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062Y1 - 북통자물쇠 - Google Patents
북통자물쇠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3062Y1 KR0113062Y1 KR2019950013780U KR19950013780U KR0113062Y1 KR 0113062 Y1 KR0113062 Y1 KR 0113062Y1 KR 2019950013780 U KR2019950013780 U KR 2019950013780U KR 19950013780 U KR19950013780 U KR 19950013780U KR 0113062 Y1 KR0113062 Y1 KR 01130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door
- key
- drum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42—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with key-operated locks, e.g. pad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궁이나 사찰등 우리나라 전통가옥에 있어서 대문이나 창고문등 두쪽으로 된 문에 각각 형성된 귀면문고리와 귀면문고리를 각각 채결하여 잠그는 북통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현대에 있어서는 고궁, 사찰 및 전통가옥은 주거용등으로 사용되지 않고, 주로 문화재로 보호되어 관광객들이 찾는 장소가 되었는데, 따라서 고궁, 사찰등의 대문을 출입구로써의 역할보다는 문화재로써 보존되는 건조물로서 그 존재가치가 있다 할 것인데, 보존이 필요한 건축물내에 사람의 출입을 통재할 필요가 있어 대문등을 밖에서 잠글 필요성이 있었다.
이와 같이 대문등을 밖에서 잠그고자 할때 대문의 바깥쪽 양대문짝에 각각 형성된 귀면문고리와 귀면문고리를 상호 묶어 잠궈야 했는데, 그 잠금장치는 전통자물쇠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대문의 전체적인 미관(美觀)을 헤쳐 고궁등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창안되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2개의 문고리가 형성된 문을 잠글때 사용되는 북통자물쇠로서 붙받이자물쇠구조로 된 민속가구용 북통자물쇠와는 그 구성과 기능이 전혀 다른 별개의 것으로 북통자물쇠는 2개의 문고리 삽입홈(12, 12')이 형성된 몸통체(1)와 괴정구(2), 그리고 북통자물쇠의 열쇠(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 본 고안에 따른 분리사시도.
제2도 본 고안에 따른 배면사시도.
제3도 본 고안에 따른 괴정구사시도.
제4도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통 2 : 괴정구
3 : 열쇠 11 : 뚜껑
12, 12' : 삽입홈 13 : 괴정구삽입구
14 : 열쇠구멍 15 : 열쇠가이드부시
16, 16' : 문고리 개패공 17, 17' : 개패공가이드부시
18, 18' : 개패공출입구 21 : 손잡이
22 : 괴정각봉 23 : 푸싱판
31 : 열쇠손잡이 32 : 삽입통
161, 161' : 돌기 171, 171' : 안내홈
221, 221' : 탄성편 222, 222' : 열쇠걸림돌기
321, 321' : 가이드홈 S : 스프링
본 고안은 고궁이나 사찰등 우리나라 전통가옥에 있어서 대문이나 창고문등 두쪽으로 된 문에 각각 형성된 귀면문고리와 귀면문고리를 각각 채결하여 잠그는 북통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고궁이나 사찰등의 대문은 대문안쪽에서 잠글 수 있도록 대문안쪽에 나무등으로 잠금장치를 하였었다.
즉, 집안의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있었기에 대문 밖에서 문을 잠글 필요성이 없었다.
그러나, 현대에 있어서는 고궁, 사찰 및 전통가옥은 주거용등으로 사용되지 않고, 주로 문화재로 보호되어 관광객들이 찾는 장소가 되었는데, 따라서 고궁, 사찰등의 대문을 출입구로써의 역할보다는 문화재로써 보존되는 건조물로서 그 존재가치가 있다 할 것인데, 보존이 필요한 건축물내에 사람의 출입을 통재할 필요가 있어 대문등을 밖에서 잠글 필요성이 있었다.
이와 같이 대문등을 밖에서 잠그고자 할때 대문의 바깥쪽 양대문짝에 각각 형성된 귀면문고리와 귀면문고리를 상호 묶어 잠궈야 했는데, 그 잠금장치는 전통자물쇠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대문의 전체적인 미관(美觀)을 헤쳐 고궁등이 품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창안되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2개의 문고리가 형성된 문을 잠글때 사용되는 북통자물쇠로서 붙받이자물쇠구조로 된 민속가구용 북통자물쇠와는 그 구성과 기능이 전혀 다른 별개의 것으로 그 구성 및 기능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도인데 북통자물쇠는 몸통체(1)와 괴정구(2), 그리고 북통자물쇠의 열쇠(3)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도는 상기 몸통체(1)의 배면쪽에서 뚜껑(11)이 달린 부분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2도에서 보듯이 몸통체(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몸통체(1)의 배면의 양측 각각에 대칭하여 귀면문고리등 문고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문고리 삽입홈(12, 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두 문고리 삽입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몸통체(1)의 양측면에 괴정구삽입구(13)와 열쇠구멍(14)이 서로 대응하여 일치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열쇠구멍(14)에 일체로 열쇠가이드 부시(15)가 몸통체안에서 괴정구 삽입구(13) 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문고리개패공(16, 16')과 개패공가이드 부시(17, 17')가 일조(一組)로 하여 한쌍이 괴정구삽입구(13)가 형성된 측에 가까운 쪽에 문고리 삽입홈(12, 12')을 형성하는 양측면에 만들어지고 이 측면에 문고리개패공(16, 16')이 문고리 삽입홈(12, 12')속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개패공출입구(18, 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각 문고리 개패공(16, 16') 상부면에 돌기 (161, 161')가 형성되고 개패공가이드 부시(17, 17')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패공(16, 16')에 연결된 돌기(161, 161')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돌기 안내홈(171, 1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161)와 돌기(161')를 연결하는 스프링(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체(1)의 배면에는 경첩에 의하여 몸통내부를 개패하는 은행잎 모양으로 된 뚜껑(11)이 형성되어 있고, 경첩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에 뚜껑의 안쪽에 붙받이 자물쇠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괴정구(2)를 제4도에 사시도로써 표현되어 있는데, 괴정구(2)는 괴정구 손잡이(21)에 연결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괴정각봉(22)이 형성되고 이 괴정각봉(22)의 상측으로 약간 떨어져 평행하게 개패공 푸싱판(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괴정각봉(22)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탄력있는(221, 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편(221, 221')의 일측은 괴정각봉(22)의 단부측쪽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고정되지 않고 벌어진 상태로 있음을 제4도를 통해 볼때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221, 221')이 고정된 부분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는 고정되지 않는 탄성편의 외측면쪽에 각각 열쇠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사시도로 표현된 본 고안에 따르면 북통자물쇠의 열쇠(3)는 열쇠 손잡이(31)와 여기에 연결된 괴정각봉 삽입통(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괴정각봉삽입통(32)은 괴정각봉(22)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괴정각봉 삽입통(32)의 측면에는 자유단부로 뚤려진 상태로 열쇠걸림턱을 안내하여 걸리게 하는 가이드홈(321, 3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를 사용할 때는 2개의 귀면문고리를 몸통체(1)에 형성된 2개의 문고리 삽입홈(12, 12')에 문고리를 삽입한 후, 괴정구(2)를 괴정구삽입구멍(13)에 괴정각봉(22)의 자유단부부터 밀어 넣게 되면 괴정각봉(22)의 상부측에 형성된 개패공 푸싱판(23)도 함께 삽입되어 양 문고리 개패공(16, 16')을 밀어 주게 되는데 양 문고리 개패공(16, 16')은 개패공가이드 부시(17, 17')에 안내되어 양 문고리 삽입홈(12, 12')으로 돌출하게 되어 문고리가 문고리 삽입홈(12, 12')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되고 괴정각봉(22)은 삽입구(13)에 완전히 삽입되어 2개의 탄성편(221)이 삽입구를 빠져 나가게 되고 몸통체(1)의 측면으로 벌어져 이 괴정구(2)가 몸통체(1)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게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문고리를 걸어 잠그게 되는 상태로 된다. (제4도 참조)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를 풀고자(해제) 할 때는 열쇠(3)를 몸통(1)에 형성된 열쇠삽입구(14)에 삽입시키면 열쇠(3)에 형성된 괴정각봉삽입통(32)이 열쇠가이드 부시(15)를 따라 삽입하고 상기 괴정각봉 삽입통(32)은 괴정구(2)의 괴정각봉(22)에 이르게 되어 괴정각봉(22)을 삽입시키며 안내되어 괴정각봉(22)의 양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221)에 이르러 이 탄성편(221)을 괴정각봉(22)의 측면에 밀착시키는데, 이와 같이 탄성편(221)이 괴정각봉(22)의 측면에 밀착되면 괴정구(22)가 몸통체(1)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열쇠(3)를 더욱 밀어주면 열쇠(3)에 있는 괴정각봉 삽입통(32)의 자유단부 양측면에 형성된 양 가이드 홈(321, 321')에 안내되는 탄성편(221, 221')에 형성된 2개의 열쇠 걸림돌기(222, 222')가 상기 가이드 홈(321, 321')의 끝부분에 이르게 되면 열쇠(3)에 가해지는 미는 힘이 상기 열쇠걸림돌기(222, 222')에 전달되어 괴정구(2)를 밀게 되면 이렇게 힘이 전달됨으로써 몸통체(1)로부터 괴정구(2)가 분리되게 되어지는데 이때 괴정각봉(22)의 상측에 형성된 개패공푸싱판(23)도 함께 빠져 나오는데,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몸통체(1)에 형성된 양 문고리 개패공(161, 161')을 문고리 삽입홈(12, 12')으로 밀어 내고 있던 개패공 푸싱판(23)이 후퇴하면 양 문고리 개패공(16, 16')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161)와 돌기(161')를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S)이 탄성회복되면서 양 개패공(61, 16')을 개패공가이드부시(17, 17')에 안내되어 몸통체(1)의 내통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문고리 삽입홈(12, 12')에 삽입수용되어 있던 문고리가 자물쇠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해제상태가 되어 풀리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궁이나 사찰등 전통가옥에 있어서 2쪽 대문을 갖고 있는 대문의 전면(前面)에 각각 하나씩 있는 귀면 문고리를 문고리 삽입홈(12, 12')에 수용하여 대문을 잠글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에 종래와 달리 대문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서 대문 앞쪽에서 문을 잠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상기한 바처럼 대문등에 있는 귀면문고리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북통자물쇠의 크기와 문고리삽입홈(12, 12')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것은 본 고안의 범위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기에 가옥등 건조물에 있어서 쌍미닫이문, 두짝방문, 또는 대청문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방바깥쪽 뿐 아니라, 방안쪽에서도 문을 잠글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북통자물쇠는 상기한 실시 예의 용도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
- 몸통체(1)는 몸통체의 배면에 2개의 문고리 삽입홈(12, 12')이 형성되고 몸통체(1)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괴정구 삽입구(13)와 열쇠구멍(14)이 형성되고 몸통체안에 열쇠구멍에 연속되어 열쇠가이드부시(15)가 형성되며 몸통체 안에 문고리 개패공(16, 16')이 개패공가이드부시(17, 17') 끼워져 상호 스프링으로 연결된 채로 문고리 삽입홈(12, 12')으로 돌출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몸통체(1)와 양측면에 각각 탄성편(221, 221')이 형성되고 탄성편(221, 221')에 열쇠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성의 괴정각봉(22)과 괴정각봉(22) 상측에 형성된 개패공푸싱판(23)과 상기 괴정각봉과 개패공푸싱판을 각각 일측단부에서 함께 일체로써 연결하는 괴정구손잡이(21)로 구성된 괴정구(2), 열쇠손잡이(21)와 자유단부 양측면 열쇠걸림턱을 안내하여 걸리게 하는 가이드홈(321, 321')이 형성된 괴정각봉삽입통(32)으로 구성된 열쇠(3)로 구성된 북통좌물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3780U KR0113062Y1 (ko) | 1995-06-17 | 1995-06-17 | 북통자물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3780U KR0113062Y1 (ko) | 1995-06-17 | 1995-06-17 | 북통자물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2067U KR970002067U (ko) | 1997-01-24 |
KR0113062Y1 true KR0113062Y1 (ko) | 1998-10-01 |
Family
ID=1941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3780U KR0113062Y1 (ko) | 1995-06-17 | 1995-06-17 | 북통자물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1306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3532B1 (ko) * | 2007-03-23 | 2008-04-22 | 김승일 | 민속형 조립식 화장실 |
-
1995
- 1995-06-17 KR KR2019950013780U patent/KR011306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3532B1 (ko) * | 2007-03-23 | 2008-04-22 | 김승일 | 민속형 조립식 화장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2067U (ko) | 199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55648A (en) | Door security apparatus | |
US4576022A (en) | Object securing sleeve for padlock devices | |
CA1271209A (en) | Tilt bolt lock | |
KR0113062Y1 (ko) | 북통자물쇠 | |
GB2180586A (en) | Security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 |
KR100309144B1 (ko) | 창문의 잠금장치 | |
WO2005008006A1 (en) | Portable door lock | |
US4135748A (en) | Portable door lock | |
US3322453A (en) | Door check means | |
KR100696202B1 (ko) |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 |
GB2275494A (en) | Security device for a door | |
DE3867167D1 (de) | Sicherheitsvorrichtung zur sicherung geschlossener jalousien. | |
ES2075518T3 (es) | Cerradura con cerrojo deslizante. | |
WO2002061222A1 (en) | Anti-theft device for articles equipped with at least one arm member, particularly for spectacles | |
KR200248521Y1 (ko) | 창문잠금장치 | |
KR102286550B1 (ko) | 안전용 출입문장치 | |
RU2040686C1 (ru) | Петля мебельная четырехшарнирная | |
US2000191A (en) | Door-stay | |
KR200495089Y1 (ko) | 도어 잠금 장치 | |
JPH0536931Y2 (ko) | ||
KR200228934Y1 (ko) | 캐비닛 도어의 손잡이 | |
JP2003138798A (ja) | キーガイド | |
KR102280038B1 (ko) | 창문용 턴첵 링크 | |
KR200275021Y1 (ko) | 손끼임방지 고정문 | |
KR200257633Y1 (ko) | 석재 납골당의 도어 손잡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110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