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061Y1 -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061Y1
KR0116061Y1 KR2019940016297U KR19940016297U KR0116061Y1 KR 0116061 Y1 KR0116061 Y1 KR 0116061Y1 KR 2019940016297 U KR2019940016297 U KR 2019940016297U KR 19940016297 U KR19940016297 U KR 19940016297U KR 0116061 Y1 KR0116061 Y1 KR 0116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degaussing coil
lug
fixed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007U (ko
Inventor
이강열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사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사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40016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061Y1/ko
Publication of KR960003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46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within the enclosure
    • H01J2229/0053Demagnet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브라운관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자장을 중화시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디가우징 코일을 저렴한 가격으로 간편하게 브라운관 몸체에 고정 및 설치하려고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브라운관 몸체(100) 전.후방에 프론트 커버(110)와 백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운관 몸체(100)의 각 모서리부에는 브라운관 몸체(100)를 프론트 커버(110)에 나사(120A)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러그(120)와, 자장에 의해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가우징 코일(130)이 구비되는 브라운관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러그(120)에 끼움 고정되고 작업자의 접음에 의해서 디가우징 코일(130)을 브라운관 몸체(100)의 외주연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장을 중화시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디가우징 코일을 브라운관에 고정 및 설치하는데 적용됨.

Description

브라운관의 다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고정부재 1 : 고정부
2 : 끼움부 20 : 끼움공
100 : 브라운관 몸체 120 : 러그
130 : 디가우징 코일
본 고안은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장을 중화시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브라운관 몸체에 설치되는 디가우징 코일을 저렴한 가격으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은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브라운관 몸체(100)의 전.후방에 프론트 커버(110)와 백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운관 몸체(100)의 각 모서리부에는 브라운관 몸체(100)를 프론트 커버(110)에 나사(120A)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러그(120)와, 자장(磁場)을 중화시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가우징 코일(Degaussing Coil)(1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가우징 코일(130)은 주로 프론트 커버(110)와 브라운관 몸체(100)의 전면 외곽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가우징 코일(130)의 설치방법은 디가우징 코일(130)의 두께가 약 9-12mm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와 같이 프론트 커버(110)와 브라운관 몸체(100)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할 경우 전체적인 외관이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인해 근래에는 상기 디가우징 코일(130)을 브라운관 몸체(100)의 후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는데, 이또한 상기 디가우징 코일(130)을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가우징 코일의 설치방식은 점차 소형화 되어가는 현 추세에 역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외관의 불량함을 유발시키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의 불편성 및 생산단가의 상승으로 생산성 및 경제성 저하를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디가우징 코일을 브라운관에 간편하게 고정 및 설치할 수 있는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고정장치는 단순형상을 가지는 고정부재만으로도 디가우징 코일을 브라운관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라운관은 통상에서와 같이 브라운관 몸체(100) 전.후방에 프론트 커버(110)와 백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운관 몸체(100)의 각 모서리부에는 브라운관 몸체(100)를 프론트 커버(110)에 나사(120A)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러그(120)와, 자장에 의해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가우징 코일(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브라운관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러그(120)에 끼움고정되고 작업자의 접음에 의해서 디가우징 코일(130)을 브라운관 몸체(100)의 외주연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A)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A)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와 폭을 가지는 연성재의 금속편으로 형성된 고정부(1)와, 상기 고정부(1)를 브라운관 몸체(100)의 러그(12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선상의 끼움공(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와 일체 형성된 끼움부(2)가 구비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실태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브라운관 몸체(10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러그(120)에 고정부재(A)의 끼움부(2)에 형성된 끼움공(20)을 끼운다. 이렇게 상기 끼움부(2)의 끼움공(20)이 브라운관 몸체(100)의 러그(120)에 끼워진 후에는, 상기 브라운관 몸체(100)를 나사(120A)로 프론트 커버(110)에 결합시키게 되고, 상기 끼움부(2)의 끼움공(20)은 상기 나사(120A)의 걸림에 의해서 브라운관 몸체(100)의 러그(120)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끼움부(2)가 브라운관의 몸체(100)의 러그(120)에 끼움 고정된 후에는, 자장을 중화시키는 디가우징 코일(130)을 프론트 커버(110)와 브라운관 몸체(100) 사이에 삽입하게 되고, 삽입된 디가우징 코일(13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와 폭을 갖고 연성의 금속편으로 형성된 고정부재(A)의 고정부(1)를 디가우징 코일에 걸어 접게 되므로서 일련의 디가우징 코일의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장을 중화시켜 화상이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디가우징 코일을 단순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의 접음에 의해서 브라운관 몸체(100)에 고정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디가우징 코일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단가의 절감으로 생산성 및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브라운관 몸체(100) 전.후방에 프론트 커버(110)와 백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운관 몸체(100)의 각 모서리부에는 브라운관 몸체(100)를 프론트 커버(110)에 나사(120A)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러그(120)와, 자장을 중화시켜 화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가우징 코일(130)이 구비되는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러그(120)에 끼움고정되고 작업자의 접음에 의해서 디가우징 코일(130)을 브라운관 몸체(100)의 외주연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A)는 일정길이와 폭을 가지는 연성의 금속편으로 형성된 고정부(1)와, 상기 고정부(1)를 브라운관 몸체(100)의 러그(12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선상의 끼움공(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와 일체 형성된 끼움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KR2019940016297U 1994-06-30 1994-06-30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KR0116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297U KR0116061Y1 (ko) 1994-06-30 1994-06-30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297U KR0116061Y1 (ko) 1994-06-30 1994-06-30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007U KR960003007U (ko) 1996-01-22
KR0116061Y1 true KR0116061Y1 (ko) 1998-04-17

Family

ID=1938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297U KR0116061Y1 (ko) 1994-06-30 1994-06-30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0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007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241A (en) Attachable protective screen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US6252637B1 (en) Universal screen guard clip
US6459531B1 (en) Screen mounting device for projection TV
US2458368A (en) Television receiver cabinet and cathode-ray tube mounting
KR920005872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CA2213934C (en) Mirror securing device
KR0116061Y1 (ko) 브라운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JP2604106Y2 (ja) 消磁コイルの取付構造
JPH06245178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KR200164948Y1 (ko) 영상표시기기의 틸트 코일고정장치
JPS6246391Y2 (ko)
KR960003424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구
KR200148839Y1 (ko) 전자제품의 전자관 틈새방지장치
JPH09238294A (ja) 陰極線管のデガウスコイル取付装置
JPS6115663Y2 (ko)
JPH037991Y2 (ko)
JPS6237870B2 (ko)
JP3269485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0296126Y1 (ko) 디가우싱코일 고정용 리브가 형성된 영상 표시기기
JPH0646137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110628B2 (ja) 白黒ディスプレイモニタ用偏向ヨーク
JP2533719Y2 (ja) Crt取付構造
JP3223662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遮蔽構造
JPH0422611Y2 (ko)
JPH0718216Y2 (ja) 電子機器の外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