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746Y1 - 문틀 - Google Patents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746Y1
KR0115746Y1 KR2019940005184U KR19940005184U KR0115746Y1 KR 0115746 Y1 KR0115746 Y1 KR 0115746Y1 KR 2019940005184 U KR2019940005184 U KR 2019940005184U KR 19940005184 U KR19940005184 U KR 19940005184U KR 0115746 Y1 KR0115746 Y1 KR 0115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doors
assembled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789U (ko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김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원 filed Critical 김광원
Priority to KR2019940005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746Y1/ko
Publication of KR950027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32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between a jamb and the threshold or sill of window or do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내의 방문이나 욕조문 등을 설치하기 위한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목재로 된 문틀의 경우 문지방부재가 실내작업시 작업자의 출입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파손 또는 변형되어 작업후 재시공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바,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문틀의 문지방부재를 파손 및 마모가 되지 않는 인조대리석으로 하고 이를 후시공이 되게 구성한 것인바, 즉, 목재로된 측판부재의 단부로는 지지판을 각각 돌설하고 이에 결합되어지는 문지방부재로는 결합요구를 대응위치에 요설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시킨 다음 고정나사로 나합시켜 조립되어지도록 한 것이어서 작업에 따른 파손 부위가 전혀 없으며 인조대리석으로 문지방부재를 하였기 때문에 습기나 기타 요인에 의해서도 변형 또는 마모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문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문지방부재의 확대 발췌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시공 조립 단면도.
제4도는 종래 문틀 구조를 보인 계약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문틀 20,30 : 측판부재
21,31 : 지지편, 50 : 문지방부재
51,52 : 결합요구 60 : 고정나사
70 : 색상층
본 고안은 옥내의 방문이나 욕실문 등을 설치하기 위한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지방부재의 후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문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틀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재(101), 측판부재(102)(103) 및 바닥면이 되는 문지방부재(104)로 이루어진 문틀(100)이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문틀(100)은 각부재의 모서리를 45°로 절단시켜 직각이 되게 맞춘 다음 고정못(105)을 이용 두군데 정도 박아 고정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대부분의 문틀(100)이 통상의 건물 벽체의 문틀공간에 맞추어 시공이 되기전 미리 일정한 크기의 상태로 제작되어지는 것이며, 이는 도배 등의 각종 실내 작업이 완료되기전 벽체의 문틀 공간부에 끼워 맞춰 조립되어지고 통상의 경첩을 이용 문짝이 조립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인 작업순서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문틀의 경우 실내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미리 설치되는 관계로 목재만으로 이루어진 문틀(100)이 실내작업시 파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특히 문틀중에 있어서도 바닥면에 위치되는 문지방부재(104)의 파손률은 실제 작업현장에서 많이 발생하여 이를 다시 수리 보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문틀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파손된 문틀을 별도로 재차 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공사비의 가중으로 인한 부실공사의 우려 또한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인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현상은 다량의 주택을 짓는 아파트공사나 각종 주택공사시 많이 발생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 하겠다. 그리고 종래 목재를 이용한 문틀의 경우 사용시 재질 특성상 습기 등에 의해 문지방이 변형 또는 썩거나 마모되어 문짝을 열고 닫을 때 틈새가 생기는 등의 여러 가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 문지방부재(104)는 못을 이용 제작시 고정되어 있는 것이어서 설사 상기 문지방부재(104)만의 교체가 요구되더라도 이의 분리가 되지 않아 결국 문틀자체를 교환 수리 해야되는 작업상 번거로움이 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틀의 문지방부재를 강도가 높은 인조대리석으로 하고 이를 실내작업이 완료된 후 별도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줌으로써 작업시 전혀 파손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변형없이 반영구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문틀을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10)을 이루기 위한 한쌍의 측판부재(20)(30) 상측으로는 상판부재(40)가 직각이 유지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측판부재(20)(30)의 각 단부로는 지지편(21)(31)이 돌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재(40)와 측판부재(20)(30)는 종래의 문틀과 마찬가지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립방법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측판부재(20)(30)의 하부면에 조립되는 인조대리석의 문지방부재(50) 양측단으로는 상기 지지편(21)(31)이 결합되어지는 결합요구(51)(52)가 요설되어 있으며 결합요구(51)(52)에 끼워진 지지편(21)(31)을 고정나사(60)로 상호 나합시켜 조립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조대리석으로 이루어진 문지방부재(50)의 표면으로는 제2도와 같이 색상층(70)을 도포하여 실내 분위기에 맞는 아름다움을 얼마든지 선택 연출할 수 있게 된 구성이다.
도면상 미설명부호 80은 문지방턱이며, 81은 문짝이며, 82는 벽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건물벽체 내에 최종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지는 것이나, 본 고안의 경우 문지방부재(50)를 별도로 조립가능하게 구성하여 줌으로써 실내작업시 이를 제외한 상, 측판부재(40)(20)(30)로된 나머지형의 틀체만을 먼저 설치한 다음 모든 실내작업이 완료된 후 기존의 바닥면 보다 깊이 파여진 상태의 벽체 바닥면을 이용 문지방부재(50)를 위치시킨 다음 결합요구(51)(52)와 측판부재(20)(30)의 지지편(21)(31)을 서로 끼워맞춤하고 이들을 일측에서 고정나사(60)로 조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며 이때 문지방부재(50)의 설치자리만을 간단히 마무리 작업하여 주면 되는 것이어서 실내작업시에도 전혀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작업자들도 출입이 용이하여 안심하고 작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손에 따른 이중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작게는 시공단가의 절감으로 도모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잇점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설상 최초 문틀(10) 조립시 문지방부재(50)도 함께 조립시켜 사용하더라도 상기 문지방부재(50)가 강도가 높고 파소닝 쉽게 되지 않는 이조대리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기존 목재로 된 문지방부재에 비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별도의 보수가 요구되지 않으며, 표면으로 색상층(70)을 갖도록 도포하였기 때문에 제품으로서의 손색이 전혀 없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실내분위기에 따라 제작시 여러 가지의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고안의 인조대리석을 이용한 문지방부재의 경우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욕실에 설치할 경우 종래 썩는 폐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없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적으로 본고안과 같은 문틀을 현장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경우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문틀(10)의 문지방부재(50)를 실내작업후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줌으로써 실내작업시 가장 손상률이 많은 문지방부재(50)를 후시공할 수 있어 작업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 등을 미연 방지할 수 있어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없으며, 인조대리석으로 하여 줌으로서 사용 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옥내의 방문이나 욕실문 등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문틀(10)에 있어서, 상기 문틀(10)의 측판부재(20)(30) 양단부로는 지지편(21)(31)이 돌설되어 있고, 상기 측판부재(20)(30)의 지지편(21)(31)에 결합 고정되어지는 문지방부재(50)의 양측단으로는 결합요구(51)(52)를 형성하여 상호 끼워지게 한 다음 이를 고정나사(60)로 나합되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10)의 문지방부재(50)는 표면으로 색상층(70)이 구비된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KR2019940005184U 1994-03-15 1994-03-15 문틀 KR0115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184U KR0115746Y1 (ko) 1994-03-15 1994-03-15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184U KR0115746Y1 (ko) 1994-03-15 1994-03-15 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789U KR950027789U (ko) 1995-10-18
KR0115746Y1 true KR0115746Y1 (ko) 1998-04-22

Family

ID=1937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184U KR0115746Y1 (ko) 1994-03-15 1994-03-15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7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917B1 (ko) * 2005-11-08 2006-06-19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하부문틀 개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789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454B1 (en) Door construction
US4890418A (en) Access panel assembly with door and multi-functional frame
US3156331A (en) Knock-down door buck construction with adjustable wall clamping means
US3501866A (en) Replacement door and frame unit
CA3017715A1 (en) Vinyl jamb system
US3083798A (en) Universal door bucks and door hanging means
KR0115746Y1 (ko) 문틀
JPH08158660A (ja) 室内ドア養生カバー
KR930006460Y1 (ko) 창문의 목재비드 조립장치
US6301852B1 (en) Window glazing assembly
JP3370293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施工方法
KR200201616Y1 (ko) 보강판이 구비된 문틀
GB2172330A (en) Window glazing
GB226474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manufacture and glazing of windows and doors
JPS5921269Y2 (ja) 木製戸袋用金属製鏡板
EP0497057A1 (en) Frame arrangements
JP3249067B2 (ja) 窓 枠
JPH0210228Y2 (ko)
KR960003570Y1 (ko) 문 고조물의 조립구조
JP3229582B2 (ja) 開口部装置
KR200269691Y1 (ko) 조립식 문틀
JPH026236Y2 (ko)
JPH0343358Y2 (ko)
JPH042294Y2 (ko)
KR200185403Y1 (ko) 조립식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