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541Y1 - 도어-록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록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541Y1
KR0111541Y1 KR2019950008567U KR19950008567U KR0111541Y1 KR 0111541 Y1 KR0111541 Y1 KR 0111541Y1 KR 2019950008567 U KR2019950008567 U KR 2019950008567U KR 19950008567 U KR19950008567 U KR 19950008567U KR 0111541 Y1 KR0111541 Y1 KR 0111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lever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800U (ko
Inventor
신경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08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541Y1/ko
Publication of KR960034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록 레버(10)의 한쪽 선단에 구멍(16)이 형성되고, 한쪽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선단에 공모양의 돌출구(22)가 형성되어있으며 중간에 지지판(24)이 형성된 보울트 스터드(20)가 상기레버의 구멍(16)에 너트(26)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록 로드(12)의 한쪽 선단에 둥근 홀(28)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구(22)가 록-로드의 홀(28)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록 레버(10)와 상기 록 로드(1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도어-록 연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과 로드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도어-록 연결부위의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A-A면의 절개도.
제4도는 일반적인 도어-록 계통을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종래의 도어-록 연결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록 레버 12 : 록 로드
14 : 핸들 레버 16 : 구멍
20 : 보울트 스터드 22 : 돌출구
24 : 지지판 26 : 너트
28 : 홀 41 : 스트라이커
42 : 도어-록 43 : 아웃사이드 핸들
44 : 인사이드 핸들 45 : 제1록 로드
46 : 도어-록 노브 47 : 제2록 로드
48 : 액츄에이터 49 : 키실린더록
본 고안은 도어 록(DOOR LOC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록의 레버와 록 로드(LOCK ROD)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록(DOOR LOCK)은 주행중의 안전 및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이 열리지 않도록 잠그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자동차의 도어-록 기구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몸체에 부착되는 스트라이커(41)와, 상기 스트라이커(41)와 서로 물려서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록(42), 아웃사이드 핸들(43)과 인사이들 핸들(44)에 연결되어 로크를 개방하는 힘을 전달하는 제1록 로드(45), 핸들에 의한 조작을 못하도록 잠그는 도어-록 노브(46), 도어-록 노브의 힘을 전달하는 제2록 로드(47)로 구성되어 도어가 닫히며, 로크 래치(lock ratchet) 부분이 스트라이커(striker)부분과 접촉되면서 로크 래치부가 회전하여 감기는 상태가 되고, 인사이드 핸들(44)이나 아웃사이드 핸들(43)이 당겨지면 록 로드(45)에 의해 로크가 풀려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록 기구는 도어-록 노브(46)가 아래로 눌려져 있으면 핸들 조작에 의해 문이 열리지 못하게 되며, 도어-록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48) 및 키에 의해 도어-록을 제어하는 키실린더 록(49)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도어-록 기구에서 도어-록의 레버(10)와 록 로드(12)간을 연결시키는 종래의 연결구조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50)을 사용하여 록 로드(12)를 도어-록 레버(10)에 연결하는 바, 이를 위한 연결작업을 살펴보면 클립의 구멍(51)에 록 로드(12)의 구부러진 한 쪽 선단을 삽입한 후 록 로드를 회전시켜 클립의 홈(52)과 록 로드(12)의 몸체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연결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 록의 레버와 록 로드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도어-록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록 레버의 한쪽 선단에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쪽 선단에 공모양의 돌출구가 형성된 보울트 스터드를 상기 구멍에 체결한 후, 록 로드에 상기 돌출구 삽입될 수 있는 둥근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보울트 스터드의 돌출구가 상기 록 로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록 레버와 록 로드를 연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 옅결구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레버(10)의 한 쪽 선단에 구멍(16)이 형성되고, 한 쪽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선단에 공모양의 돌출구 (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 지지판(24)이 형성된 보울트 스터드(20)가 상기 레버의 구멍(16)에 너트(26)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록 로드(12)의 한쪽 선단에 둥근 홀(28)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구(22)가 록-로드의 홀(28)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록의 레버(10)와 상기 록 로드(12)를 유동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 로드에 형성된 둥근홀(28)은 입구가 좁고 내부 공간이 넓어 상기 보울트 스터드의 돌출구(22)가 일단 삽입된 후 빠지지 않게 되어 있으며, 입구보다 큰 돌출구(22)가 상기 홀(28)에 삽입되게 하기 위하여 록 로드를 플라스틱 재질로 만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종래의 록 로드는 강재 혹은 강선으로 만들어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50)에 의해 도어-록의 레버와 결합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록 로드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와 연결되기 위한 부분에 둥근 홀(28)이 형성되어 보울트 스터드(20)에 의해 도어-록 레버(1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보울트 스터드(20)는 도어-록 레버(10)와 결합되기 위해 한쪽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록 로드와 결합되기 위하여 다른쪽 선단에 공모양의 돌출구(22)가 형성되며 보울트 스터드를 레버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울트 스터드를 이용하여 도어-록 레버와 록 로드를 연결하기위해, 먼저 도어-록 레버(10)에 보울트 스터드(20)를 체결한 후 보울트 스터드의 돌출구(22)와 록 로드의 홀(28)을 연결한다.
즉, 도어-록 레버의 구멍(16)에 보우트 스터드의 한쪽 선단을 지지판(24)이 레버(10)에 접촉되도록 삽입시킨 후 너트(26)로 체결하고, 이어서 상기 보울트 스터드의 돌출구(22)에 록 로드의 홀(28)을 밀어 넣어 상기 도어-록 레버(10)와 록 로드(12)를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홀(28)의 구경이 돌출구(22)의 구경보다 약간 크도록 되어 있어 연결 후 유동이 자유롭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보울트 스터드의 돌출구와 홀에 의한 결합으로 도어-록의 레버와 록 로드를 연결하므로 연결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쪽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쪽 선단에 공모양의 돌출구(22)가 형성되며 중간에 지지판(24)이 형성된 보울트 스터드(20)가 도어-록 레버와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돌출구(22)가 록 로드의 홀(28)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록의 레버(10)와 상기 록 로드(12)를 결합시키도록 되어있는 도어-록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로드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연결구조.
KR2019950008567U 1995-04-25 1995-04-25 도어-록 연결구조 KR0111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567U KR0111541Y1 (ko) 1995-04-25 1995-04-25 도어-록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567U KR0111541Y1 (ko) 1995-04-25 1995-04-25 도어-록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00U KR960034800U (ko) 1996-11-21
KR0111541Y1 true KR0111541Y1 (ko) 1998-04-15

Family

ID=1941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567U KR0111541Y1 (ko) 1995-04-25 1995-04-25 도어-록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00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050A (en) Lock device with trigger bolt
JP2739677B2 (ja)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JP305403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とアウターハンドル装置
US5435609A (en) Anti-theft apparatus for vehicle door locks
US62962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latching devices
JPS59141675A (ja) ドア−施錠装置
US4947663A (en) Security device for dead bolt door lock
US20030038485A1 (en) Vehicle closure member latch assembly having hold open mode
KR0111541Y1 (ko) 도어-록 연결구조
US3362426A (en) Lock valve anti-theft device
US20030038484A1 (en) Vehicle closure member latch assembly having actuator stop
EP0887499A3 (de) Schaltschloss für eine Treibstange in einer Tür oder dergleichen
US6332344B1 (en) Deadbolt security chain
DE3873745D1 (de) Elektrisch angesteuertes schloss.
US2637583A (en) Door lock
JPH0742816B2 (ja) 車輌用ドアのロツク装置
JP2002537506A (ja) 施錠用回転動作及び施錠用並進動作が組み合わせられた鍵操作式ラッチ
JP2982004B2 (ja) 開閉弁のケーブルロック装置
JP2563260Y2 (ja) 扉のロック機構
KR950001052Y1 (ko) 전자식 자물쇠의 개폐장치
US3851508A (en) Single and double cylinder deadlocks
IE41937B1 (en) Push bar latch operating devices for doors
JP2589503B2 (ja) ロック装置
KR930002986Y1 (ko) 도어록의 안전장치
JP2982005B2 (ja) 開閉弁のケーブル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