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309Y1 -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 Google Patents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309Y1
KR0115309Y1 KR2019940015240U KR19940015240U KR0115309Y1 KR 0115309 Y1 KR0115309 Y1 KR 0115309Y1 KR 2019940015240 U KR2019940015240 U KR 2019940015240U KR 19940015240 U KR19940015240 U KR 19940015240U KR 0115309 Y1 KR0115309 Y1 KR 0115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burr
needle
abrasive sto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711U (ko
Inventor
이상호
주식회사아이리
Original Assignee
이상호
주식회사 아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주식회사 아이리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2019940015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309Y1/ko
Publication of KR960000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6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too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subgroups
    • B24B3/605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too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subgroups of surgical or dental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수술용 삼각봉합침칼 끝부에 삼각프레싱 할시 형성된 버어(Burr)를 한번의 공정으로 신속정밀하게 다량 연말할 수 있도록한 삼각봉합침의 삼각버어(Burr)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삼각봉합침 칼끝부의 단면형상을 대략 2등변삼각형상으로 프레스한후 테이프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 즉 버어 형성 부분이 연마석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다수개 부착하여 회전되는 연마석에 의해 간편용이하면서 정밀하게 버어를 연마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코스트절감을 꾀하고저 함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마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삼각버어(Burr)연마상태를 보인 측면요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삼각버어(Burr)연마상태를 보인 평면요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본체 2 : 함실
3 : 고정지그 4 : 고정부
5 : 수송부 6 : 워엄
7 : 워엄기어 8.13 : 조정핸들
9 : V홈 10.10' : 조정볼트
11 : 연마석 12 : 모터
14 : 누름판
본 고안은 각종 수술용 삼각봉합침칼 끝부에 삼각프레싱 할시 형성된 버어를 한번의 공정으로 신속정밀하게 다량 연마할 수 있도록한 삼각봉합침의 삼각버어(Burr)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삼각봉합침은 선단이 서서히 가늘게 그리고 얇게된 V홈을 가진 단압성형형의 상기 V홈내에 이 V홈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 원추상 침재를 삽입하여 이것을 단압하는 것에 의하여 침재의 일부를 V홈으로부터 인출하여 버어(Burr)상 돌출부를 형성한 다음 연마하는 것으로서 이는 삼각봉함침재의 선단부 능선에 대응하는 저면을 능선방향으로 향하여 비스듬히 윗쪽(상방향)으로 연삭하여, 이를 연마에 의해 칼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연삭량이 많고 선단부의 능선에 대응하는 저면을 능선방향으로 향하게 비스듬이 연마하여야 하므로 균일한 연마가되지도 않을 뿐더러 연마시간이 많이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목적으론 삼각봉합침 칼끝부의 단면형상을 대략 2등변삼각형상으로 프레스한후 테이프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 즉 버어 형성부분이 연마석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다수개 부착하여 회전되는 연마석에 의해 간편용이하면서 정밀하게 버어를 연마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코스트절감을 꾀하고저 함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마기의 사시도로서 기계본체(1)의 전방에 상부가 개방된 함실(2)을 형성한다.
상기 함실(2)에는 고정부(4)와 이송부(5)를 워엄(6)과 조정핸들(8)이 고정된 워엄기어(7)에 치합된 상태로 고정지그(3)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부(5)의 상면에는 다수의 V홈(9)을 형성하고, 이송부(5) 상측에는 한쌍의 조정볼트(10)(10')에 의해 해제될 수 있는 누름판(4)을 조립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3)의 전방에는 조정핸들(13)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모터(12)가 장착된 연마석(11)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0은 삼각봉합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삼각봉합침의 삼각버어를 연마코져할때에는 프레스성형에서 삼각봉합침의 버어가 형성된 상태로 성형된 삼각봉합침(20)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양측에서 테이핑한다.
테이핑된 삼각봉합침은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기계본체(1)의 함실(2)에 고정부(4)와 이송부(5)를 워엄(6)과 워엄기어(7)에 치합된 고정지그(3)에 고정하되, 고정지그(3)의 이송부(5) 상측에 한쌍의 조립볼트(10)(10')를 풀고 이송부(5) 상면에 다수형성된 V홈(9)에 안치시킨후 조립볼트(10)(10')를 조여 누름판(14)으로 삼각봉합침(20)을 요동없이 긴밀히 고정완료한다.
고정작업완료가 끝나면 작업자 고정지그(3) 전방에 조정핸들(13)에 의해 상하 이송작동되는 모터(12)를 온시켜 연마석(11)을 회전시킨다.
이때 연마석(11)은 조정핸들(13)의 회전에 의해 삼각봉합침(20) 버어를 적당량 연마하는 상태로 위치시키면서 조정핸들(8)을 회전시켜 위엄(6)과 위엄기어(7)에 의해 좌우이동 즉 화살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마상태에서 좌우이동은 조정핸들(8)의 회전에 의해 워엄(6)과 워엄기어(7)에 의해 계속해서 좌우이동시키는 것이고, 삼각봉합침(20)의 연마량은 조정핸들(13)에 의해 모터(12)에 축설된 연마석(11)이 하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적당량씩 연마하게 되며, 연마면에는 적당량의 물을 공급시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매끄럽게 연마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좌우이동단을 갖는 고정지그와 상하이동수단을 갖는 연마석으로 고정된 기계본체의 고정지그 삼각봉합침을 하나의 누름편에 의해 다수고정시켜 조정핸들(8)에 의해 좌우이송시키면서 상하이송되는 연마석에 의해 연마하므로서 생산량향상은 물론 신속정확하고 정밀하게 삼각봉합침을 연마생산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기계본체(1) 전방의 함실(2)에 고정부(4)에서 이송부(5)가 좌우이송수단을 갖는 고정지그(3)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부(5)의 상면에는 다수의 V홈(9)이 형성되고 이송부(5)의 상측에는 한쌍의 조정볼트(10)(10')에 의해 해체될 수 있는 누름판(14)을 조립설치하며, 상기 고정지그(3)의 전방에는 조절핸들(13)에 의해 상하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모터(12)가 장착된 연마석(11)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봉합침의 삼각버어연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지그(3)의 좌우이송수단은 고정부(4)에 워엄(6)과 조정핸들(8)에 워엄기어(7)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봉합침의 삼각버어연마기.
KR2019940015240U 1994-06-25 1994-06-25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KR0115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240U KR0115309Y1 (ko) 1994-06-25 1994-06-25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240U KR0115309Y1 (ko) 1994-06-25 1994-06-25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11U KR960000711U (ko) 1996-01-17
KR0115309Y1 true KR0115309Y1 (ko) 1998-04-21

Family

ID=1938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240U KR0115309Y1 (ko) 1994-06-25 1994-06-25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3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89B1 (ko) * 2004-08-11 2006-05-23 (주)케이.엠.피 성형연삭기의 가공물 고정 치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11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8704786A1 (es) Mecanismo mejorado de afilado de cuchilla y guiado de la misma
CN110977031B (zh) 一种整体硬质合金锯片制造精加工处理工艺
KR0115309Y1 (ko) 삼각봉합침 삼각버어(Burr) 연마기
KR940001129B1 (ko) 벨트재의 연삭 장치
KR200454203Y1 (ko) 다이아몬드 다이스 연마 가공기
KR200414442Y1 (ko)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CN112454148A (zh) 多维精密钨钻旋转挤压式无损手镯亮光机
KR20150090016A (ko)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CN219521712U (zh) 一种研磨装置
JPH0457173B2 (ko)
JP3733459B2 (ja) チップソーのホーニング処理方法及びホーニング処理装置
KR20110114139A (ko) 드릴나사못 연삭장치
CN219405629U (zh) 一种包装袋生产用分切机
KR19990078541A (ko) 인삭기
KR100477354B1 (ko) 인터널 커터
US2532500A (en) Belt grinder and polisher
US2862423A (en) Powered deburring device
JPS6464766A (en) Machining method for specular surface of hard and brittle material and grinding wheel member used therefor
KR960004992Y1 (ko) 낚시도래의 표면 요철무늬 성형장치
JPH0228011Y2 (ko)
KR0115308Y1 (ko) 봉합침 귀기등 연마기
KR870003612Y1 (ko) 사료 절단기의 호형 칼날 연삭기
JP2001071239A (ja) 印刷用紙縦ミシン刃研磨装置
JPS5920907Y2 (ja) 丸鋸研磨機
KR200288661Y1 (ko) 의복용 벨트 버클의 양면 연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