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518Y1 -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 Google Patents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518Y1
KR0115518Y1 KR2019940031671U KR19940031671U KR0115518Y1 KR 0115518 Y1 KR0115518 Y1 KR 0115518Y1 KR 2019940031671 U KR2019940031671 U KR 2019940031671U KR 19940031671 U KR19940031671 U KR 19940031671U KR 0115518 Y1 KR0115518 Y1 KR 0115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ters
tank
urin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770U (ko
Inventor
박윤한
Original Assignee
박윤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한 filed Critical 박윤한
Priority to KR2019940031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518Y1/ko
Publication of KR960017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날로 증가되는 물의 사용으로 인한 수자원 고갈의 보호 및 현재의 투박하고 복잡한 구조물로 되어 있는 세정탱크 내부의 구조물들을 완전 제거하고 투명하게 하여 탱크 일부를 수족관으로 활용하여 실내공간 중에서 가장 소외되어 있는 욕실 공간을 쾌적하고 명랑한 휴식공간으로 바꾸어 대도시의 좁은 주거공간을 좀더 활용성 있게 이용하고자 하는 뜻에서 고안된 전자식 다목적용 세정탱크이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양변기의 사용 수량은 대, 소변 구분없이 1회 세정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약13리터이다. 이것을 대, 소변으로 구분하여 필요한 양만큼 사용한다면, 즉, 대변인 경우 13리터, 소변인 경우 6리터의 물의 양을 본고안에 채택한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한다면 년간 약 5억톤의 귀중한 물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우리 나라에 풍부한 수자원을 이제부터라도 우리 모두 아껴써야 할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이 절수로 인한 수자원 보호의 차원 및 친근한 욕실문화의 창출 등 일거양득의 의미에서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제1도는 본 고안의 대, 소변에 필요한 물의 양을 변기에 공급하기 위한 시간 제어(TIMER) 회로도.
제2도는 세정탱크의 적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위조절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관계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세정 탱크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레노이드 2 : 밸브
3 : 세정탱크 4 : 수족관
5 : 수위감지센서 6 : 간벽
7 : 세정수구 8 : 배수구
9 : 산소공급기 10 : 덮개
본 고안은 전자 장치에 의해 양변기 세정탱크의 급, 배수 및 대, 소변에 필요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함으로서 수자원절약 및 세정탱크의 수족관 이용 등 다목적 세정탱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정탱크는 탱크내 여러가지 복잡한 구조상 세정탱크 이외 다른 용도로는 이용될 수 없고, 탱크 내 수위조절을 하는 뜨게밸브는 지역에 따른 급수압의 차이 등 장시간 사용시 이물질 및 이완 등에 의해 밸브의 고장이 빈번하여 사용상 불편함은 물론 소량이지만 물의 손실 등 세정 탱크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 후렌지 밑 탱크 고정나사를 통하여 누수된 녹물로 인해 미관 상면에도 좋지 않았다.
이러한 여러가지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전자회로를 도입하여 고안된 세정탱크로서 현재의 세정탱크는 변기세정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도인입관에 연결한 급수관과 변기를 세정하기 위한 공급관으로 분리되어 있고, 탱크내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뜨게밸브 등 여러구조물로 세정탱크내가 매우 복잡하고 구조물들이 기계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사용으로 많은 고장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자방식에 의해 세정탱크내 필요한 관계통들을 소레노이드에 적합한 밸브를 특수하게 제작 사용함으로서 변기공급관 하나로 단일화하였다. 그러므로 상기에 기술한 모든 복잡한 구조물들을 완전 제거하였고, 또한 전자식 구동이므로 많은 반복사용에도 작동상태가 항상 일정하여 탱크내 수위도 수위감지 센서에 의해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변기에 공급되는 수량도 대, 소변에 따라 간단히 선택 단추를 눌러 필요한 만큼 물만 공급하므로 많은 절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이 제거된 깨끗한 세정탱크는 지금의 투박한 점토로 되어 있는 것을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 소재로 하여 탱크 일부(전면부)를 수족관으로 활용하고 세정탱크 덮개 역시 투명하고 평활하게 하여 작은 화분들을 장식함으로서 욕실내의 금붕어와 꽃의 조화로 지금까지 주거 공간에서 가장 소외되어 왔던 욕실공간을 쾌적하고 명랑한 휴식공간으로 바꾸어 대도시의 좁은 주거공간을 좀더 활용성있게 꾸밀 수 있는 일거양득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대, 소변에 필요한 물의 양을 변기에 공급하기 위한 시간제어회로로서 용변 후 세정단추(1) 또는 (2)번을 누르면 리레이에 의해 제3도의 소레노이드 A가 작동하여 변기 세정수 공급밸브를 열어 필요한 물의 양을 변기에 공급한 후 자동적으로 소레노이드 A가 정지하며 공급밸브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1도 회로의 작동이 끝난다. (예정시간(1)은 10초, (2)는 5초, 단 필요한 세정수 양에 따라 시간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음)
제2도는 세정탱크의 자동 수위조절 회로로서 1회 세정 후 세정탱크 내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해 제2도 수위감지센서가 부족한 수위상태를 감지하여 리레이에 전달하면 소레노이드 B가 작동하여 세정탱크 급수관 밸브를 열어 급수가 시작되어 세정 탱크의 제한 수위가 되면 센서에 의해 소레노이드 B가 정지하며 세정탱크 급수관의 밸브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2도의 수위조절 회로의 작동이 끝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반복 작용으로 깨끗하고 편리한 욕실 공간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

Claims (1)

  1. 제4도의 세정탱크(3) 일부를 수족관(4)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탱크내부에 간벽(6)을 형성하고 탱크 덮개(10)를 평활하게 하여 소분 및 소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한 세정 탱크로서, 소레노이드(1)와 수위감지센서(5)를 작동시켜 밸브(2)의 자동 개. 폐하고 탱크 수위조절(4)하고 용도(대. 소변)에 따른 세정 수량선택장치에 의한 세정탱크.
KR2019940031671U 1994-11-28 1994-11-28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KR0115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671U KR0115518Y1 (ko) 1994-11-28 1994-11-28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671U KR0115518Y1 (ko) 1994-11-28 1994-11-28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70U KR960017770U (ko) 1996-06-19
KR0115518Y1 true KR0115518Y1 (ko) 1998-04-22

Family

ID=1939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671U KR0115518Y1 (ko) 1994-11-28 1994-11-28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5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70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8006A (en) Domestic water system
KR0115518Y1 (ko) 전자식 다용도 세정 탱크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0670930B1 (ko) 재활용수 저장 양변기 시스템
CN215105794U (zh) 一种马桶的补水系统
JPH03122326A (ja) 水洗トイレの給水設備
CN212427380U (zh) 一种排水系统及浴室集成系统
CN113605502B (zh) 一种隐藏式节水水箱系统
KR0122543Y1 (ko) 좌변기용 오수 저장탱크
CN215406392U (zh) 一种男学生宿舍节水小便池冲水装置
KR950004860Y1 (ko) 어항
JP3011044U (ja) 水洗便器用貯水タ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水洗便器の給排水装置
KR100225780B1 (ko) 수세식변기의 용수공급장치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191223Y1 (ko) 절수식 양변기
CN2318278Y (zh) 一种带有污水储水箱的节水型坐厕冲厕装置
JP2002364049A (ja) 中水利用設備
CN2355007Y (zh) 带有污水储水箱的节水型坐厕冲厕装置
KR920007461Y1 (ko) 냉온수기의 급수관 내의 정체수(停滯水)자동배수장치
CN2665231Y (zh) 废水综合利用装置
CN111535407A (zh) 一种排水系统以及浴室集成系统
GB2374379A (en) Domestic water tank
JPS6131857A (ja) 太陽熱温水器の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