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357Y1 -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357Y1
KR0116357Y1 KR2019950011386U KR19950011386U KR0116357Y1 KR 0116357 Y1 KR0116357 Y1 KR 0116357Y1 KR 2019950011386 U KR2019950011386 U KR 2019950011386U KR 19950011386 U KR19950011386 U KR 19950011386U KR 0116357 Y1 KR0116357 Y1 KR 0116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ear
cove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931U (ko
Inventor
이태복
Original Assignee
이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복 filed Critical 이태복
Priority to KR2019950011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357Y1/ko
Publication of KR960035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통풍구를 원활하게 자동적으로 개폐토록 하는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비닐하우스의 상부와 측면에 창문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으로 개폐토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소모되었다.
그리고 개폐구를 비닐로 개폐토록 하여 권취봉으로 비닐을 감거나 풀러서 개폐구를 개폐함에 이 또한 작업자의 힘으로 돌려서 권취를 함으로 작업자의 힘이 약하면 사용하기가 난해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직류 모우터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권취봉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시킴으로 비닐을 권취하거나 풀을 수 있게 함으로서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통풍구를 개폐시킬수 있어 힘이 약한 어린이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고, 부품의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보수 수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통풍개폐권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종단면도.
제3도는 제 2도의 B-B선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
제 8도는 본 고안 다른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류모우터 2 : 모우터프레임
2a,5a, 12a : 통공 3 : 감속기
4 : 전면커버 5 : 배면커버
6 : 평기어 7, 9a : 워엄
8, 17 : 워엄기어 9 : 출력축
10,11 : 요홈 10a,10b,11a,11b : 걸림턱
13 : 스위치부 14 : 커버
15 : 프레임 16 : 축
18,18a : 타임로울러 19,20 : 리미트스위치
24 : 고정구 25, 26 : 고정편
25a,26a : 절곡편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측면이나 상부의 비닐을 개폐토록 하여 통풍을 원활히 함으로서 농작물의 성장이 원활하도록 하는 개폐구의 비닐을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비닐하우스용 통풍 개폐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나 습도가 너무 상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개폐가 용이한 창문을 형성하여 왔었다.
이러한 창문형 개폐구는 사용자가 일일이 다니면서 열거나 닫아야만 함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비닐하우스를 크게 설치하면 개폐구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개폐구를 개선한 것이 비닐하우스의 측면이나 상부에 장으로 설치한 비닐을 일정한 길이의 권취파이프를 사용하여 말거나 풀러서 개폐구를 개폐토록 함으로 습도와 온도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또한 개폐구를 여닫도록 설치된 비닐이 비닐하우스의 가장 긴 방향으로 설치가 되어 있어 사용자의 권취파이프를 힘으로 돌리면 귄취파이프에 비닐이 감기거나 풀려서 개폐구를 개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의 많은 힘과 노동력을 요하게 되어 비닐하우스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시간이 길어져 다른 작업을 하기에는 작업시간이 모자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아출된 것으로 전류에 의해 구동력을 갖는 직류 모우터의 일측에 설치한 감속기에 의해 구동력을 감속 및 힘을 증폭시켜 비닐하우스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비닐을 일정한 길이의 권취파이프에 감거나 풀음을 손쉽게 하는데 첫째 목적이 있고, 감속기의 전,배면 커퍼를 베이클라이트(bakelite)로 제작하여 통풍 개폐 권취기의 무게를 낮추고 전기선의 노후나 빗물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도록 하여 통풍 개폐 권취기의 각 부품을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설치 분해 및 고장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에 지지봉(36)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24)를 설치한 감속기(3)를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로 형성하고 감속기(3)의 배면 부위에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13)를 설치하며, 상부에는 직류모우터(1)를 설치하여 통풍개폐 권취기(100)를 구성한다.
즉 직류모우터(1)는 연결전선(29)이 통과하는 통공(2a)을 형성한 모우터 프러임(2)을 형성하여 감속기(3)의 상부에 볼트(34)로서 결합 고정하되 기어가 형성된 직류모우터(1)의 동력축(1a)이 감속기(3)의 내부로 위치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상기의 동력축(1a)과 치차가 맞물리는 평기어(6)를 상부에 설치하고 중앙부위에 워엄(7b)이 형성되며, 하부에 수동아암(7a)을 형성한 연동축(7)을 설치하고, 상기 워엄(7b)과 치차가 맞물리는 워엄기어(8)를 설치한 출력축(9)의 전방일측은 전면커버(4)를 관통하여 권치 파이프(40)와 연결고정될 수 있게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배면커버(5)로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되 배면커버(5)측으로 돌출된 일측에 워엄(9a)을 형성하며,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가 한조로 이루어져 볼트(41)로서 결합고정시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의 사이에 밀폐용패킹(31)과 수동아암(7a)이 설치되어 마개(30)로 개폐되도록 한 통공(12) 및 양측 상,하부에 걸림턱(10a,10b,11a,11b)를 갖는 요홈(10,11)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배면커버(5)의 일측에 연결전선(29)이 통과하도록 하는 통공(5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레버(19a,20a)와 다이오드(21,21a)를 형성한 리미트 스위치(19,20)를 볼트(22)로서 내측에 설치 고정하고 축공(15a,15b)을 형성한 프레임(15)을 배면커버(5)의 일측에 설치고정하고, 상기 워엄(9a)과 치차가 맞물리는 워엄기어(17)와 리미트스위치(19,20)의 레버(19a,20a)와 일치하도록 홈부(18b,18c)를 갖는 타임로울러(18,18a)를 축(16)상에 설치하여 축(16)을 상기 축공(15a,15b)에 설치하며, 그 외측에 입력전선(28)이 설치된 패킹(32)과 마개(23)를 설치한 관찰공(14a)을 갖는 커버(14)를 볼트(33)로서 견고히 결합고정하여 이루어진다.
고정구(24)는 일측에 상기 걸림턱(10a,10b,11a,11b)의 내측에 걸리도록 절곡편(25a,26a)을 형성한 타측에 볼트(27)와 너트(27a)를 결합할 수 있는 통공(25b,26b)을 형성한 고정편(25,2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7도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우터프레임(2)의 일측 측면으로 연결전선(29)이 통과할수 있는 통공(2c)을 형성하고 패킹(32)의 상부에 연결전선(29)을 통과하여 밀폐되도록 패킹(32a)을 형성하며, 커버(14)의 상부에 연결전선(29)이 통과하는 위치에 삽입홈(14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35는 지지봉(36)을 삽입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이고, 35a는 지지대(35)를 축설한 축심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접하도록 한 사이에 패킹(31)을 삽입하여 서로 기밀이 유지되게 볼트(41)로서 결합고정하되, 내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상부에 평기어(6)를 갖는 연동축(7)을 설치하고, 연동축(7)과 직각형태가 되도록 출력축(9)을 설치하되 출력축(9)상에 상기 워엄(7b)과 치차가 맞물리는 워엄기어(8)를 설치하여 감속기(3)를 형성하며, 감속기(3)의 상부에 동력축(1a)의 치차가 평기어(6)의 치차와 맞물리도록 직류모우터(1)를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동축(16)상에 워엄기어(17) 홈부(18b)와 홈부(18c)가 일정한 각으로 유지하게 타임로울러(18,18a)를 형성하여 워엄기어(17)가 워엄(9a)과 치차가 맞물리도록 설치한후 습기가 스위치부(13)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14)로서 씌워 견고히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 구성한 통풍 개폐권취기(100)를 비닐하우스(44)의 통풍구(42)에 설치하고자 할 시에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36)의 일측을 통풍 개폐권취기(100)의 요홈(10,11)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고정편(25,26)의 절곡편(25a,26b)을 요홈(10,11)에 삽입시켜 걸림턱(10a,10b,11a,11b)에 걸리도록 한 후 양측의 고정편(25,26)으로서 지지봉(36)을 감싸는 형태로 하여 볼트(27)와 너트(27a)로서 견고히 고정시키면 된다.
이같이 통풍 개폐권취기(100)의 일측에 고정시킨 지지봉(36)을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5)에 삽입 설치한 다음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축(9)의 일측에 비닐(43)의 일측끝을 고정시킨 권취파이프(40)를 고정설치후 입력전선(28)을 콘트롤박스(미도시됨)에 설치하면 통풍개폐권취기(10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전류가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한 다이오드(21,21a)를 리미트 스위치(19,20)에 연결설치하되 입력전선(28)측에서 연결전선(29)측으로 설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콘트롤 박스에서 전원을 리미트 스위치(19)가 + 가 되도록 인가하면 리미트 스위치(19)의 레버(19a)가 타임로울러(18)의 홈부(18b)에 위치한 상태에 있음으로 전류는 다이오드(21)를 통하여 흐름으로 직류 모우터(1)가 가동하여 동력축(1a)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동력축(1a)은 평기어(6)를 회동시키고 평기어(6)와 동축상에 형성한 워엄(7b)에 의해 워엄기어(8)를 회동시킴으로 출력축(9)에 설치한 권취파이프(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비닐(43)를 권취함으로 비닐하우스(44)의 통풍구(42)는 개방이 된다.
이같은 작동으로 비닐(43)이 완전히 권취파이프(40)에 권취되어 통풍구(42)가 개방이 되면서 출력축(9)에 형성한 워엄(9a)에 의해 워엄기어(17)를 회동시킴으로 타임로울러(18,18a)가 회동하여 리미트 스위치(19)의 레버(19a)는 홈부(18b)에서 이탈이 되어 리미트 스위치(19)가 ON 상태가 되고 리미트 스위치(20)의 레버(20a)는 홈부(18c)에 위치하게 됨으로 리미트 스위치(20)는 OFF가 되어 전류가 차단이 됨으로 직류 모우터(1)의 가동이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통풍구(42)를 막고자 할 때에는 콘트롤 박스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리미트 스위치(20)측을 + 로 인가시키면 리미트 스위치(20)에 설치한 다이오드(21a)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어 직류모우터(1)가 작동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동력축(1b)이 구동함으로 동력축(1b) - 평기어(6) - 워엄(7b) - 워엄기어(8) - 출력축(9)을 통하여 권취파이프(40)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권취되어 있던 비닐(43)을 풀음으로서 통풍구(42)가 비닐(43)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때에 동력축(9)의 워엄(9a)에 의해 워엄기어(17)가 회동하여 타임로울러(18)의 홈부(18b)에 레버(19a)가 위치하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19)가 OFF 되어 직류 모우터(1)에 전원을 차단하여 직류모우터(1)가 정지된다.
이와같이 통풍개폐권취기(100)를 사용함으로 하부에서 조작하여 손쉽게 비닐하우스(44)의 통풍구(42)를 개폐시킴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정구(24)로서 지지봉(36)에 통풍개폐권취기(100)의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중 기기 고장에 의한 부품을 손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함으로 보수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리미트 스위치(19,20)와 직류모우터(1)간을 연결하는 연결전선(29)을 감속기(3)내로 설치하여 연결설치 작업이 난해하던 것을 모우터프레임(2)의 일측으로 통공(2c)을 형성하여 연결전선(29)을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후 스위치부(13)의 일측으로 패킹(32a)에 의해 밀폐가 되도록 설치함으로서 연결전선(29)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인 통풍개폐권취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보수 수리 또한 편리하도록 하고, 비닐하우스에 설치시 고정구로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부에서 스위치의 조작으로 비닐하우스의 통풍구를 개폐할 수 있어 개폐구를 개폐시키고자 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로인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통공(2a)을 갖는 모우터프레임(2)이 설치되고 기어를 갖는 동력축(1a)을 형성한 직류모우터(1)를 상부에 설치한 감속기(3)를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로 형성하고, 감속기(3)의 내부에 평기어(6)를 설치한 연동축(7)에 워엄(7b)과 하부에 수동아암(7a)을 워엄(7b)과 치차가 맞물리는 워엄기어(8)를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의 외측으로 관통설치된 출력축(9)에 설치하고, 감속기(3)의 양측에 걸림턱(10a,10b,11a,11b)을 갖는 요홈(10,11)을 형성하여 통공(25b,26b)을 갖는 고정편(25,26)의 절곡편(25a,26a)을 결합하며, 배면커버(5)의 외측으로 돌출된 출력축(9)에 형성한 워엄(9a)과 치차가 맞물리는 워엄기어(17)와 홈부(18b,18c)를 갖는 타임로울러(18,18a)를 동축상인 축(16)에 설치하여 레버(19a,20a) 및 다이오드(21,21a)를 갖는 리미트 스위치(20)를 설치고정한 프레임(15)에 설치한 외측에 패킹(32) 및 커버(14)로 씌워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통풍개폐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모우터(1)의 모우터프레임(2)의 일측으로 연결전설(29)이 삽입결합되도록 통공(2c)을 형성하고, 커버(14)의 상부로 삽입홈(14a)을 형성하며, 연결전선(29)을 삽입하도록 한 패킹(32a)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KR2019950011386U 1995-05-25 1995-05-25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KR0116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386U KR0116357Y1 (ko) 1995-05-25 1995-05-25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386U KR0116357Y1 (ko) 1995-05-25 1995-05-25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931U KR960035931U (ko) 1996-12-16
KR0116357Y1 true KR0116357Y1 (ko) 1998-04-20

Family

ID=1941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386U KR0116357Y1 (ko) 1995-05-25 1995-05-25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3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40Y1 (ko) * 2009-02-25 2009-07-30 주식회사 엠파인 중량의 비닐하우스 천장 천막을 개폐하는 동력개폐장치
KR20220096580A (ko) 2020-12-31 2022-07-07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자동 개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40Y1 (ko) * 2009-02-25 2009-07-30 주식회사 엠파인 중량의 비닐하우스 천장 천막을 개폐하는 동력개폐장치
KR20220096580A (ko) 2020-12-31 2022-07-07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자동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931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317B2 (en) Residential window power actuator
US6100659A (en) Motorized window shade system
JPH02161092A (ja) 電動式日よけ
AT405074B (de) Tor, insbesondere schiebetor
KR0116357Y1 (ko) 비닐 하우스용 통풍개폐 권취기
US7328533B1 (en) Window shutt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385952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US5559409A (en) Automated window system and method for a building
KR20210067397A (ko)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JP3603247B2 (ja) 手動式シャッター雨戸の開閉装置
CN112736700A (zh) 一种便于固定进出线的配电柜
KR960004034Y1 (ko) 온실 및 건축물의 자동 개폐장치
EP4095344A1 (en) Control device for lighting elements to be mounted on a roll-up cover installation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KR102566422B1 (ko) 루버용 자동 및 수동 겸용 개폐장치
JP2003064965A (ja) 電動シャッター付き換気装置
KR101567642B1 (ko) 비닐 하우스의 비닐 개폐기용 리미트 스위치 장치
JPH10215702A (ja) ビニールハウス開閉装置
AU747226B2 (en) An operating device for window openers, screening arrangements and similar devices
KR200240168Y1 (ko) 축사용 커텐의 개폐장치
KR200395802Y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안내구
KR940001711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KR101515958B1 (ko) 비닐 하우스의 비닐 개폐기용 리미트 장치
KR850000760Y1 (ko) 전동식 그릴 개폐장치
KR200176436Y1 (ko) 수직형 커텐의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