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247Y1 -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247Y1
KR0116247Y1 KR2019940033516U KR19940033516U KR0116247Y1 KR 0116247 Y1 KR0116247 Y1 KR 0116247Y1 KR 2019940033516 U KR2019940033516 U KR 2019940033516U KR 19940033516 U KR19940033516 U KR 19940033516U KR 0116247 Y1 KR0116247 Y1 KR 0116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iron oxide
opening
refractory
clo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128U (ko
Inventor
우성호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33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247Y1/ko
Publication of KR960024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01G49/06Ferric oxide [Fe2O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2/00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J12/005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arried out at high temperatures, e.g. by pyro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1872Details of the fluidised bed reac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분해 반응 유동배소로에서 연소실로 누설된 누설산화철을 반출시키는 장치에 관한것으로써,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에 있어서, 연소실의 바닥을 30~45° 경사지게하고, 가장아래에 위치하는 연소실바닥에 접하는 벽체내화물에 원형의 구멍을 내어 양측면에 개폐봉 외부 슬라이딩 유도판(1)을 갖는 외부가이드(2)를 설치하되 벽체내화물(18')에 인접하는 외부가이드(2)의 하부에 누설산화철 반출구(3)를 연설하고, 양측면에 개폐봉 작동구(4)를 가지며, 외부보강용 철피(5)로 둘러싸인 내화물 개폐봉(6)을 상기 외부가이드(2)내에 삽입 설치하되 개폐봉 작동구(4)의 개폐봉 중심유지 작동용 미끄럼판(7)이 외부 슬라이딩 유도판(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화물 개폐봉(6)의 일측선단 중앙에 작동용 실린더 연결고리(8)를 설치하여 작동용 실린더 연결고리(8)에다 산화철 반출장치 작동용 실린더(9)를 연결한 구성으로 설비의 휴지없이 정상운전중에 연소실로 누설된 산화철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반출·제거할 수 있는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이다.

Description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도1은 종래의 열 분해반응 유동 배소로의 요부절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열 분해반응 유동 배소로의 요부절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발췌 사시도,
도4는(a)(b)는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슬라이딩 유도판1':연료가스공급관
2:가이드2':연소공기공급관
3:누설산화철 반출구3':버너
4:개폐봉 작동구4':연소실
5:외부보강용 철피5':열기확산공기 공급관
6:내화물 개폐봉6':가스분배관
7:미끄럼판7':열기분출노즐
8:실린더 연결고리8'반응실
9:실린더9':폐산분사노즐
10':산화철11':자동반출밸브
12':수동반출밸브13':바켓컨베이어
14':저장호퍼15':폐산분해가스출구
16':연소실 바닥17':연소실 맨홀
18':벽체 내화물19':로타리 밸브
20':스크류 컨베이어21':가스분배관 지지기둥
본 고안은 열 분해반응 유동 배소로에 있어서 연소실로 누설되는 누설산화철을 반출시키는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용 소재코일등의 표면에 붙어 있는 녹 등의 이물질 염산(HCI)으로 제거하는 산세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FeCl2)을 열분해 반응시켜 산화철(Fe2O3)과 염산(HC1)으로 재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분해 반응에 사용되는 종래의 열 분해반응 유동 배소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는 연료가스공급관(1')과 연소공기공급관(2')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연소공기를 버너(3')로 점화하여 연소실(4') 내부의 온도를 950℃~1,000℃로 가열하고, 열기 확산공기 공급관(5')으로 열기확산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가스분배관(6')의 열기분출노즐(7')을 통해 고온의 열기가 반응실(8')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반응실(8')의 내부온도를 470℃~490℃정도로 유지 하면서 폐산분산노즐(9')로 반응실(8')내에 폐산을 분사하게되면 폐산은 열분해반응으로 산화철과 염산으로 분해되게 되어 가장 입도가 굵은 입자 상태의 산화철(10'; 직경1~3mm)은 반응실(8') 내부에 쌓여 자동 반출밸브(11')나 수동반출밸브(12')를 통하여 바켓컨베이어(13';bucket conveyor)에 의해 입자산화철 저장호퍼(14')로 이송하여 저장됨으로써 반응실(8')내부의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분진상태의 산화철과 염산가스는 폐산분해가스출구(15')를 통하여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 염산을 흡수. 포집하여 재사용하는 공정이 연속되게 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6'는 연소실 바닥, 17'는 연소실 맨홀, 18'는 벽체 내화물, 19'는 로타리밸브, 20'는 스크류 컨베이어, 21'는 가스분배관 지지기둥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종래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는 가스분배관(6')에 설치된 열기분출노즐(7')이 내부의 염산분해가스와 고온(950℃~1,000℃)의 분출가스로 인한 부식촉진등으로 인하여 절손, 탈락등의 고장을 일으키게되므로 반응실(8')에 쌓인 입자 상태의 산화철(10')이 하부의 연소실(4')로 누설되고, 누설된 산화철(10')이 연소실(4')에 쌓여 연소실(4')이 폐쇄되면 설비의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연소실(4')로 누설된 산화철(10')을 반출시키기 위해서 감온, 냉각, 반출, 승온등으로 인한 최소 4일 이상의 설비휴지가 야기되고, 이로인한 염산구입 및 발생폐산의 폐수처리비가 증가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반출작업을 위한 6~8명의 인력이 고열과 분진이 발생하는 밀폐된 연소실 내부에서 과중한 육체적인 노동이 수반되는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등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의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가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써, 열기분출노즐의 고장으로 인하여 연소실 입자상태의 산화철이 누설되는 경우에도 설비의 휴지없이 정상운전중에 외부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반출장치를 작동하여 연소실로 누설되는 산화철을 반출제거하는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는 연료를 공급해주는 연료가스공급관(1')과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연소공기공급관(2') 그리고 연료와 공기에 의해서 점화되어 연소실내부를 가열하는 버너(3'), 이 버너(3')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산화철을 연소하는 연소실(4'), 열기확산공기를 공급해주는 열기확산공기공급관(5'), 열기확산공기를 반응실(8')로 공급하는 가스분배관(6') 및 열기분출노즐(7'), 폐산분사노즐(9')에서 공급되는 폐산을 반응시키는 반응실(8'), 이 반응실(8')에서 열 분해반응 하여서된 산화철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자동반출밸브(11') 또는 열 분해반응된 산화철을 수동으로 배출시키는 수동반출밸브(12'), 상기 각각의 자동 및 수동반출밸브(11')(12')에서 반출된 산화철을 저장호퍼(14')로 이송하는 바켓컨베이어(13')로 이루어진 통상의 열 분해반응 유동 배소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4')의 연소실 바닥(16')을 30~45°경사지게 하고, 연소실 바닥(16')과 접하는 벽체내화물(18')에는 원형의 구멍을 내어이에 슬라이딩 유도판[1]을 갖는 외부가이드[2]를 설치하고, 상기 벽체내화물[18']에 인접하는 외부가이드[2]의 하부에는 누설산화철 반출구[3]를 연결설치하며, 양측면에 개폐봉 작동구[4]를 가지며 외부보강용철피[5]로 둘러싸인 내화물 개폐봉[6]은 상기 외부가이드[2] 내에 삽입 설치하였으며, 상기 개폐봉 작동구[4]는 슬라이딩 유도판[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였고, 상기 내화물 개폐봉[6]의 일측선단 중앙에는 실린더 연결고리[8]를 설치하여 이에 산화철 반출장치 작동을 위한 실린더[9]를 연결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를설치한상태의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요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발췌 사시도, 도 4(a)(b)는 본 고안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열기분출 노즐(7')의 절손, 탈락등의 고장으로 입자상태의 원형 산화철(10')이 연소실(4')로 누설되면, 30~40°로 경사진 연소실 바닥(16')과 버너(3')에서 불어오는 고온의 열풍(2.4m/sec)으로 인하여 누설되는 산화철(10')은 가이드(2)가 연결된 벽체 내화물(18')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산화철 반출장치의 작동을 위한 실린더(9)의 스위치(도면미도시)를 온(ON)시켜 주면, 가이드(2)내의 내화물 개폐봉(6)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소실(4')내의 산화철 배출통로가 도 4(b)와 같이 개방되게 되므로 연소실(4')내부의 산화철(10')이 누설산화철 반출구(3)를 통하여 반출되어 바켓컨베이어(13')에 의해 저장호퍼(14')로 이송되게 된다.
단 상기 연소실바닥(16')을 30~45°로 한 이유는 30~45° 이상이되면 산화철이 너무빨리 미끄러져 흘러내리므로 좋지않고, 30~45°이하가 되면 산화철이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그냥 연소실바닥(16')에 존재해있게 됨으로 반출이 되지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바닥(16')은 30~45°를 유지해야한다.
여기도 가이드(2)에는 양측으로 슬라이딩 유도판(1)이 설치되어 있어서 내화물 개폐봉(6)의 정확한 직선운동으로 누설산화철 반출구(3)와 내화물 개폐봉(6)은 강도향상을 위해 외부보강용 철피(5)속에 고정되도록 제작한 것이다.
한편 연소실 누설산화철의 반출이 완료되면 산화철 반출장치의 작동위해 실린더(9)의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주게되며, 그에따라 내화물 개폐봉(6)이 화살표(A)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연소실(4')내의 산화철 배출통로는 도 4(가)와 같이 폐쇄되어 닫히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는 설비의 휴지없이 정상운전중에 연소실로 누설된 산화철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반출·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 감온, 냉각, 반출, 승온으로 인한 4일이상의 설비휴지와 이로인한 염산 구입비 및 발생한 폐산의 폐수처리비용의 절감 뿐만아니라 산화철 제거 작업자의 육체 부하를 감소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버너(3') 와 가스분배관(6') 및 폐산분사노즐(9')그리고 자동반출밸브(11') 와 수동반출밸브(12')를 각개소에 설치하여서된 통상의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4')의 연소실 바닥(16')은 30~45°경사지게 하고, 연소실 바닥(16')과 접하는 벽체 내화물(18')에는 원형의 구멍을 내어 슬라이딩 유도판(1)을 갖는 가이드(2)를 설치하였고, 벽체내화물(18')에 인접하는 가이드(2)의 하부는 누설산화철 반출구(3)를 설치하였으므며, 양측면에 개폐봉 작동구(4)를 가지며 외부보강용 철피(5)로 둘러싸인 내화물 개폐본(6)은 상기 가이드(2)내에 삽입 설치하였고, 상기 내화물 개폐봉(6)의 일측선단 중앙에는 실린더 연결고리(8)를 설치하여 이에 산화철 반출장치 작동을 위한 실린더(9)를 설치하여서된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KR2019940033516U 1994-12-09 1994-12-09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KR0116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516U KR0116247Y1 (ko) 1994-12-09 1994-12-09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516U KR0116247Y1 (ko) 1994-12-09 1994-12-09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128U KR960024128U (ko) 1996-07-22
KR0116247Y1 true KR0116247Y1 (ko) 1998-06-15

Family

ID=1940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516U KR0116247Y1 (ko) 1994-12-09 1994-12-09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2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919B1 (ko) * 1999-01-13 2005-05-03 진수곤 폐산을 이용한 금속산화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128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6247Y1 (ko) 열분해반응 유동배소로의 연소실 누설산화철 반출장치
KR200444221Y1 (ko) 전기로의 부원료 씰링장치
AU727804B2 (en) Method to load scrap for electric arc furnace and relative system
KR20120112791A (ko) 코크스로의 보수 방법
KR100311904B1 (ko) 가스증폭플라즈마고온열분해소각방법및그시스템
KR101170903B1 (ko)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을 위한 난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MXNL06000038A (es) Metodo y aparato para recuperar energia de materiales de desecho mediante su combustion usando una proporcion de aire terciario.
KR850000354B1 (ko) 침수 스크레이퍼를 갖는 회분 처리시스템
US6892655B2 (en) Drum transport device
KR100504396B1 (ko) 탄화실 연와보수장치
KR100627463B1 (ko) 수직 소성로의 소성도 및 온도 제어장치
US2138321A (en) Special retort and apparatus for refining raw materials in solid, liquid, vapor, and gaseous form
ITGE960090A1 (it) Forno per processi e trattamenti in atmosfera sottostechiometrica
SU1361449A1 (ru) Термическа печь с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атмосферой
RU2791278C1 (ru) Печь для сжига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US4402492A (en) Burner apparatus for molten metal fume suppression
CN110423626A (zh) 干熄焦一次除尘厢式焦粉冷却装置
US4348225A (en) Batch process and static-bed type apparatus for reducing iron ore
JP2003138275A (ja) プラスチックの溶融油化装置
KR200260917Y1 (ko) 가열로도어의열량배출차단장치
CN220303658U (zh) 一种用于处理废气的防腐蚀七室蓄热焚烧设备
WO2023281703A1 (ja) 有機物の無機物化装置
KR200295762Y1 (ko) 용광로 송풍지관류의 슬래그 역류 차단장치
CN209802111U (zh) 一种治理电炉二噁英的直接蒸发冷却装置
RU2278091C1 (ru) Способ обжига изделий, содержащих в качестве связующего смолу или пе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