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605B1 -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 Google Patents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605B1
KR0151605B1 KR1019940040262A KR19940040262A KR0151605B1 KR 0151605 B1 KR0151605 B1 KR 0151605B1 KR 1019940040262 A KR1019940040262 A KR 1019940040262A KR 19940040262 A KR19940040262 A KR 19940040262A KR 0151605 B1 KR0151605 B1 KR 015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rt
microprocessor
brightnes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328A (ko
Inventor
윤성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4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605B1/ko
Publication of KR96002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9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beam current of cathode ray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5Audio, video, tv, consumer electronics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동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동기 모니터의 모드 변환시 가변되는 브라운관의 그리드 전압을 뮤트시킴으로써, 모니터의 화면에 나타나는 백 래스터(Back Raster)를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수평출력 트랜지스터가 동작을 함으로써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톱니파를 발생시키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나오는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출력된 전압을 분배함으로써 브라운관(CRT)의 그리드로 입력시키는 음전압 발생수단과,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른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음전압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브라운관(CRT)의 그리드 전압을 가변시켜 휘도를 제어하는 휘도 제어수단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모드 전환시 상기 휘도 제어수단의 출력 전압을 뮤트시키는 뮤트 회로수단으로 구성한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 회로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 회로
제1도는 종래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가변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전압 발생수단 11 : 신호 발생부
12 : 정류 및 평활부 13 : 전압 분배부
20 : 마이크로 프로세서 30 : 휘도 제어수단
31 : 직류레벨 설정부 32 : 평활부
33 : 휘도 제어부 40 : 뮤트 회로수단
FBT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CRT : 브라운관
SG1 : 방전 캡 VR1 ; 가변 저항
OP1 : 연산 증폭기 Q1-Q3 : 트랜지스터
R1-R17 : 저항 C1-C4 : 콘덴서
본 발명은 멀티 동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동기 모니터의 모드 변환시 가변되는 브라운관의 그리드 전압을 낮춤으로써 화면에 나타나는 백 래스터(Back Raster)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가변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와 댐퍼 다이오드(D1)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칭함)가 동작하여 수평 편향 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인가시킴으로써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부(1)와; 그 신호 발생부(1)로부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정류하고 평활시키는 정류 및 평활부(2) 및 ; 그 정류 및 평활부(2)에서 평활되어 출력된 전압을 분배하여 브라운관(Cathode-Ray Tube 이하 CRT라 칭함)의 그리드(G1)로 입력시키는 전압 분배부(3)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SG1)은 브라운관(CRT)의 애노드(Anode) 전압이 약 25[㎸]정도이므로, 이 애노드 전압의 방전시 방전에 의해 브라운관(CRT)의 캐소우드에 신호 전압을 가하는 색차(Video) 증폭기가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 방전 전압을 그라운드로 바이패스(By Pass) 시키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와 어스 사이에 사용되는 소용량의 방전용 갭(Spark Gap 이하 SG라 칭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는 브라운관(CRT)에 있어서 전자를 방출시키는 전극인 R, G, B 음극(Cathode)과 모두 동일하게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R 캐소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가변 회로는, 신호 입력부(1)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가 구동됨으로써, 이차측 제1코일(L2)을 통해 유기되는 음(-)의 펄스전압이 정류 및 평활부(2)의 보호 저항(R1)을 통해 다이오드(D2)에서 음(-)전압으로 정류된 후 콘덴서(C2)에 의해 음(-)전압으로 평활되어 전압 분배부(3)로 출력된다.
상기 정류 및 평활부(2)을 통해 음(-)전압으로 평활된 전압은, 전압 분배부(3)의 가변 저항(VR1) 및 저항(R2)에 의해 분배되어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브라운관(CRT)의 R, G, B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 즉, 래스터 (Raster)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 전압이 (-)측으로 갈수록 화면이 어두워지고, 반대로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 전압이 (+)측으로 갈수록 화면이 밝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가변 회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휘도 제어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모두가 변환될 경우, 백 래스터가 화면에 나타남으로써 모드 변환에 따라 래스터가 출렁거리게 되어, 모니터의 화면상에 백래스터가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멀티 동기 모니터의 모드 변환시 가변되는 그리드전압을 뮤트시킴으로써, 모니터의 화면에 나타나는 백 래스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출력 TR이 ON하므로써 톱니파 전류가 발생하여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시키고 FBT2차에서 나오는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출력된 전압을 분배함으로써 브라운관(CRT)의 그리드로 출력시키는 음전압 발생수단과,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른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음전압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브라운관(CRT)의 그리드 전압을 가변시켜 휘도를 제어하는 휘도 제어수단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모드 전환시 상기 휘도 제어수단의 출력전압을 뮤트시키는 뮤트 회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 회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가 턴-온 됨으로써 톱니파 전류가 발생하여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시키고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2차측에서 나오는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출력된 전압을 분배함으로써 브라운관(CRT)의 그리드로 출력시키는 음전압 발생수단(10)과;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른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상기 음전압 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브라운관(CRT)의 그리드 전압을 가변시켜 휘도를 제어하는 휘도 제어수단(30)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모드 변환시 상기 휘도 제어수단(30)의 출력전압을 뮤트시키는 뮤트회로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음전압 발생수단(10)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와 댐퍼 다이오드(D1) 및 귀선(Retrace)용 콘덴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수평 편향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인가시킴으로써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부(11)와; 그 신호 발생부(11)로부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정류하고 평활시키는 정류 및 평활부(12); 그 정류 및 평활부(12)에서 평활되어 출력된 전압을 분배하여 브라운관(CRT)의 그리드로 입력시키는 전압 분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휘도 제어수단(30)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직류 레벨을 결정하는 직류레벨 설정부(31)와; 상기 직류레벨 설정부(31)에서 결정된 직류 레벨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RC 시정수에 의해 적분하여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부(32) 및; 상기 평활부(32)에서 저주파 노이즈가 제거된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로 출력시킴으로써 브라운관(CRT)의 밝기를 가변시키는 휘도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전압 발생수단(10)은 신호 발생부(11)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가 구동됨으로써, 이차측 코일(L2, L3, L4)에 2차 유기전압 펄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이차측 제1코일(L2)에서 얻는 펄스는 다른 코일(L1, L3, L4)과 코일을 반대로 감아서 음(-)의 펄스가 출력되고, 상기 이차측 제1코일(L2)에서 출력된 음(-)의 펄스는 정류 및 평활부(12)의 보호 저항(R1)을 통해 다이오드(D2)에서 음(-)의 전압이 정류된 후, 콘덴서(C2)에 의해 직류로 평활되어 전압 분배부(13)로 출력된다.
상기 정류 및 평활부(12)를 통해 직류로 평활된 음(-)의 전압은, 전압 분배부(13)의 가변 저항(VR1) 및 저항(R2)에 의해 분배되어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브라운관(CRT)의 R, G, B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 즉, 래스터(Raster)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 전압은 음(-)의 전압 측으로 갈수록 화면이 어두워지고, 반대로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 전압이 양(+)의 전압 측으로 갈수록 화면이 밝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은 휘도 제어수단(30)을 이용하여 양(+)의 전압을 입력시킴으로써, 입력된 양(+)의 전압만큼 음(-)의 전압이 상쇄되도록 하여 브라운관(CRT)의 밝기를 조절한 것이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0)의 휘도 제어단자(P1)에서 펄스 폭변조(Plu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 이라 칭함) 신호파형이 저항(R3)을 통해 휘도 제어수단(30)의 직류레벨 설정부(31)로 출력되면, 직류레벨 설정부(31)는 풀-업(Pull-Up) 저항(R4) 및 풀-다운(Pull-Down) 저항(R5)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B+)의 직류레벨이 결정되고, 고주파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3)를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후, 평활부(32)의 저항(R6) 및 콘덴서(C4)의 시정수에 의해 적분되어 직류(DC)로 평활된다.
상기 평활부(32)를 통해 직류로 평활된 전압은, 휘도 제어부(33)의 보호저항(R7)을 통해 연산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에는 저항(R10)을 통해 기준전압이 입력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OP1)에서 비교 연산에 의해 반전 증폭된 전압을 출력시킨다.
즉, 상기 연산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직류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낮은 전압이 출력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보호용 저항(R15)을 통해 전원전압(B+)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산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상승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직류전압으로 낮은 전압이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위보다 낮아지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턴-온 동작에 의해 입력된 전압(B+)이 저항(R12)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로 양(+)의 입력전압(B+)을 출력하게 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를 턴-온 동작에 의해 출력된 양(+)의 입력전압(B+)은 저항(R14)을 통하여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로 입력됨으로써, 상기 그리드(G1)에 입력된 양(+)의 전압만큼 음(-)의 전압이 상승되어 즉, 양(+)의 전압측에 가깝게 입력되어 화면의 밝기가 밝아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브라운관(CRT)의 휘도를 가변 시킴에 있어서, 모드 변환시에도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 전압은 계속해서 입력이 됨으로써, 화면상에 래스터가 보이게 되므로, 모드 변환시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의 뮤트 단자(P2)에서 직류전압을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보호용 저항(R16)을 통해 뮤트 회로수단(40)으로 출력시키고, 뮤트 회로수단(40)은 저항(R16)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턴-온 동작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0[V]로 감압됨으로써, 상기 브라운관(CRT)의 그리드(G1) 전압이 음(-)의 전압측으로 감압되도록 하여 화면상에 래스터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 동기 모니터에서 모드 변환시 가변되는 브라운관의 그리드 전압을 뮤트시킴으로써 모니터 화면의 백 래스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구매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신호발생부(11)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1차측에 연결하고, 2차측은 정류 및 평활부(12)와 전압분배부(13)를 거쳐 브라운관(CRT)의 그리드에 연결되는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가변회로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른 펄스폭 변조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휘도제어단자(P1)에 연결되며 직류레벨 설정부(31)와, 평활부(32) 및 연산증폭기(OP1)와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상기 평활부(32)의 출력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CRT의 그리드(G1)로 출력시킴으로써 CRT의 밝기를 가변시키는 휘도제어부(33)로 구성된 휘도 제어수단(30)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의 뮤트단자(P2)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은 저항(R11)을 거쳐 상기 휘도제어부(33)의 트랜지스터(Q2)에 연결하므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의 모드변환시 휘도 제어부(33)의 출력전압을 뮤트시키도록 구성된 뮤트회로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동기 모니터의 휘도뮤트회로.
KR1019940040262A 1994-12-31 1994-12-31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KR015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262A KR0151605B1 (ko) 1994-12-31 1994-12-31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262A KR0151605B1 (ko) 1994-12-31 1994-12-31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28A KR960028328A (ko) 1996-07-22
KR0151605B1 true KR0151605B1 (ko) 1998-10-15

Family

ID=1940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262A KR0151605B1 (ko) 1994-12-31 1994-12-31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6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28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5742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responsive to excessive beam current and high voltage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5184225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pot burn protection and after-glow suppression
CA2040253C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US4985665A (en) Black level tracking for multiple frequency apparatus
US4525739A (en)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regulation responding to beam current changes
US5428272A (en) Voltage regulator for CRT electrode supply
US5994852A (en) Wide band high voltage stabilizing circuit
KR0151605B1 (ko) 멀티동기 모니터의 휘도 뮤트회로
US5677730A (en) Spot elimination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US5463290A (en)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with separate AC/DC negative feedback paths
KR100669952B1 (ko) 영상 표시 장치용 고전압 전원
EP0384293B1 (en) Audio loading modulated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6137245A (en) Circuit for generating control grid voltage for cathode ray tube
US4766390A (en) CRT filament supply for multiple frequency video apparatus
KR1002180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US4651063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KR100226690B1 (ko) 귀선 소거 회로
JP3201476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EP0092954B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KR0173267B1 (ko) 모니터의 휘도 조정회로
JPS6138671B2 (ko)
KR200239038Y1 (ko) 고압상승방지회로
KR100186631B1 (ko) 전원구동형 영상왜곡보정회로
KR0142764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다중 모드시 고압 안정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