 된다. 따라서, 화면에 밝은 하나의 점으로 발광하게 되어 CRT의 노광면을 태워버리게 되는데 이를 스포트라고 하며 이를 방지하는 회로를 스포트 킬러 회로라고 한다. 제1도는 이러한 종래의 스포트 킬러 회로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보면, 전원 입력부(10)를 통해 전원(Vin)이 입력되면 1차측 정류부(20)의 아이오드(DO)와 콘덴서(CO)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수 스위칭부(30)의 트랜스(T1)의 1차측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30)의 스위치용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에 의해 트랜스(T1)의 1차측 전압은 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된 후 2차측 정류부(30)의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에 의해 평활된다. 여기서, 상기 2차측 정류부(40)에서 정류 및 평활된 전압은 약 +150V이다. 한편, 스포트 킬러부(50)의 콘덴서(C2)는 전원이 정상 동작상태일 때 상기 2차측 정류부(40)의 출력 전압을 충전하고 있으므로 다이오드(D3)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CRT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이때에는, 고압을 발생하는 플라이백 트린스포머(Flyback Tryansfomer ; 이하 FBT라 칭함)로부터 -28V라인을 생성시켜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시킨 후 가변 저항(VR1)에 의해 가변시키면서 동전압을 CRT의 제 1 그리드(G1)에 인가하여 CRT의 브라이트를 제어한다. 한편, 주전원(Vin)이 오프되면 상기 스포트 킬러부(50)의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이 역방향으로 급격히 방전되면서 다이오드(D3)가 온이 되므로 콘덴서(C2)의; 방전 전압(예, -150V)이 저항(R1)을 통해 CRT의 제 1그리드(G1)에 인가되어 CRT를 컷/오프시킨다.
따라서, CRT의 정면을 때리는 전자 비임이 발광하지 못하게 되어 CRT가 타게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된 제1도 및 제2도는 주전원이 오프되지 않고 회로의 편향 동작만이 멈추게 될 때에는 즉, 기기의 주전원이나 편향회로의 고장, 또는 DPMS모드가 수행되어 의도적으로 편향 회로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는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은 주전원이 온상태에 있으므로 방전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CRT에 컷/오프전압을 제공할 수 없게 되므로 CRT의 정면에 도달한 열전자는 그대로 CRT를 노광시키게 되어 CRT의 노광면이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편향 FBT에 별도의 권선을 추가하여 스포트 킬러회로의 전압으로 사용함으로써, 주전원에 관계없이 고압을 발생하는 고압 발생 회로가 동작을 정지할 경우에는 항상 CRT에 컷/오프전압을 제공하게 되어 CRT의 노광면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 스포트킬러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의 특징은, 입력 전압을 충전하고 입력 전압이 차단되면 방전에 의해 마이너스 고전압을 브라운관의 제 1 그리드에 제공하여 스포를 제거하는 킬러 회로에 있어서, 고압을 발생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3차측에 별도의 전압 발생 단자를 포함하는 권선을 추가하고 상기 전압 발생 단자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을 상기 스포트 킬러 회로의 입력 전압으로 사용하는데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의 블록되이다. 제3도의 스포트 킬러 회로는 FBT를 이용하여 고압을 발생하는 고압 발생 출력부(200), 고압 발생 출력부(200)의 고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부(400), 정류부(400)에서 정류 및 평활된 고압을 충방전하는 스포트 킬러부(50)로 구성되며 스포트 킬러부(50)의 출력과 CRT의 제 1그리드(G1)는 연결된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4도를 보면, 고압을 발생하는 FBT의 3차측에 별도의 권선을 추가하고 별도의 전압 발생 단자(a)를 권선이 추가된 상기 FBT를 만든 후, 권선이 추가된 상기 FBT의 전압 발생 단자(a)에 2차측 정류부(400)를 연결하였다. 이때, 상기 정류부(400)는 바이어스용 저항(R4)과 정류용 다이오드(D1) 및 평활용 콘덴서(C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400)에 연결되는 스포트 킬러부(50)는 정류부(400)의 출력 전압을 충방전하는 콘덴서(C2)와 충전시 온되는 다이오드(D2)와 충전시 오프되고 방전시 온되는 다이오드(D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FBT에는 -28V라인을 생선시키고, 상기 생성된 -28V라인에는 발생된 -28V를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가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의 접점에는 가변저항(VR1)이 연결되며 상기 가변 저항(VR1)을 가변시킴에 의해 -28V를 가변시켜 스포트 킬러부(50)가 동작하지 않을 시 동 전압을 저항(R1,R2)을 통해 CRT의 제 1그리드(G1)에 공급하여 CRT의 브라이트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에서 FBT의 전압 발생 단자(a)에서 발생하는 고압(예; +200V)은 정류부(400)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후 스포트 킬러부(50)의 콘덴서(C2)에 충전된다.
이때, 스포트 킬러부(50)의 콘덴서(C2)가 정류부(400)의 출력 전압(예; +200V)을 충전하고 있으므로 다이오드(D3)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CRT에는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이때에는, 고압을 발생하는 FBT로부터 -28V라인을 생성시켜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시킨후 가변저항(VR1)에 의해 가변시키면서 동전압을 CRT의 제 1그리드(G1)에 인가하여 CRT의 브라이트를 제어한다. 한편, 기기의 주전원이 오프되면 수평 편향부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FBT에서 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편향 회로의 고장, 또는 DPMS 모드가 수행되어 의도적으로 편향회로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도 FBT는 고압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압 발생 출력부(200)에서는 고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상기과 같은 이유 등에 의해 FBT에서 고압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스포트 킬러부(50)의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이 역방향으로 급격히 방전되면서 다이오드(D3)가 온이 되므로 콘덴서(C2)의 방전 전압(예, -200V)이 저항(R1)을 통해 CRT의 제 1그리드(G1)에 인가되어 CRT를 컷/오프시킨다. 따라서, CRT의 정면을 때리는 전자 비임이 발광하지 못하게 되어 CRT가 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에 의하면, 편향 FBT에 별도의 권선을 추가하고 상기 권선이 추가된 FBT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스포트 킬러 회로의 전압으로 사용함으로써, 주전원에 관계없이 편향 회로 및 고압 발생 회로가 동작을 정지한 경우에 항상 CRT의 캐소드에 컷/오프 전압을 제공하여 CRT의 노광면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불어 DPMS 기능이 구비된 모니터의 회로 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전압을 충전하고 입력 전압이 차단되면 방전에 의해 마니너스 고전압을 브라운관의 제 1 그리드에 제공하여 스포트를 제거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에 있어서, 고압을 발생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3차측에 별도의 전압 발생 단자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을 상기 스포트 킬러 회로의 입력 전압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
KR2019940025943U 1994-09-30 1994-09-30 스포트 킬러 회로 KR0116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43U KR0116710Y1 (ko) 1994-09-30 1994-09-30 스포트 킬러 회로
US08/536,188 US5677730A (en) 1994-09-30 1995-09-29 Spot elimination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43U KR0116710Y1 (ko) 1994-09-30 1994-09-30 스포트 킬러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58U KR960012858U (ko) 1996-04-17
KR0116710Y1 true KR0116710Y1 (ko) 1998-04-23

Family

ID=1939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943U KR0116710Y1 (ko) 1994-09-30 1994-09-30 스포트 킬러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77730A (ko)
KR (1) KR01167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899B1 (ko) * 1996-12-30 2001-04-16 윤종용 스포트제거회로
US5828190A (en) * 1997-05-15 1998-10-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G1 High frequency drive for color cathode ray tubes
US6847404B1 (en) 1998-09-29 2005-01-25 Thomson Licensing S.A. Video display protection circuit
EP1118209B8 (en) * 1998-09-29 2005-11-09 Thomson Licensing Video display protection circuit
US6211908B1 (en) * 1999-05-27 2001-04-03 Thomson Multimedia Licensing S.A. Television apparatus with supplementary kinescope blanking and spot burn protection circuitry
JP2001223916A (ja) * 2000-02-08 2001-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ポットキラー回路、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ブラウン管表示システム
US6891564B2 (en) * 2001-12-05 2005-05-10 Sony Corporation Cutoff control with on screen display circuit for adjusting white balance
JP2003283863A (ja) * 2002-03-20 2003-10-03 Orion Denki Kk 陰極線管表示装置のスポットキラー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5445A (en) * 1967-08-18 1970-10-20 Motorola Inc Cathode ray tube protection circuit
US4340910A (en) * 1979-09-24 1982-07-20 Gte Sylvania Incorporated CRT Spot suppression circuit
JPH0771193B2 (ja) * 1990-04-20 1995-07-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ポットキラー回路
US5036257A (en) * 1990-04-30 1991-07-3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jection TV deflection loss protection circuit
US5184225A (en) * 1991-07-03 1993-02-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A. Television receiver with spot burn protection and after-glow sup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58U (ko) 1996-04-17
US5677730A (en) 1997-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5742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responsive to excessive beam current and high voltage
KR0116710Y1 (ko) 스포트 킬러 회로
US4723167A (en) Turn-off circuit for projection television CRT
JPS639790B2 (ko)
KR100226686B1 (ko) Crt 보호 장치
EP1255402A1 (en) Power-supplying device for an electron gun
US51306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cathode efficiency in a cathode ray tube
US6137245A (en) Circuit for generating control grid voltage for cathode ray tube
US5671016A (en) High voltage discharge circuit for CRT
KR100226687B1 (ko) Crt보호장치
KR100377224B1 (ko) Cdt전자총의 전원공급회로 및 전원공급방법
KR200165107Y1 (ko) 스포트 킬러 회로
KR100195753B1 (ko) Crt 보호 장치
KR19990007328U (ko) 모니터의 엑스레이 보호회로
KR0139549Y1 (ko) 엑스선 보호회로
KR200165529Y1 (ko) 씨알티의 포커스 회로
KR0151605B1 (ko)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KR930001704Y1 (ko) Crt 보호회로
KR100326561B1 (ko) 텔레비젼의 자동 소자회로
KR930002314Y1 (ko) 스포트 제거 회로
KR19990028797U (ko) 모니터의 crt 보호 장치
KR19990027224U (ko) 모니터의 고전압 상승 표시회로
KR20000011149U (ko)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뮤트회로
KR20000010090A (ko) 모니터의 음극선관 보호회로
KR19990027213U (ko) Crt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