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877Y1 - 분리수거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분리수거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877Y1
KR0114877Y1 KR2019950020068U KR19950020068U KR0114877Y1 KR 0114877 Y1 KR0114877 Y1 KR 0114877Y1 KR 2019950020068 U KR2019950020068 U KR 2019950020068U KR 19950020068 U KR19950020068 U KR 19950020068U KR 0114877 Y1 KR0114877 Y1 KR 0114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plate
fence
side wa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612U (ko
Inventor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최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찬 filed Critical 최종찬
Priority to KR2019950020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877Y1/ko
Publication of KR970009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의 담장하부에 설치되어서 소각용 쓰레기와 소각용 쓰레기는 담장외부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고, 재활용 쓰레기는 담장내부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담장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격리판(10)과, 상기 격리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그 중간하부가 고정되는 한쌍의 양측벽판(20)들과, 상기 격리판의 상단부에서 담장내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상기 양측벽판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경사판(30)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단부(31)에서 담장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양측벽판들의 상단내측에 고정되며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외측투입구멍(41)들이 뚫려지는 내측덮개판(40)과, 상기 양측벽판들의 상단외측을 덮어주도록 상단외측에 고정되는 외측덮개판(50)과, 상기 내측덮개판(40)에 형성되는 외측투입구멍(41)에 경첩(61)으로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문짝판(60)으로 구성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이다.

Description

분리수거 쓰레기통
제1도는 본 고안 쓰레기통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쓰레기통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도는 연결덮개판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부분 사시도.
b도는 연결덮개판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도는 간막이벽판이 설치된 쓰레기통의 배면 사시도.
b도는 간막이벽판이 설치된 쓰레기통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도는 재활용덮개판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부분 사시도.
b도는 재활용덮개판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바닥판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격리판 20 : 양측벽판
21: 바닥판 30 : 경사판
31 : 내측단부 40 : 내측덮개판
41 : 외측투입구멍 45 : 재활용함
50 : 외측덮개판 55 : 폐기물함
60 : 외측문짝판 61 : 경첩
70 : 연결덮개판 80 : 간막이벽판
90 : 재활용덮개판 91 : 재활용구멍
92 : 재활용문짝판 93 : 경첩
A : 매립용 공간부 B : 소각용 공간부
본 고안은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택의 담장하부에 설치되어서 매립용 쓰레기와 소각용 쓰레기는 담장외부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고, 재활용 쓰레기는 담장내부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1991년 1월 16일자 출원한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91-605호의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공고번호 93-6255호로서 공고되어 등록받은 사실이 있다.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 등록고안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의 전면판부에서 후면판부 측으로 일정간격 아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통로부들, 상기 통로부들의 상부에 전면판부에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뚜껑판부들 및 상기 통로부들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별도의 쓰레기함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으로서; 각종 쓰레기를 그 종류에 따라서 분리수거하여 자원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의 투입작업은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행해져도 쓰레기의 수거는 담장외부에서 행해지도록 하여서 사용자와 청소작업자 모두에게 깨끗한 위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등록고안은 담장내부에서 버리는 모든 종류의 쓰레기가 담장외부에서만 수거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재활용 쓰레기를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다시 모아서 재할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부여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재활용 쓰레기의 재활용에 관심이 부쩍 커지고 있는 요즈음에 재활용 쓰레기는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본인의 선출원 등록고안을 개량할 필요가 생겼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쓰레기를 그 종류에 따라서 분리수거하여 자원의 낭비를 예방하며, 매립용 쓰레기나 소각용 쓰레기의 투입작업은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행해져도 그 수거작업은 담장외부에서 행해지도록 하여 줄 뿐 아니라, 재활용 쓰레기는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수거되어서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담장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격리판(10)과, 상기 격리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그 중간하부가 고정되는 한쌍의 양측벽판(20)들과, 상기 격리판의 상단부에서 담장내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상기 양측벽판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경사판(30)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단부(31)에서 담장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양측벽판득의 상단내측에 고정되며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외측투입구멍(41)들이 뚫어지는 내측덮개판(40)과, 상기 양측벽판들의 상단외측을 덮어주도록 상단외측에 고정되는 외측덮개판(50)과, 상기 내측덮개판(40)에 형성되는 외측투입구멍(41)에 경첩(61)으로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문짝판(60)으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택의 담장(1)을 경계로 하여서 내측덮개판(40)은 주택의 담장내측에, 외측덮개판(50)은 주택의 담장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내측덮개판(40)과 경사판(30)의 하부에는 재활용 쓰레기가 담겨지는 재활용함(45)이, 외측덮개판(50)의 하부에는 소각 또는 매립처리되는 폐기물함(55)이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본 고안은 종이류 또는 유리병류 또는 알미늄 캔종류 등과 같은 재활용 쓰레기는 담장내측에 위치하는 재활용함(45)에 담겨져서 주택내부에서 사용자가 수거하여 재정리하며, 소각 또는 매립처리되는 폐기물 쓰레기는 담장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덮개판(40)에 형성되는 외측투입구멍(41)을 통하여 경사판을 타고 내려가서 담장외측에 위치하는 폐기물함(55)에 담겨져서 주택외부에서 작업하는 청소원들이 직접수거하여 반출하는 것이 가능하여지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담장(1)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격리판(10)과, 상기 격리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그 중간하부가 고정되는 한쌍의 양측벽판(20)들과, 상기 격리판의 상단부에서 담장내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상기 양측벽판들이 내부에 고정되는 경사판(30)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단부(31)에서 담장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양측벽판(20)들의 상단내측에 고정되며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외측투입구멍(41)들이 뚫려지는 내측덮개판(40)과, 상기 내측덮개판과 대칭되도록 상기 양측벽판(20)들의 상단외측에 고정되는 외측덮개판(50)과, 상기 내측덮개판(40)에 형성되는 외측투입구멍(41)에 경첩(61)으로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문짝판(60)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되; 내측덮개판(40)과 외측덮개판(50)은 연결덮개판(70)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며, 이 연결덮개판(70)은 주택담장(1)의 쓰레기통 설치구멍(2)의 상측벽부 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연결덮개판(70)은 내측덮개판(40)과 외측덮개판(50)의 상부를 막아주므로 폐기물 쓰레기 함에서 나올 수 있는 악취가 주택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또, 제4도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양측벽판(20)들의 중간부에 양측벽판(20)들과 평행하게 간막이벽판(80)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간막이벽판(80)은 내측덮개판(40)과 연결덮개판(70)과 외측덮개판(50)과 격리판(10) 및 경사판(30)으로 구획되는 폐기물용 공간부를 매립용 공간부(A)와 소각용 공간부(B)로 분리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구획되는 매립용 공간부(A)의 하부에는 매립용 쓰레기함(55a)이 소각용 공간부(B)의 하부에는 소각용 폐기물함(55b)이 배치되며, 내측덮개판(40)에는 매립용구멍(41a)과 소각용구멍(41b)이 뚫려지며, 그 구멍들에는 매립용 외측문짝판(60a)과 소각용 외측문짝판(60b)이 경첩(61a), (61b)들로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제5도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내측덮개판(40)의 하단부에 재활용덮개판(90)이 양측벽판(20)들의 사이에 고정되며, 그 재활용덮개판(90)에는 재활용구멍(91)들이 뚫려지고, 그 재활용구멍들(91)에는 재할용문짝판(92)들이 경첩(93)으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재할용덮개판(90)의 구조는 재활용함(45)의 상부가 주택의 담장내측 상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보다 깨끗한 주택의 내부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 제6도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양측벽부(20)의 하부 바닥에 일체로서 바닥판(21)을 형성하고, 그 바닥판(21)의 양측 끝단에는 걸립턱(21a)을 돌출 형성하여서, 이동이 편리하도록 수개의 바퀴들이 각기 착설된 재활용함(45)과 폐기물함(55)이 사람이 끌어당기지 않아도 미끄러져 외측으로 이동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실현되는 하나의 대표적인 예를 표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그 필요에 따라서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안에서 변경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각종 쓰레기를 그 종류에 따라서 분리수거하여 자원의 낭비를 예방하며 매립용 쓰레기나 소각용 쓰레기의 투입작업은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행해져고 그 수거작업은 담장외부에서 행해지도록 하여 줄 뿐아니라, 재활용 쓰레기는 주택의 담장내부에서 수거되어서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담장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격리판(10)과, 상기 격리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그 중간하부가 고정되는 한쌍의 양측벽판(20)들과, 상기 격리판의 상단부에서 담장내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상기 양측벽판부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경사판(30)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단부(31)에서 담장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양측벽판들의 상단내측에 고정되며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외측투입구멍(41)들이 뚫려지는 내측덮개판(40)과, 상기 양측벽판들의 상단외측을 덮어주도록 상단외측에 고정되는 외측덮개판(50)과, 상기 내측덮개판(40)에 형성되는 외측투입구멍(41)에 경첩(61)으로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문짝판(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덮개판(40)과 외측덮개판(50)은 연결덮개판(70)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며, 이 연결덮개판(70)은 주택담장(1)의 쓰레기통 설치구멍(2)의 상측벽부(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판(20)들의 중간부에 양측벽판들과 평행하게 간막이벽판(80)이 설치되며, 이 간막이벽판(80)은 내측덮개판(40)과 연결덮개판(70)과 외측덮개판(50)과 격리판(10) 및 경사판(30)으로 구획되는 폐기물용 공간부를 매립용 공간부(A)와 소각용 공간부(B)로 분리하고, 그 매립용 공간부(A)의 하부에는 매립용 쓰레기함(55a)이 소각용 공간부(B)의 하부에는 소각용 폐기물함(55b)이 배치되며, 내측덮개판(40)에는 매립용구멍(41a)과 소각용구멍(41b)이 뚫려지며, 그 구멍들에는 매립용 외측문짝판(60a)과 소각용 외측문짝판(60b)이 경첩(61a), (61b)들로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덮개판(40)의 하단부에 재활용덮개판(90)이 양측벽판(20)들의 사이에 고정되며, 그 재활용덮개판(90)에는 재활용구멍(91)들이 뚫려지고, 그 재활용구멍들(91)에는 재활용문짝판(92)들이 경첩(93)으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19950020068U 1995-08-03 1995-08-03 분리수거 쓰레기통 KR0114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68U KR0114877Y1 (ko) 1995-08-03 1995-08-03 분리수거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68U KR0114877Y1 (ko) 1995-08-03 1995-08-03 분리수거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12U KR970009612U (ko) 1997-03-27
KR0114877Y1 true KR0114877Y1 (ko) 1998-04-16

Family

ID=1942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068U KR0114877Y1 (ko) 1995-08-03 1995-08-03 분리수거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06B1 (ko) 2016-03-23 2016-09-05 서순교 가정용 쓰레기 배출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06B1 (ko) 2016-03-23 2016-09-05 서순교 가정용 쓰레기 배출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12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843A (en) Compartmented receptacle for use in recycling and waste disposal
CN211077186U (zh) 一种防臭垃圾箱
US6119869A (en) Waste disposal and manager system
KR0114877Y1 (ko)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0405175Y1 (ko) 접이식 쓰레기 분리수거함
KR20180069163A (ko) 가정용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KR100562934B1 (ko)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0338125Y1 (ko) 자동 분리수거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KR200417407Y1 (ko) 쓰레기통
EP0341353A1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ste
KR200195680Y1 (ko) 분리수거 쓰레기통
KR930006255Y1 (ko)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CN211002897U (zh) 一种分类垃圾桶
GB2393104A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recyclable waste
KR200478625Y1 (ko) 쓰레기통
CN210259767U (zh) 一种新型社区垃圾归类收纳箱
CN214826125U (zh) 一种垃圾分类回收箱
KR940004216Y1 (ko) 쓰레기 투입함
GB2384970A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recyclable waste
CN212150249U (zh) 一种双层分类垃圾桶
KR20210158062A (ko) 주택에서 간단히 사용가능한 전자석문 재활용 쓰레기통
CN214216966U (zh) 垃圾箱
CN218595149U (zh) 一种小区物业用道路垃圾收集分类装置
KR200292394Y1 (ko) 분리수거용 다단 휴지통
CN215286445U (zh) 一种垃圾分类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