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855Y1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855Y1
KR0115855Y1 KR2019950014332U KR19950014332U KR0115855Y1 KR 0115855 Y1 KR0115855 Y1 KR 0115855Y1 KR 2019950014332 U KR2019950014332 U KR 2019950014332U KR 19950014332 U KR19950014332 U KR 19950014332U KR 0115855 Y1 KR0115855 Y1 KR 0115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rod
vehicle
spare tire
fixing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596U (ko
Inventor
서정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4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855Y1/ko
Publication of KR970001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동봉의 상하에 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절곡 링크를 링으로 체결하고 중공인 축의 끝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플로워 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킷에 체결하여 타이어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플로워 판넬의 상부에 저면으로 암나사부를 형성한 브라킷에 있어서, 가동봉의 상하에 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절곡 링크를 와이어로 고정하되, 상부의 절곡링크에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하며, 중공인 축의 하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암나사부에 체결하되, 원주면에 복수개의 장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제1도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봉 1a,1b : 홈
2,3 : 절곡 링크 2a,3a : 구멍
4,4a : 와이어 5 : 실린더 관
5a : 나사부 5b,5c : 장공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봉의 상하에 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복수개의 절곡 링크를 와이어 체결하고 이를 삽입한 실린더 관의 끝단을 플로워 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킷에 체결한 구조로서 스페어 타이어를 손쉽게 고정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행중 타이어의 펑크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11)를 트렁크 내부에 형성된 타이어 보관홈(12)에 보관을 하며, 차체의 층격으로 인한 스페어 타이어(1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관홈(12)의 중앙에 즉, 플로워 패널(13)의 상부에 브라킷(14)을 구비하여 고정용 볼트(15)와 너트(14a)로 고정하는데, 스페어 타이어(11)를 사용시나 수납시 고정용 보울트(15)를 조이거나 푸는데 시간이 많이 들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동봉의 상하에 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절곡 링크를 와이어로 체결하고 이를 삽입한 실린더관의 끝단을 플로워 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킷에 체결한 구조로서 스페어 타이어를 손쉽게 고정 및 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술한 목적 및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로서, 플로워 판넬에 고정시킨 브라킷(14)의 실린더관(5)의 하단을 끼워 그 나사부(5a)와 너트(14a)를 채워 고정하고 실린더관(5)는 둘레면에 세로로 복수개의 장공(5b),(5c)을 형성하며 실린더관(5)에 삽입되는 가동봉(1)의 상하에는 홈(1a)(1b)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절곡 링크(2)(3)를 와이어(4)(4a)로 고정하되, 상부의 절곡링크에는 구멍(2a)(3a)을 형성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페어 타이어(11)를 트렁크 내부에 형성된 타이어 보관홈(12)에 수납 고정시 플로워 판넬(13)의 상부에 설치한 브라킷(14)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관(5)으로 타이어 휠의 증앙에 구멍을 맞추어 끼운 안치한 상태에서 가동봉(1)을 실린더관(5)에서 당기면 복수개의 절곡 링크(2)(3)가 상단은 장공(5a)(5c)에서 고정되나 하단은 가동봉(1)을 따라 같이 상승됨으로 자연히 중심핀을 기준으로 하여 외부로 접혀 벌려지면서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키게 되며, 사용시(스페어 타이어를 꺼낼 때)는 가동봉(1)을 밀면 반대로 절곡링크(2)(3)의 하단 부위가 가동봉(1)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므로 절곡링크(2)(3)가 일직선으로 펴지게 위치되어 스페어 타이어를 꺼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장소의 손쉽게 고정 또는 풀 수 있도록 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플로워 판넬의 상부에 설치한 브라킷에 실린더 관(5를 세워 고정하고 그안에 삽입 설치한 가동봉(1)의 상하에 흠(1a)(1b)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절곡 링크(2)(3)를 와이어(4)(4a)로 고정하되, 실린더 관(5)의 원주면에 복수개의 장공(5b)(5c)을 세로로 형성하여 상기 절곡링크(2)(3)가 펼치고 오므러지는 운동을 할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2019950014332U 1995-06-22 1995-06-22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KR0115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332U KR0115855Y1 (ko) 1995-06-22 1995-06-22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332U KR0115855Y1 (ko) 1995-06-22 1995-06-22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596U KR970001596U (ko) 1997-01-21
KR0115855Y1 true KR0115855Y1 (ko) 1998-04-21

Family

ID=1941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332U KR0115855Y1 (ko) 1995-06-22 1995-06-22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8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30A (ko) * 2002-05-18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패어 타이어 체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596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1504A (ko) 루프 래크용 장착 장치
US3385615A (en) Steering post
KR0115855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KR200207109Y1 (ko) 천막지붕의 보강장치
CN2332284Y (zh) 晾衣架
CN215398041U (zh) 一种车用牵引钩座
CN112013005B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六角头开槽螺母
KR200147021Y1 (ko) 자동차의 견인용 후방후크
CN208870881U (zh) 高强度叶片螺栓连接副
KR890001184Y1 (ko) 자전거 안장의 높이조절 장치
JPS6233871Y2 (ko)
JPH0310140Y2 (ko)
JPH041970U (ko)
KR200210235Y1 (ko) 큰 우산용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우산손잡이
JPS6344276Y2 (ko)
KR970000666Y1 (ko) 자동차용 프론트 배기관 체결구조
KR200152674Y1 (ko) 자동차의 보조핸들
JPS6129918Y2 (ko)
KR0138320Y1 (ko) 자동차용 유압식 잭의 보조 나사구조
KR900006876Y1 (ko) 텐트용 횡봉 연결고정구
JPH01143234U (ko)
JPS6358092U (ko)
KR100379633B1 (ko) 잭의 보관구조
KR0128649Y1 (ko) 오일통 고정구조
JPS629620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