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091Y1 -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 Google Patents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091Y1
KR0114091Y1 KR2019940034851U KR19940034851U KR0114091Y1 KR 0114091 Y1 KR0114091 Y1 KR 0114091Y1 KR 2019940034851 U KR2019940034851 U KR 2019940034851U KR 19940034851 U KR19940034851 U KR 19940034851U KR 0114091 Y1 KR0114091 Y1 KR 0114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disassembly
assembly
chokes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309U (ko
Inventor
최판수
정동균
서정근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34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091Y1/ko
Publication of KR960020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연롤에서 양측에 장착되어 베어링역할을 수행하는 쵸크(chock)를 분해 조립하기 위한 베트에 관한 것으로, 여러종류의 압연롤에 장착된 여러가지 규격의 쵸크를 범용적으로 분해 조립할 수 있음으로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분해조립기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장착가능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서 하부쵸크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하부안착대; 상기 하부안착대의 상부에서 상부쵸크를 결합시킬 수 있는 상부안착대; 상기 상부안착대의 활주대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판넬; 등을 갖춘 쵸크분해 조립용 베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제1도는 일반적인 제철소의 열간압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압연롤에서 쵸크를 분해조립하기 위하여 분해조립기(Extractor)에 운반하는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A방향 측면도로서,
(a)도는 상부쵸크의 측면도.
(b)도는 하부쵸크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립용 베드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립용 베드의 결합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립용 베드에 여러종류의 압연롤이 장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상부쵸크의 적용예 (b)도는 하부쵸크의 적용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2a, 12b : 고정블럭
15 : 하부안착대 17 : 구동모터
20 : 상부안착대 22a, 22b : 활주대
28a, 28b : 직각고정구 30 : 터치바
33 : 걸림공간 130a, 130b : 상,하부압연롤
135a, 135b : 상,하부 쵸크
본 고안은 압연롤에서 양측에 장착되어 베어링역할을 수행하는 쵸크(chock)를 분해조립하기 위한 베드에 관한 것으로, 여러종류의 압연롤에 장착된 여러가지 규격의 쵸크를 범용적으로 분해조립할 수 있음으로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 압연롤의 쵸크 분해조립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압연공정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조압연라인(110)과 사상압연라인(120)이 갖춰지며, 사상 압연라인(120)에는 전단라인(112), 중단라인(113)및 후단라인(115)이 갖춰진다. 이와같은 압연라인에서 사용되는 압연롤(130)은 매우 중량물이기 때문에 양측에 장착되어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는 쵸크(chock)(135a)(135b)를 분해조립하는데에는 유압을 이용하는 분해조립기(Extractor)가 사용된다.
제2도에는 상기와 같은 여러종류의 압연롤(130)을 분해조립기(140)에 이동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압연롤(130)의 양측에 쵸크(135a)(135b)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를 크레인(145)의 롤 이송지그(150)로서 운반하여 분해조립기(140)의 상부면에 안착된 분해조립용 베드(160a)(160b)상에 쵸크(135a)(135b) 부분이 일치하도록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롤 이송지그(150)를 제거하고, 분해조립기(140)로서 압연롤(130)로부터 양측의 쵸크(135a)(135b)를 분해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압연롤(130)의 쵸크(135a)(135b)가 안착되는 베드(160a)(160b)는 각각 압연롤(130)의 쵸크(135a)(135b)가 그 크기 및 형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압연롤(130a)마다 베드(160a)(160b)를 적절한 규격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는 압연롤(130)의 쵸크(135a)(135b)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 하부 압연롤(130a)(130b)별로 그 형상이 다른 여러종류(10C)(12C)(13C)(14C)(13D)(14D)(10D)(12D)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베드(160a)(160b)를 분해조립기(140)상에서 교체 장착하는 데에는 매우 큰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필요하여 정비작업 생산성은 크게 저하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종류의 압연롤에 장착된 쵸크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하고, 분해조립기에 장착되어 별도의 교체작업 없이도 압연롤에서 여러종류의 쵸크를 쉽게 고정하여 쵸크 분해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 압연롤의 쵸크 분해조립용 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연롤에서 쵸크를 분해 조립하는 경우 쵸크가 안착되어 분해조립기에 고정가능한 압연롤의 쵸크분해 조립용 베드에 있어서, 분해조립기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장착가능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나란한 고정블럭을 갖추고, 상기 고정블럭의 중앙상부면에는 하부 쵸크가 결합가능한 직각 고정구가 형성된 하부안착대; 상기 하부안착대의 고정블럭 위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활주대를 갖추고, 상기활주대의 상부면에는 상부쵸크가 결합 가능한 직각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활주대를 고정블럭상에서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재와 구동모터를 갖춘 상부안착대; 상기 구동모터를 정, 역회전시키는 전원을 인가하고, 활주대의 측방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터치바에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를 갖추어 상기 활주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콘트롤 판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쵸크분해조립용 베드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고안에 따른 분해조립용 베드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쵸크분해조립용 베드(1)는 하부면에 오목홈(5a)을 형성하여 분해조립기(140)상에 안착되는 받침판(10)을 갖추고, 상기 받침판(10)의 상부에는 나란히 배열된 한쌍의 고정블럭(12a)(12b)을 갖춘 하부안착대(15)를 갖추며, 상기 하부안착대(15)의 상부에서 구동모터(17)와 스크류 부재(19)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상부안착대(20)를 갖는다.
상기 하부안착대(15)는 고정블럭(12a)(12b)의 상부면 중앙에 각각 하부쵸크(135b)가 장착가능한 직각 고정구(13a)(13b)를 일정간격으로 고정배치하고, 일측 고정블럭(12a)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레일(14a)을 형성하며 고정블럭(12b)의 외측으로는 받침판(10)상에 또하나의 레일(14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안착대(15)상에서 전, 후로 이동가능한 상부안착대(20)는 상기 고정블럭(12a)(12b)위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활주대(22a)(22b)를 갖추고, 상기활주대(22a)(22b)의 일측 하부면(23a)은 고정블럭(12a)의 레일(14a)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활주대(22a)(22b)의 타측하부면(23b)은 받침판(10)상의 레일(14b)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활주대(22a)(22b)의 중앙 하부면에는 암나사부재(25a)(25b)를 각각 장착한 원형 프레임(27a)(27b)이 돌출 형성되어 고정블럭(12a)(12b)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원형프레임(27a)(27b)의 암나사부재(25a)(25b)에는 스크류부재(19)가 나사결합되는 바, 상기 스크류부재(19)는 중심점(19a)를 기준으로 전, 후측의 나사산(19b)(19c)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정, 역회전 작동시 활주대(22a)(22b)가 고정블럭(12a)(12b)상에서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부재(19)에는 커플링(18)을 통해서 구동모터(17)의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17)는 받침판(10)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대(22a)(22b)의 상부면에는 상부쵸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직각고정구(28a)(28b)가 각각 형성되며, 활주대(22a)(22b)의 일측으로는 터치바(30)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바(30)는 받침판(10)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32a)(32b)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터치바(30)는 하단부측에 다수개의 걸림공간(33)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간(33)이 활주대(22b)의 고정턱(35)에 결합됨으로서 리미트스위치(32a)(32b) 와의 접촉거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7)를 정, 역회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 판넬(40)이 받침판(10)의 측방으로 위치된다.
미설명부호 (B)는 보울트부재, (50)는 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받침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홈(5a)은 분해조립기(14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그 오목홈(5a)을 끼울 수 있도록 된 돌기(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되고, 제6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압연롤(130a)에 장착된 상부 쵸크(135a)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그 쵸크(135a)의 크기에 따라서 상부 안착대(20)의 활주대(22a)(22b) 간격이 조절된다.
이때, 작업자는 콘트롤판넬(40)을 조작함으로서 적정 회전방향으로 구동모터(17)를 회전시키면 구동모터(17)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부재(19)가 회전되며, 따라서, 상기 스크류부재(19)에 나사결합된 활주대(22a)(22b)는 서로에 대하여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며, 이때 활주대(22b)의 일측에 갖추어진 터치바(30)가 리미트스위치(32a)에 접촉되면구동모터(17)의 정,역회전이 정지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부쵸크(135a)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 터치바(30)의 걸림공간(33)을 고정구(35)상에서 이동시키면 터치바(30)의 선단과 리미트스위치(32a)가 접촉하는 거리가 변동되어 해당크기의 상부쵸크(135a)에 적합한 간격으로 위치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안착대(20)를 이용하여 상부 압연롤(130a)의 상부쵸크(135a)를 종류별로 분해조립기(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하부압연롤(130b)의 하부쵸크(135b)를 분해조립기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는 제6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드(1)를 이동시키지 않고서, 하부쵸크(135b)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구동모터(17)를 회전시켜 활주대(22a)(22b)의 간격을 조정하면 된다. 이때, 하부쵸크(135b)는 하부안착대(15)의 직각고정구(13a)(13b)에 의해서 하부면이 고정되고, 활주대(22a)(22b)는 각각 하부쵸크(135b)의 외측프레임이 방해되지 않고 하부안착대(15)에 밀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 배치되면 충분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해조립기에 의해서 상, 하부 압연롤(130a)(130b)로부터 상, 하부 쵸크(135a)(135b)를 각각 분해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교환시킬 필요없이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다. 즉 상부 압연롤(130a)을 분해 조립한 다음 하부압연롤(130b)을 분해 조립하는 경우에도, 상부안착대(20)의 활주대(22a)(22b) 간격만을 조정하면 쉽게 하부압연롤(130b)의 하부쵸크(135b)가 장착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여러종류의 압연롤에 장착된 쵸크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별도의 교체작업없이도 압연롤에서 여러종류의 쵸크를 쉽게 분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비작업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실용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1)

  1. 압연롤에서 쵸크를 분해조립하는 경우 쵸크가 안착되어 분해조립기에 고정가능한 압연롤의 쵸크분해 조립용 베드에 있어서 분해조립기(140)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장착 가능한 받침판(10); 상기 받침판(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나란한 고정블럭(12a)(12b)을 갖추고, 상기 고정블럭(12a)(12b)의 중앙상부면에는 하부쵸크(135b)가 결합가능한 지각 고정구(13a)(13b)가 형성된 하부안착대(15); 상기 하부안착대(15)의 고정블럭(12a)(12b) 위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활주대(22a)(22b)를 갖추고, 상기 활주대(22a)(22b)의 상부면에는 상부쵸크가 결합가능한 직각 고정구(28a)(28b)가 형성되며, 상기 활주대(22a)(22b)를 고정블럭(12a)(12b)상에서 전, 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재(19)와 구동모터(17)를 갖춘 상부안착대(20); 상기 구동모터(17)를 정, 역회전시키는 전원을 인가하고, 활주대(22a)(22b)의 측방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터치바(30)에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32a)(32b)를 갖추어 상기 활주대(22a)(22b)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콘트롤 판넬(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쵸크분해조립용 베드.
KR2019940034851U 1994-12-21 1994-12-21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KR0114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851U KR0114091Y1 (ko) 1994-12-21 1994-12-21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851U KR0114091Y1 (ko) 1994-12-21 1994-12-21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309U KR960020309U (ko) 1996-07-18
KR0114091Y1 true KR0114091Y1 (ko) 1998-04-16

Family

ID=1940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851U KR0114091Y1 (ko) 1994-12-21 1994-12-21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0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407B1 (ko) * 2019-08-13 2021-02-19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용 핫 레벨러 캐리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309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398B1 (ko) 크로스를 압연기의 롤크로스장치
JPH05337512A (ja) ユニバーサル型ロールスタンド
KR100803025B1 (ko) 갭 조절수단이 구비된 압연기
US8616037B2 (en) Re-turning plant for rollers of a roller mill
JPH07164015A (ja) 軸方向に移動可能なロールを有する圧延機
US3545326A (en) Swing type arbor attachment for quick tool changes
GB2034222A (en) Universal mill stand with removable rolls
KR0114091Y1 (ko) 압연롤의 쵸크 분해 조립용 베드
US6055904A (en) Shut height adjustment and crank suppor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a thermoforming press
US6257972B1 (en) Steady rest having linear sliding clamping bars
US5600995A (en) Useful improvements in press apparatus
CN210701888U (zh) 折弯机随动托料装置
US4823582A (en) Device for planing a sheet metal strip under tension
CN112742929B (zh) 一种条形工件随动弯曲成形装置
EP1005921B1 (en) Cross rolling machine
CN211991118U (zh) 一种数控双头双面锁口铣床
JPS6360006A (ja) 圧延スタンド
US6827530B2 (en) Symmetrical mill
KR20030097378A (ko) 크롭셔 나이프 자동교환장치
JP2851481B2 (ja) ロールクロス圧延機
JP2001162314A (ja) 圧延機のローラガイド
JP2691819B2 (ja) ロール成形機
CN219293184U (zh) 一种新型不锈钢焊接滚轮架
JPH04361802A (ja) クロスミル
JPH0757366B2 (ja) 幅可変圧延ロールとそのロールの分解組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