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457Y1 -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457Y1
KR0116457Y1 KR2019950004988U KR19950004988U KR0116457Y1 KR 0116457 Y1 KR0116457 Y1 KR 0116457Y1 KR 2019950004988 U KR2019950004988 U KR 2019950004988U KR 19950004988 U KR19950004988 U KR 19950004988U KR 0116457 Y1 KR0116457 Y1 KR 0116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vehicle
regulator
thef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170U (ko
Inventor
정월용
Original Assignee
정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월용 filed Critical 정월용
Priority to KR2019950004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457Y1/ko
Publication of KR960031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카-오디오의 비사용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 대신 도난 방지기를 삽입하여 차량의 도난행위에 따른 충격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하여 도난을 방지하고자,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스위치(SW)에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되어 일정 전압을 출력, 공급하는 레귤레이터(12)와, 상기 레귤레이터(12)에 접속되어 차체에 일정 충격발생시 진동하는 쇼크 센서(13) 및 쇼크 센서(13)의 진동에 의해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쇼크 트리거(14)와, 상기 레귤레이터(12) 및 쇼크 트리거(14)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고 전원 ON시 일정시간 이후에 쇼크 트리거(14)로부터 펄스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5)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5)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의 펄스전류를 증폭하는 증폭부(16)와, 상기 증폭부(16)로부터 증폭된 펄프전류를 피에조(17)와의 매칭코일을 통해 증폭하는 출력 트랜스(18)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5)에 연결되어 발광 다이오드(LED1)(LED2)를 각기 일정 주기로 일정 시간동안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발광 다이오드 콘트롤러(19)와, 상기의 각부를 포함하고 카-오디오에 삽입되는 카세트(20) 및 카세트(20)와 일체로 된 본체(21)를 포함하는 도난방지기(22)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점화장치 및 시동장치, 도어 로킹장치, 엔진 시스템 등에 부가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아닌 독립적인 구성으로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충격 및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피에조 및 발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경고음향 및 경고빛을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이 안출되어 왔고, 이러한 자동차의 도난방지 시스템은 주로 점화장치 및 키 스위치 등과 같은 시동장치, 도어로킹장치, 엔진 시스템 등에 부가적으로 장치하여 소정의 도난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도난방지 시스템들은, 그 도난방지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각 부품들을 분해, 조립하여 이들에 도난방지 장치를 연결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도난방지 장치의 고장율이 빈번히 발생되는 분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타 부분을 고장을 함께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동차의 점화장치 및 시동장치, 도어 로킹장치, 엔진 시스템 등에 부가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외부의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하여 자체 반응되어 경고음향 및 경고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침입자의 탈취심리를 최대한 억제하므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공급부 11 : 배터리
12 : 레귤레이터 13 : 쇼크 센서
14 : 쇼크 트리거 17 : 피에조
18 : 출력 트랜스 19 :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
20 : 카세트 21 : 본체
22 : 도난 방지기 LED1,LED2 : 발광 다이오드
VR : 가변저항 SW :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는, 자동차의 무단 탈취시 외부로 음향 및 빛을 발산하여 방범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며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스위치의 온 접촉에 의한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일정한 전압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충격 및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감지하여 전동되는 쇼크 센서와, 상기 쇼크 센서의 전동을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로 전환하는 쇼크 트리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전압을 공급 받으며 상기 쇼크 트리거를 통하여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펄스전류를 출럭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펄스전류를 최대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의하여 증폭된 펄스전류를 매칭코일을 통해 재 증폭시키는 출력 트랜스와, 상기 출력 트랜스를 통하여 최대 증폭된 펄스전류를 경고음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파하는 피에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일정주기 및 일정 시간의 구동신로를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의 구동신호에 연동되어 일정 주기 및 일정 시간동안 경고빛으로 점멸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쇼크 센서는,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출격 및 흔들림에 의하여 진동되는 반응감고를 둔하고 예민하게 각각 조절하는 가변저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제2도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9V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 및 상기 배터리(1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SW)로 구성된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스위치(SW)의 온(ON) 접촉에 의한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9V 전원을 3.5V의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는 레귤레이터(12)와, 상기 레귤레이터(12)의 일정한 전압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충격 및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감지하여 진동되는 쇼크 센서(13)와, 상기 쇼크 센서(13)의 진동을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로 전환하는 쇼크 트리거(14)와, 상기 레귤레이터(12)의 일정한 전압을 공급 받으며 상기 쇼크 트리거(14)를 통하여 일정한 주기의 펄수신호를 입력받게 될 경우 펄스전류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5)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5)로부터 출력된 펄스전류를 최대 증폭시키는 증폭부(16)와, 상기 증폭부(6)에 의하여 증폭된 펄스전류를 매칭코일을 통해 재 증폭시키는 출력 트랜스(18)와, 상기 출력 트랜스(18)를 통하여 최대 증폭된 펄스전류를 경고 음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파하는 피에조(17)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5)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주기(대략 0.1초 또는 0.2초) 및 일정 시간(대략 30초)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19)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19)의 구동신호에 연동되어 대략 0.1초의 주기 및 대략 30초의 시간동안 경고빛으로 점멸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LED1)(LED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쇼크 센서(30)는,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하여 진동되는 반응감도를 둔하게 하거나 예민하게 조절하는 가변저항(VR)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및 흔들림은, 자동차를 강제로 탈취하기 위하여 유리창을 깨거나 도어록(door lock)을 강제 해제할 경우 발생되는 충격 및 흔들림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츨격 및 흔들림에 의한 상기 쇼크 센서(13)의 반응감도는 상기 가변저항(VR)의 조절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의 구성을 이루는 상기 전원 공급부(10) 및 레귤레이터(12), 쇼크 센서(13), 쇼크 트리거(14), 마이크로 콘크롤러(15), 증폭부(16), 출력 트랜스(18), 피에조(17), 발광다이오드(LED1)(LED2),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19)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카-오디오의 로딩부(카세트 테이프가 삽입되는 공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대략 장방향의 카세트(20) 및 본체(21)에 내장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도난 방지기(22)의 실시예적인 외형을 이루기도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략 장방형의 카세트(20) 및 본체(21)로 구조된 도난 방지기(22)를 카-오디오의 로딩부에 삽입시키거나, 기타 자동차의 충격 및 흔들림에 반응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시킨 후, 전원 공급부(10)의 스위치(SW)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도난 방지기(22)에는 전원이 인가되면서 도난방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자동차의 침입자가 도어를 물리적으로 유리창을 파괴하거나 도어를 개폐하게 되면, 자동차에는 불균일한 충격 및 흔들림은 레귤레이터(12)로부터 3.5V의 전압을 공급 받고 있는 쇼크 센서(13)에 의하여 감지되어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쇼크 센서(13)의 진동은 쇼크 트리거(14)에 의하여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로 전환되어 마이크로 콘트롤러(15)에 공급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쇼크 센서(13)는 그 구성을 이루는 가변저항(VR)의 조정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하여 반응감도를 둔하게 하거나 예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도어 록을 해제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키(KEY) 삽입을 했을 때 발생되는 미세한 흔들림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에는 반응되지 않도록 하는 대신, 유리창을 파괴하거나 물리적으로 상기 도어 록을 해제하기 위한 충격, 그리고 외부의 부딪침에 의한 충격에는 탈취현상이라고 간주하여 즉각 반응되도록 상기 가변저항(VR)을 조절하여 쇼크 센터(13)의 반응감도가 능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부딪침에 의한 충격 역시 탈취현상이라고 간주하되 즉각 반응되도록 하는 기능은, 운전자의 부재중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차량 및 접촉 외부의 충격)에 의한 자동차의 파손현상을 부재중인 운전자에게 직접 알려줄 수 있는 작용을 하므로써 뺑소니 및 불의의 사고에 의한 자동차의 파손현상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쇼크 트리거(14)에 의하여 전환된 펄스신호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5)에 인가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15)는 펄스전류를 후단의 증폭부(16) 및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19)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5)로부터 출력된 일부의 펄스전류는 상기 증폭부(16)에서 일차 증폭된 출력 트랜스(18)를 통하여 재 증폭되어 피에조(17)를 거쳐 경고음향으로 변환되어 외부로 전파되고,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5)의 다른 일부의 펄스전류는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19)를 통하여 일정 주기(대략 0,1토 또는 0.2초) 및 일정시간(대략 30초)의 구동신호로 변환되어 발광다이오드(LED1)(LED2)를 0.1초 또는 0.2초의 주기와 대략 30초 동안 경고빛으로 점멸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고음향 및 경고빛은 결국 침입자의 무단 탈취심리를 억제시킴과 동시에 주변의 주민들에게 관심을 유발시켜 도난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에 의하면, 자동차의 점화장치 및 키 스위치 등과 같은 시동장치, 도어 로킹장치, 엔진 시스템 등에 부가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외부의 층격 및 흔들림에 의하여 자체 반응되어 경고음향 및 경고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쇼크 센서 및 피에조, 발광다이오드 등과 같은 독립된 구조로 구성하므로써, 그 결합 및 분리를 특별히 조치하지 않고서도 독립적으로 소정의 방범기능을 수행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즉,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충격 및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피에조 및 발광다이오드로 하여금 경고음향 및 경고빛을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침입자의 탈취심리를 최대한 억제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무단 탈취시 외부로 음향 및 빛을 발산하여 방범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며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스위치의 온 접촉에 의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일정한 전압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충격 및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감지하여 진동되는 쇼크 센서와, 상기 쇼크 센서의 진동을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로 전환하는 쇼크 트리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전압을 공급 받으며 상기 쇼크 트리거를 통하여 일정한 주기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펄스전류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펄스전류를 최대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의하여 증폭된 펄스전류를 매칭코일을 통해 증폭시키는 출력 트랜스와, 상기 출력 트랜스를 통하여 최대 증폭된 펄스전류를 경고음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파하는 피에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주기 및 일전 시간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콘트롤러의 구동신호에 연동되어 일정 주기 및 일정 시간동안 경고빛으로 점멸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 센서는,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및 흔들림에 으하여 진동되는 반응감도를 둔하고 예민하게 각각 조절하는 가변저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난 방지기.
KR2019950004988U 1995-03-21 1995-03-21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KR0116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988U KR0116457Y1 (ko) 1995-03-21 1995-03-21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988U KR0116457Y1 (ko) 1995-03-21 1995-03-21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170U KR960031170U (ko) 1996-10-22
KR0116457Y1 true KR0116457Y1 (ko) 1998-04-18

Family

ID=1940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988U KR0116457Y1 (ko) 1995-03-21 1995-03-21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4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17B1 (ko) * 2006-09-06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충격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용 미디어 재생 장치를 이용한도난 및 파손 경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170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3989A (en) Alarm sensor multiplexing
US6317034B1 (en) Alarm sensor multiplexing
US6236307B1 (en) Vehicle lock and alarm
JP3699208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493917B2 (ja) 警報装置
US5602426A (en) Automotive theft-prevention system using a key pad and a remote signaling module
US6335679B1 (en) Vehicle alarm and pager system
KR0116457Y1 (ko) 자동차용 도난방지기
GB2247094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JP4487820B2 (ja) 車載用電磁ブザー制御装置
US4789851A (en) Power door lock interlock circuit
US4897632A (en) Power door lock interlock circuit
US6246315B1 (en) Vehicle alarm
JP3847459B2 (ja) 車載用盗難防止装置
JP2000344054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H11134563A (ja) 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盗難警告装置
KR200394843Y1 (ko) 차량 도난 경보기
KR100217598B1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JPH08108826A (ja) 車両の盗難警報装置
KR100501363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304337Y1 (ko) 자전거용 무선경보장치
KR100440278B1 (ko) 차량용 오디오 도난 방지장치
JPS63279949A (ja) 自動車用盗難防止警報装置
KR100211040B1 (ko) 차량의 도난방지 시동경보장치
JP2003099863A (ja) 予備威嚇器及びこの予備威嚇器を備えた車上盗難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