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94B1 -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94B1
KR101021694B1 KR1020080092653A KR20080092653A KR101021694B1 KR 101021694 B1 KR101021694 B1 KR 101021694B1 KR 1020080092653 A KR1020080092653 A KR 1020080092653A KR 20080092653 A KR20080092653 A KR 20080092653A KR 101021694 B1 KR101021694 B1 KR 10102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mobile
mobile robot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3675A (en
Inventor
강원석
김진욱
김영덕
안진웅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9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94B1/en
Publication of KR2010003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5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pecial kind of manipulator, e.g. planar, scara, gantry, cantilever, space, closed chain, passive/active joints and tendon driven manipulators
    • B25J9/162Mobile manipulator, movable base with manipulator arm mounted 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와,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입력받는 상기 이동 로봇 내 시리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92653

휴대 단말, 이동 로봇, 시리얼 통신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within a portable terminal for checking whether a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a serial port,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connected, the first control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information, the serial interface in the mobile robot receiving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and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he movement And a robot controller in the mobile robot to control the robot.

Figure R1020080092653

Mobile terminal, mobile robot, serial communication

Description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로봇 두뇌 역할을 하는 휴대 단말과 사람의 몸체 역할을 하는 이동 로봇의 기계적 장치를 도킹(docking) 형태의 기술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에 융합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을,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mobile device that acts as a robot brain and a mechanical device of a mobile robot that functions as a human body in a docking technology, and serializes a mobile robot using various technologies fus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통신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단말기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와 같은 휴대 단말이 널리 보급되면서 휴대 단말을 이용한 관련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휴대 단말이 단순한 음성통신 기능을 넘어, 무선 인터넷 기술, 디지털 카메라 기술, 음악 재생 기술, 위성/지상파방송기술 등의 다양한 융/복합적 기술과 접목되면서 다양한 서비스 및 콘텐츠가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re widely used, and related technologies using portable terminals are rapidly developing. As mobile terminals move beyond simpl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and integrate with various convergence / composite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digital camera technology, music reproduction technology, and satellite / terrestrial broadcasting technology, various services and contents are mass-produced.

특히, 이러한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이동형 로봇 장치를 제어하는 관련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즉, 휴대폰을 기반으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는 로봇 장치에 대해서 원격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이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인용 로봇의 두뇌에 해당하는 컴퓨팅 부품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로봇의 두뇌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수단을 바탕으로 한 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펫 브레인 시스템 및 방법(이하, 공개특허 10-2007-0101704)"이 일체형 휴대전화 기반 로봇 기술로서 제안되고 있다.In particular, many related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device using such a mobile terminal have been proposed. That is, the technology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function for the robot device in the short or long distance based on the mobile phone, or to attach and deta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puting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brain of the personal robot so that it can be used as the robot's brain. Therefore, a mobile pet brain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101704) for implementing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a mobile means have been proposed as an integrated mobile phone-based robot technology. .

하지만, 공개특허 10-2007-0101704에서는 로봇 펫 이동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에 관해 구체적인 기법이 제시되지 않아, 두 객체 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이나 전원 공급 방법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공개특허 10-2007-0101704에서는 단순히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전화/문자의 수신이나, 음성 수신을 탐지하여 로봇 펫의 이동 제어를 가능하게 할 뿐,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별도의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한 정보를 분석하여 로봇 펫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로봇 펫이 이동하여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는 없었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이동형 로봇 장치 관련 기술에서는 휴대 단말에 융합된 카메라 모듈, 진동 모듈 등의 다양한 센서 모듈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여 로봇 펫에 대한 행동 제어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1704, a specific technique for connecting the robot pet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presented, and thus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r a power supply method between the two objects is not clearly revealed. In 2007-0101704,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bot pet by simply detecting the reception of a phone / text or a voice recep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a separat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robot pet, the robot pet could not mov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perform the required task. That is, in the related art of a mobile robot dev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 modules such as a camera module and a vibration module fus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inking and judging by itself are used to control behavior of the robot pet. There was a difficult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두뇌 역할을 하는 휴대 단말과 사람의 몸체 역할을 하는 이동 로봇의 기계적 장치를 도킹 형태의 기술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에 융합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robot brain and a mechanical device of a mobile robot serving as a human body are implemented in a docking technology, and the mobile robot is controlled using various technologies fused to the portable terminal. Suggest a techniqu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봇 두뇌 역할을 하는 휴대 단말과 사람의 몸체 역할을 하는 이동 로봇의 기계적 장치를 도킹(docking) 형태의 기술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에 융합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을,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mplements the docking (docking) technology of the mobile device that acts as the robot brain and the mobile device that serves as the human body, and converged to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using various techniques.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접목되는 카메라, 센서, 고성능계산능력 등의 다양한 융복합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과 도킹 형태로 연결된 이동 로봇을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by controlling a mobile robot connected in a docking form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using a variety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ameras, sensors, high-performance computing capabilities that ar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etho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와,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입력받는 상기 이동 로봇 내 시리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with a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in the mobile terminal to confirm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mobile robot to the serial por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control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to generate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the movement receiving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And a robot controller in the mobile robot to control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serial interface in the robot and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에서,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에서,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로봇 내 시리얼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in the mobile terminal,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mobile robot to the serial por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he portable Generating,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in the terminal,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and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 the serial interface in the mobile robot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Receiving the input, and in the robot control unit in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두뇌 역할을 하는 휴대 단말과 사람의 몸체 역할을 하는 이동 로봇의 기계적 장치를 도킹(docking) 형태의 기술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에 융합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이동 로봇을,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chanical device of a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robot brain and a mobile robot serving as a human body may be implemented using a docking technology, and the connected mobile robot using various technologies fused to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 접목되는 카메라, 센서, 고성능계산능력 등의 다양한 융복합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과 도킹 형태로 연결된 이동 로봇을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variety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ameras, sensors, high-performance computing capabilities that ar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docking form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various additional services Can be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에서,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과 이동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robot connected through a serial cable in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시리얼 포트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110)과,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이동 로봇(120), 그리고, 휴대 단말(110)의 시리얼 포트와 이동 로봇(120)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시리얼 케이블(130)로 구성될 수 있다.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bas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mobile terminal 110 having a serial port, a mobile robot 120 having a serial interface, and The serial cable 130 may be configured to physically connect the serial port of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serial interface of the mobile robot 120.

휴대 단말(110)에는 음성 통화나 문자/이메일 송수신을 위한 기능 모듈 외에도,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 온도를 측정하거나 적외선을 탐지하는 센서 등의 다양한 융복합 기술이, 단말 센서 모듈로서 휴대 단말(110)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module for voice call or text / email transmission / reception,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various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a camera device for photographing surrounding images and outputting images, and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or detecting infrared rays. It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10 as a module.

또한, 휴대 단말(110)에는 컴퓨터의 CPU 장치와 같이 고성능 계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터 크래들제어SW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마스터 크래들제어SW모듈은 상기 단말 센서 모듈에서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 결과(즉, 제1 제어 정보)를, 휴대 단말(110)과 시리얼 케이블(130)로 접속되는 이동 로봇(120)으로 전송하여 이동 로봇(120)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리얼 케이블(130)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110)과 이동 로봇(120)은 시리얼 통신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10 includes a 'master cradle control SW module' that performs a high-performance calculation processing function like a CPU device of a computer, and the master cradle control SW module inputs an output value from the terminal sensor module.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ie,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robot 12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serial cable 130 so that the mobile robot 120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mobile robot 120 connected via the serial cable 130 may operate as one device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이를 위해, 휴대 단말(110)은 시리얼 포트에, 시리얼 케이블(130)을 통해 이동 로봇(120)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동 로봇(120)과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 는 경우, 휴대 단말(110)은 휴대 단말(110)에 구비되는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12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이동 로봇(120)으로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10 check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20 through the serial cable 130 to the serial port,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20, the mobile terminal 110. ) Generates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120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the mobile robot 120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이동 로봇(120)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이동 로봇(120)에 구비되는 로봇 전원 모듈, 로봇 이동 모듈, 또는 로봇 센서 모듈 등의 각 장치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로봇(120)에는 최소한의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은 휴대 단말(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 제어 정보를 파싱(Parsing) 처리하여 '제어드라이버'를 통해 로봇 전원 모듈, 로봇 이동 모듈, 또는 로봇 센서 모듈 등의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20 includes a robot power module, a robot mobile module, a robot sensor module, or the like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120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a serial interface. Control over the device can be performed easily. The mobile robot 120 includes a 'microprocessor' and a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performing a minimum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and the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is a first contro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10. By parsing information, each device such as a robot power module, a robot moving module, or a robot sensor module can be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driver'.

즉, 휴대 단말(110)은 휴대 단말 사용자에 의한 입력값 또는 단말 센서 모듈에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시리얼 포트에 연결된 시리얼 케이블(130)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 로봇(120)으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전송 함으로써, 이동 로봇(1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이동 로봇(12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이동 로봇(120)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mobile terminal 110 connect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n input value by the portable terminal user or an output value from the terminal sensor module through the serial cable 130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By transmitting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mobile robot 120, the mobile robot 120 may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or the mobile robot 12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n operation.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두뇌 역할을 하는 휴대 단말과 사람의 몸체 역할을 하는 이동 로봇의 기계적 장치를 도킹(docking) 형태의 기술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에 접목되는 카메라, 센서, 고성능계산능력 등의 다양한 융복합 기술 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과 도킹 형태로 연결된 이동 로봇을,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제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serving as a robot brain and a mechanical device of a mobile robot serving as a human body are implemented using a docking technology, and a camera, a sensor, and a high-performance calculation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various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apabilities, a mobile robot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in a docking form can be controlled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ereby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to a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200)은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201), 휴대 단말 내 시리얼 포트(202),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 휴대 단말 내 단말 센서 모듈(204), 이동 로봇 내 시리얼 인터페이스(205),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206), 이동 로봇 내 로봇 전원 모듈(207), 이동 로봇 내 로봇 이동 모듈(208), 이동 로봇 내 로봇 센서 모듈(209) 및 이동 로봇 내 무선 인터페이스(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01 in a portable terminal, a serial port 202 in a portable terminal, a terminal controller 203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My terminal sensor module 204, mobile interface serial interface 205, mobile robot robot control unit 206, mobile robot robot power supply module 207, mobile robot robot moving module 208, mobile robot robo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module 209 and the wireless interface 210 in the mobile robot.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201)는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시리얼 포트(202)에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01 in the portable terminal functions to check whether the mobile port is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202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에서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의 필요성이 발생할 경우, 접속 확인부(201)는 시리얼 포트(202)에,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necessity of serial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occurs to control the mobile robot in the mobile terminal, the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202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You can check it.

휴대 단말이 이동 로봇과 상기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the terminal controller 203 functions to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여기서 단말 센서 모듈(204)은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다양한 융복합 기술과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센서 모듈(204)에는 휴대 단말이 위치한 공간의 일 정 영역을 이미지 데이터로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이나, 휴대 단말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외선 탐지 기능이나 온도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단말 센서 모듈(204)로 휴대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may be associated with various convergence technologie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may include a camera module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a spac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s image data or a vibration module for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FIG. Although not yet, a module that performs an infrared detection function or a temperature sensing function may b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단말 제어부(203)는 컴퓨터의 CPU 장치와 같이 고성능 계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터 크래들제어SW모듈'과 같이 휴대 단말에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에서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aster cradle control SW module" that performs high performance calculation processing functions such as a CPU device of a computer, and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b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Processing that takes an output value as an input may be performed to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예컨대,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이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일 경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203)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식되는 장애물을, 이동 로봇이 피해서 이동하거나, 작업을 동작할 수 있도록, 회전 각도,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 등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is 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related output value of the camera module.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rotate the angle, the moving distance, the moving speed (acceleration), etc. so that the moving robot may move or move the obstacle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generat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module. It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information comprising a.

또한,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이 휴대 단말에 구비된 진동 모듈일 경우, 진동 모듈의 흔들임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203)는 진동 모듈에서 생성되는 휴대 단말의 진동 간격(진동 주기)을 고려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를 '거실, 침실, 화장실, 또는 현위치 등' 어느 곳으로 할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회전 각도,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 등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 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is a vib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shaking-related output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203 determines where the moving robot moves to 'living room, bedroom, bathroom, or current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interval (vibrat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dul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 rotation angle, a movement distance, a movement speed (acceleration), etc. for mov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may be generated.

또 달리,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에서의 출력값 또는 휴대 단말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based on an output value from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or a command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휴대 단말 사용자는 이동 로봇을 이동시킬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과, 해당 위치에 도달한 이동 로봇이 수행할 작업(예컨대, 온도 감지, 화재 발생시 방화/발광/소리발생 등)에 관한 명령을 휴대 단말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설정된 명령 또는 단말 센서 모듈(204)에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와, 이동 로봇이 동작할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nds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is to be moved, and a command regarding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mobile robot that has reached the position (for example, sensing temperature, fire / light emitting / sound when a fire occurs, etc.). The terminal control unit 20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posi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moves and a job to be operat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set command or an output value from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Contro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시리얼 포트(202)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로봇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the connected mobile robot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202, and the mobile robot may receive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여기서 시리얼 포트(202)와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는 각각 휴대 단말과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표준 입출력 연결 단자 인터페이스로서, 휴대 단말은 시리얼 포트(202)에 연결된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 로봇의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로, 데이터 송수신이나 전원 공급을 위한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시리얼 케이블의 데이터 송수신 pin(예컨대, TTA 표준24pin serial cable 경우, 13번, 14번 pin)을 사용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이 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in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 pin에 대한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serial port 202 and the serial interface 205 are standard input / output connection terminal interfa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robot, respectively, and the mobile terminal is a serial interface of the mobile robot connected through a serial cable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202. In step 205, serial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power supply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may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robot us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in of the serial cable (eg, pins 13 and 14 in the case of the TTA standard 24pin serial cable). Herein, the pin inform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icate the content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in.

로봇 제어부(20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입력된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The robot controller 206 functions to control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이동 로봇에는 최소한의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휴대 단말에서 생성한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파싱 처리하는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과,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에서의 제1 제어 정보 파싱 처리 결과에 따라 이동 로봇에 장착된 다양한 장치 모듈들을 실제 제어하기 위한 제어드라이버(디지털신호변환기)가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includes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minimal information processing, a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for receiving and parsing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and pars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a control driver (digital signal converter) for actually controlling various device modules mounted on the mobile robot may be included.

여기서 이동 로봇에 장착된 장치 모듈은 로봇 전원 모듈(207), 로봇 이동 모듈(208), 및 로봇 센서 모듈(209)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로봇 전원 모듈(207)은 이동 로봇을 이동시켜 휴대 단말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이 축적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로봇 이동 모듈(208)에는 이동 로봇을 이동시키는 바퀴, 체인, 또는 보행 등의 이동 장비나 액츄에이터 등의 장비가 포함될 수 있고, 로봇 센서 모듈(209)에는 온도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나, 휴대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The device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robot may include a robot power module 207, a robot moving module 208, and a robot sensor module 209. The robot power module 207 may be a space for storing power required for moving a mobile robot to perform a requested task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the robot moving module 208 may include wheels, chains, or the like for moving the mobile robot. Equipment such as a mobile device or an actuator, such as walking, may be included, and the robot sensor module 209 includes a sens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or various operations for performing a request from a portable terminal. Function modules may be included.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장착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 및 제어드라이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로봇 제어부(20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이동 로봇에 장착된 각 장치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mounted to a mobile robot, a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and a control driver, and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be a first received from a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The contro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to control each device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robot.

예컨대,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 센서 모듈(204) 중 하나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이 진행할 동선을 결정하고, 결정된 동선으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 제어부(206)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식되는 장애물을 이동 로봇이 피해서 이동하거나 작업을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을 회전시킬 회전 각도와,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이동시킬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이동 모듈(208) 등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n image related output value of the 'camera module', which is on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s 204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rmines a moving line for the mobile robot to proceed. And,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for the movement to the determined copper wire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and rotates the mobile robot so that the mobile robot can move or operate an obstacle that is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generat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module. And, to avoid obstacles,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distance to be moved and the moving speed (acceleration) can be identified, and the robot moving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 센서 모듈(204) 중 하나인 '진동 모듈'의 흔들임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력값과 연관된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 제어부(206)는 진동 모듈에서 생성되는 휴대 단말의 진동 간격(진동 주기)을 고려한 위치 이동을 하도록,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예컨대, '거실, 침실, 화장실, 또는 현위치' 등), 회전 각도,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이동 모듈(208)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haking-related output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which is on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s 204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moves the mobile robot associated with the output value. This position can be determined and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for movement to the 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so as to move the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interval (vibrat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dule (for example, 'living room, bedroom, toilet'). , Or the current position '), the rotation angle,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movement speed (acceleration) can be identified, and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가 전원 공급과 관련되는 경우, 이동 로봇 내 로봇 전원 모듈(207)을 시리얼 인터페이스(205)에 연결하고, 시리얼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로봇 전원 모 듈(207)에 축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은 시리얼 케이블의 충전 관련 pin을 사용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related to power supply, the robot controller 206 connects the robot power module 207 in the mobile robot to the serial interface 205, and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may be controlled to be accumulated in the robot power module 207.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supply power to the robot power module 207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using the charging-related pin of the serial cable.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파싱 처리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와, 상기 이동 로봇이 동작할 작업에 관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과 상기 작업의 동작을 위한 로봇 센서 모듈(209)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 제어부(206)는 제1 제어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을 통해 이동 로봇을 이동시킬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식별하여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하여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 도달한 이동 로봇이 예컨대 온도 감지, 화재 발생시 방화/발광/소리발생 등에 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pars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identify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is to move, information about a job to be operated by the mobile robot, and to move to the position.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and the robot sensor module 209 for the operation of the task may be controlled.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206 identifies the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move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and move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to reach the position. For example, it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operations related to temperature sensing and fire / light emission / sound generation when a fire occurs.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이동 로봇과 접속되기 전에, 이동 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a serial cable, the mobile terminal may generate second control information for calling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robo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이동 로봇은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무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정보를 입력 받아 로봇 제어부(206)로 전달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may receive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210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and transmit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bot controller 206.

로봇 제어부(206)는 무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휴대 단말에서 수신된 제2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을 호출한 휴대 단말의 현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210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lling the mobile robot, and to move the robot to the identified position. The movement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휴대 단말의 호출과 함께 수신되는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이 휴대 단말의 위치로 이동 함에 따라, 휴대 단말과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접속되는 경우,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로봇 이동 모듈(208), 로봇 센서 모듈(209), 또는 로봇 전원 모듈(207)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As the mobile robot moves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with the call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serial cable, the robot controller 206 is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the robot sensor module 209, and the robot power module 207, and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via the serial interface 205,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nt to.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과 접속된 휴대 단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이동 로봇과 휴대 단말 간에 시리얼 케이블을 통한 접속이 확인 됨에 연동하여,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로봇 이동 모듈(208), 로봇 센서 모듈(209), 또는 로봇 전원 모듈(207) 등의 다양한 장치 모듈의 종류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is a robot movement module 208 or a robot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o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robot and the mobile terminal being confirmed through a serial cable.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r current status of various device modules such as the module 209 or the robot power supply module 207 can be generated.

예컨대,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포함되는 이동 장비(바퀴, 체인, 보행 등)와 액츄에이터(actuator)의 종류를 포함하여 로봇 이동 모듈(208)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를 포함하여 로봇 센서 모듈(209)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축적된 배터리 용량을 포함하여 로봇 센서 모듈(209)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including a type of a mobile device (wheel, chain, walk, etc.) and an actuator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obot sensor module 209 including the type of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obot sensor module 209 including battery capacity stored in the mobile robot.

로봇 제어부(20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각 장치 모듈의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에 전송 함으로써, 휴 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에서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각 장치 모듈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이동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is provided to the mobile robot by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mobile terminal by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device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to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each device module. 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in response to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robot.

예컨대,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이동 로봇에 축적된 배터리 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축적된 배터리 용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휴대 단말의 전원을 이동 로봇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휴대 단말에서 배터리부를 시리얼 포트(202)에 연결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206)는 로봇 전원 모듈(207)을 시리얼 인터페이스(205)에 연결하고, 상기 시리얼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축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은 시리얼 케이블의 충전 관련 pin을 사용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control unit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check the battery capacity accumulat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state information, and when the accumulated battery capacity is relatively small, the first controller for supplying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mobile robot The contro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s the battery unit to the serial port 202 in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robot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robot controller 206 in the mobile robot is the robot power module 207. ) May be connected to the serial interface 205,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ccumulated in the robot power module 207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supply power to the robot power module 207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using the charging-related pin of the serial ca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3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3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 3,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단계 S310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로부터 이동 로봇이 호출되는지 확인한다.In step S310,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checks whether the mobile robot is called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확인 결과, 휴대 단말로부터 이동 로봇이 호출되는 경우, 단계 S320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이동 로봇을 휴대 단말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mobile robot is call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performs control for moving the mobile robot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step S320.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이동 로봇과 접속되기 전에, 이동 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a serial cable, the mobile terminal may generate second control information for calling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robo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이동 로봇은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무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정보를 입력 받아 로봇 제어부(206)로 전달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may receive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210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and transmit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bot controller 206.

로봇 제어부(206)는 무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휴대 단말에서 수신된 제2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을 호출한 휴대 단말의 현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210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lling the mobile robot, and to move the robot to the identified position. The movement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단계 S330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에서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지 확인한다.In step S330,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check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from the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의 호출과 함께 수신되는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이 휴대 단말의 위치로 이동 함에 따라,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201)는 휴대 단말과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접속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Using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with the call of the mobile terminal, as the mobile robot moves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01 in the mobile terminal can confirm whether the connection is via the serial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e.

상기 확인 결과, 휴대 단말에서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과 접속되는 경우, 단계 S340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단말 센서 모듈(204)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serial port,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generates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in step S340.

여기서 단말 센서 모듈(204)은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다양한 융복합 기술과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센서 모듈(204)에는 휴대 단말이 위치한 공간의 일정 영역을 이미지 데이터로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이나, 휴대 단말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외선 탐지 기능이나 온도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단말 센서 모듈(204)로 휴대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may be associated with various convergence technologie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may include a camera module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a spac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located as image data, or a vibration module for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not shown in FIG. 2. Although not shown, a module that performs an infrared detection function or a temperature sensing function may b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단말 제어부(203)는 컴퓨터의 CPU 장치와 같이 고성능 계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터 크래들제어SW모듈'과 같이 휴대 단말에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에서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aster cradle control SW module" that performs high performance calculation processing functions such as a CPU device of a computer, and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b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Processing that takes an output value as an input may be performed to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예컨대,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이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일 경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203)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식되는 장애물을, 이동 로봇이 피해서 이동하거나, 작업을 동작할 수 있도록, 회전 각도,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 등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is 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related output value of the camera module.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rotate the angle, the moving distance, the moving speed (acceleration), etc. so that the moving robot may move or move the obstacle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generat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module. It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information comprising a.

또한,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이 휴대 단말에 구비된 진동 모듈일 경우, 진동 모듈의 흔들임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203)는 진동 모듈에서 생성되는 휴대 단말의 진동 간격(진동 주기)을 고려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를 '거실, 침실, 화장실, 또는 현위치 등' 어느 곳으로 할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회전 각도,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 등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is a vib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shaking-related output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203 determines where the moving robot moves to 'living room, bedroom, bathroom, or current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interval (vibrat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dul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 rotation angle, a movement distance, a movement speed (acceleration), etc. for mov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may be generated.

또 달리, 단말 제어부(203)는 단말 센서 모듈(204)에서의 출력값 또는 휴대 단말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erminal controller 203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based on an output value from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or a command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휴대 단말 사용자는 이동 로봇을 이동시킬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과, 해당 위치에 도달한 이동 로봇이 수행할 작업(예컨대, 온도 감지, 화재 발생시 방화/발광/소리발생 등)에 관한 명령을 휴대 단말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설정된 명령 또는 단말 센서 모듈(204)에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와, 이동 로봇이 동작할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nds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is to be moved, and a command regarding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mobile robot that has reached the position (for example, sensing temperature, fire / light emitting / sound when a fire occurs, etc.). The terminal control unit 20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posi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moves and a job to be operat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set command or an output value from the terminal sensor module 204. Contro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단계 S350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시리얼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입력 받는다.In step S350,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receives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시리얼 포트(202)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 으며, 상기 이동 로봇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unit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the connected mobile robot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202, and the mobile robot may communicate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he received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여기서 시리얼 포트(202)와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는 각각 휴대 단말과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표준 입출력 연결 단자 인터페이스로서, 휴대 단말은 시리얼 포트(202)에 연결된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 로봇의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로, 데이터 송수신이나 전원 공급을 위한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시리얼 케이블의 데이터 송수신 pin(예컨대, TTA 표준24pin serial cable 경우, 13번, 14번 pin)을 사용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in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 pin에 대한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serial port 202 and the serial interface 205 are standard input / output connection terminal interfa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robot, respectively, and the mobile terminal is a serial interface of the mobile robot connected through a serial cable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202. In step 205, serial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power supply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may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robot us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in of the serial cable (eg, pins 13 and 14 in the case of the TTA standard 24pin serial cable). Herein, the pin inform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icate the content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in.

단계 S360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입력된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In step S360, 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performs control on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이동 로봇에는 최소한의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휴대 단말에서 생성한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파싱 처리하는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과,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에서의 제1 제어 정보 파싱 처리 결과에 따라 이동 로봇에 장착된 다양한 장치 모듈들을 실제 제어하기 위한 제어드라이버(디지털신호변환기)가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includes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minimal information processing, a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for receiving and parsing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and pars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a control driver (digital signal converter) for actually controlling various device modules mounted on the mobile robot may be included.

여기서 이동 로봇에 장착된 장치 모듈은 로봇 전원 모듈(207), 로봇 이동 모듈(208), 및 로봇 센서 모듈(209)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로봇 전원 모듈(207)은 이동 로봇을 이동시켜 휴대 단말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이 축적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로봇 이동 모듈(208)에는 이동 로봇을 이동시키는 바퀴, 체인, 또는 보행 등의 이동 장비나 액츄에이터 등의 장비가 포함될 수 있고, 로봇 센서 모듈(209)에는 온도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나, 휴대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The device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robot may include a robot power module 207, a robot moving module 208, and a robot sensor module 209. The robot power module 207 may be a space for storing power required for moving a mobile robot to perform a requested task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the robot moving module 208 may include wheels, chains, or the like for moving the mobile robot. Equipment such as a mobile device or an actuator, such as walking, may be included, and the robot sensor module 209 includes a sens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or various operations for performing a request from a portable terminal. Function modules may be included.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장착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 및 제어드라이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로봇 제어부(20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이동 로봇에 장착된 각 장치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mounted to a mobile robot, a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and a control driver, and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be a first received from a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The contro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to control each device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robot.

예컨대,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 센서 모듈(204) 중 하나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이 진행할 동선을 결정하고, 결정된 동선으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 제어부(206)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식되는 장애물을 이동 로봇이 피해서 이동하거나 작업을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을 회전시킬 회전 각도와,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이동시킬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이동 모듈(208) 등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n image related output value of the 'camera module', which is on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s 204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rmines a moving line for the mobile robot to proceed. And,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for the movement to the determined copper wire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and rotates the mobile robot so that the mobile robot can move or operate an obstacle that is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generat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module. And, to avoid obstacles,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distance to be moved and the moving speed (acceleration) can be identified, and the robot moving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 센서 모듈(204) 중 하나인 '진동 모듈'의 흔들임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분석 하여, 상기 출력값과 연관된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 제어부(206)는 진동 모듈에서 생성되는 휴대 단말의 진동 간격(진동 주기)을 고려한 위치 이동을 하도록,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예컨대, '거실, 침실, 화장실, 또는 현위치' 등), 회전 각도, 이동 거리, 이동 속도(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이동 모듈(208)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haking-related output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which is on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s 204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moves the mobile robot associated with the output value. This position can be determined and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for movement to the 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206 analyz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so as to move the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interval (vibrat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dule (for example, 'living room, bedroom, toilet'). , Or the current position '), the rotation angle,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movement speed (acceleration) can be identified, and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가 전원 공급과 관련되는 경우, 이동 로봇 내 로봇 전원 모듈(207)을 시리얼 인터페이스(205)에 연결하고, 시리얼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축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은 시리얼 케이블의 충전 관련 pin을 사용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related to power supply, the robot controller 206 connects the robot power module 207 in the mobile robot to the serial interface 205, and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may be controlled to be accumulated in the robot power module 207.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supply power to the robot power module 207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using the charging-related pin of the serial cable.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파싱 처리하여,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와, 상기 이동 로봇이 동작할 작업에 관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208)과 상기 작업의 동작을 위한 로봇 센서 모듈(209)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 제어부(206)는 제1 제어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을 통해 이동 로봇을 이동시킬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식별하여 로봇 이동 모듈(208)을 제어하여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 도달한 이동 로봇이 예컨대 온도 감지, 화재 발생시 방화/발광/소리발생 등에 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parse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identify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is to move, information about a job to be operated by the mobile robot, and to move to the position.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and the robot sensor module 209 for the operation of the task may be controlled. That is, the robot controller 206 identifies the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move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and move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to reach the position. For example, it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operations related to temperature sensing and fire / light emission / sound generation when a fire occurs.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과 접속된 휴대 단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이동 로봇과 휴대 단말 간에 시리얼 케이블을 통한 접속이 확인 됨에 연동하여,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로봇 이동 모듈(208), 로봇 센서 모듈(209), 또는 로봇 전원 모듈(207) 등의 다양한 장치 모듈의 종류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ontrol unit 206 is a robot moving module 208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or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hrough the serial cable between the mobile robot and the mobile terminal is confirmed, Th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r current state of various device modules such as the robot sensor module 209 or the robot power supply module 207 can be generated.

예컨대,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포함되는 이동 장비(바퀴, 체인, 보행 등)와 액츄에이터(actuator)의 종류를 포함하여 로봇 이동 모듈(208)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를 포함하여 로봇 센서 모듈(209)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제어부(206)는 이동 로봇에 축적된 배터리 용량을 포함하여 로봇 센서 모듈(209)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obot movement module 208 including a type of a mobile device (wheel, chain, walk, etc.) and an actuator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obot sensor module 209 including the type of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In addition, the robot controller 206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obot sensor module 209 including battery capacity stored in the mobile robot.

로봇 제어부(20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각 장치 모듈의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에 전송 함으로써,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에서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각 장치 모듈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이동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6 transmits state information of each device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thereby providing the mobile robot in the mobile terminal control unit 203. I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each device module. 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generate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in response to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robot.

예컨대,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이동 로봇에 축적된 배터리 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축적된 배터리 용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휴대 단말의 전원을 이동 로봇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는 휴대 단말에서 배터리부를 시리얼 포트(202)에 연결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206)는 로봇 전원 모듈(207)을 시리얼 인터페이스(205)에 연결하고, 상기 시리얼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축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203)은 시리얼 케이블의 충전 관련 pin을 사용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로봇 전원 모듈(20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control unit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check the battery capacity accumulat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state information, and when the accumulated battery capacity is relatively small, the first controller for supplying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mobile robot The contro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s the battery unit to the serial port 202 in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robot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robot controller 206 in the mobile robot is the robot power module 207. ) May be connected to the serial interface 205,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ccumulated in the robot power module 207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03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supply power to the robot power module 207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205 using the charging-related pin of the serial cabl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은 크래들 타입의 이동 로봇과 휴대 단말을, 휴대 단말의 표준 입출력 단자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표준 24pin, 표준 20pin 등)를 이용하여 도킹(docking)시킬 수 있다.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cks a cradle-type mobile robot and a mobile terminal using a standard input / output terminal serial interface (standard 24pin, standard 20pin, etc.) of the mobile terminal. (docking)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에서는 크래들제어SW모듈에서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이동 로봇으로 전송하고, 이동 로봇에서는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파싱(Parsing)처리하여 이동 로봇에 장착된 바퀴, 체인 또는 보행 등 이동장비 또는 센서 및 액츄에이터 등의 장비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radle control SW module to the mobile robot through a serial cable, and the mobile robot parses the receiv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robot. Control of mobile devices such as wheels, chains or walking, or equipment such as sensors and actuators can be performed.

여기서, 휴대 단말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와 같은 형태의 SW 아키텍처에서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터 크래들제어SW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 master cradle control SW module that performs a server role in a SW architecture such as a server and a client structure.

또한, 이동 로봇에는 최소한의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휴대 단말에서 생성한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파싱하여 처리하는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 상기 슬래이브 크래들제어SW모듈에서 전달 받은 제1 제어 정보를 실제 이동 로봇에 장착된 다양한 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드라이버(디지털신호변환기)가 장착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may also include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minimal information processing, a slave cradle control SW module receiving and parsing and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cradle control SW module. 1 A control driver (digital signal converter) for controlling various modules mounted on the actual mobile robot may be mounted.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과정은,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과 도킹된 이동 로봇과의 시리얼 통신 준비 및 초기화를 수행하고,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 내 마스터 크래들제어SW모듈에서는 휴대 단말에 융/복합되어 있는 기술들, 즉, 카메라 모듈이나 진동 모듈 등의 단말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환경인식, 이동 로봇의 자율주행, 이동 로봇의 위치인식 기술을 수행 함으로써 여기서 발생되는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the mobile terminal prepares and initializes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ocked mobile robot, and then, the master cradle control SW module in the mobile terminal is portable. By using technologies that are fused / composite in the terminal, that is, the terminal sensor module such as a camera module or a vibration module,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of the mobile robot,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mobile robot, and the position recognition of the mobile robot are performed.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휴대 단말은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시리얼 케이블의 데이터 송/수신 pin(예컨대, TTA 표준24pin serial cable 경우, 13번, 14번 pin)을 사용하여 이동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in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 pin에 대한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robot us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in of the serial cable (eg, pins 13 and 14 in the case of the TTA standard 24pin serial cable). Herein, the pin inform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icate the content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in.

이동 로봇 내 크래들제어SW모듈은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파싱하여 이동 로봇에 장착된 로봇 장치들을 규약에 따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radle control SW module in the mobile robot may parse the received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the robot devices mounted on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protocol.

또한, 휴대 단말과 이동 로봇의 도킹(즉, 연결)될 때,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각 장치 모듈의 상태 정보 또한 시리얼 케이블의 데이터 송/수신 pin(예컨대, TTA 표준24pin serial cable 경우, 13번, 14번 pin)을 통해 휴대전화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은 이동 로봇에 어떤 센서와 어떤 엑츄에이터,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로봇은 '휴대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각 장치 모듈의 상태 정보를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이동 로봇이 휴대 단말과 접속될 때 즉시' 각 장치 모듈의 상태 정보를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ocking (i.e.,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robot,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device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is also transmitted / receive pin of the serial cable (for example, in case of TTA standard 24pin serial cable, number 13, Pin 14) can be sent to the mobile phone.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can recognize which sensor, which actuator and mobile device are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The mobile robot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device module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serial cable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or serialize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device module 'immediately when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cable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이동 로봇은 시리얼 케이블의 충전 관련 pin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의 배터리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robot may be supplied with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charging-related pin of the serial cable.

이때, 휴대 단말과 이동 로봇 간의 연결이 분리될 경우, 휴대 단말 및 이동 로봇 양쪽 이동 로봇 제어 모듈의 종료하고 시리얼 통신 연결해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obile robot is disconnected, the mobile robot control module may terminate bot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robot and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disconn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 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에서, 시리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과 이동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robot connected through a serial cable in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200: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201: 접속 확인부201: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02: 시리얼 포트202: serial port

203: 단말 제어부203: terminal control unit

204: 단말 센서 모듈204: terminal sensor module

205: 시리얼 인터페이스205: serial interface

206: 로봇 제어부206: robot control unit

207: 로봇 전원 모듈, 208: 로봇 이동 모듈, 209: 로봇 센서 모듈207: robot power module, 208: robot movement module, 209: robot sensor module

210: 무선 인터페이스210: wireless interface

Claims (15)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이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A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within the portable termi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A terminal control unit within the portable terminal that generates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is made;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입력받는 상기 이동 로봇 내 시리얼 인터페이스; 및A serial interface in the mobile robot that receives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And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he robot control unit in the mobile robot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단말 센서 모듈이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진동 모듈일 경우,When the terminal sensor module is a vib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 unit, 상기 진동 모듈의 흔들임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haking-related output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is analyzed to determine a loca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moves, and the mobil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 robot moving module for moving to the determined location.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로봇이 동작할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operated by the mobile robot at the determined position,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 unit, 상기 작업의 동작을 위한 로봇 센서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robot sensor module for the operation of the jo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Whe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n image related output value of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 unit,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진행할 동선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선으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And analyzing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to determine a moving line to be moved by the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a robot moving module for moving to the determined moving li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전원 공급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경우,Whe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supply,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 unit, 로봇 전원 모듈을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연결된 로봇 전원 모듈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And a robot power module connected to the serial interface and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be accumulated in the connected robot power module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로봇을 호출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이동 로봇 내 무선 인터페이스The wireless interface in the mobile robot that receives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for calling the mobile robot from the portable terminal.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 unit,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ir interface, and to control the robot moving module for moving to the identifi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 제어부는,The robot control unit, 상기 휴대 단말과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로봇 이동 모듈, 로봇 센서 모듈, 또는 로봇 전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고,When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rmed,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robot moving module, a robot sensor module, and a robot power module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is based on the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Transmi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단말 제어부는,The terminal control unit, 상기 이동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이동 로봇을 제 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And a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robot. 휴대 단말 내 접속 확인부에서, 시리얼 포트에, 이동 로봇이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by the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접속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 내 단말 제어부에서,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by the terminal controller in the portable terminal,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is made; 상기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로봇 내 시리얼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the generated first control information at a serial interface in the mobile robot based on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rial port; And 상기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In the robot controller of the mobile robot,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단말 센서 모듈이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진동 모듈일 경우,When the terminal sensor module is a vib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The controlling of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진동 모듈의 흔들임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이동할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Analyzing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haking-related output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determining a position to which the mobile robot moves, and controlling a robot moving module for mov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로봇이 동작할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operated by the mobile robot at the 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The controlling of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작업의 동작을 위한 로봇 센서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Controlling a robot sensor module for operation of the oper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관련 출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Whe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n image related output value of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The controlling of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진행할 동선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선으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Analyzing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determining a moving line to be moved by the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a robot moving module for moving to the determined moving lin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전원 공급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경우,Whe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supply,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The controlling of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로봇 전원 모듈을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연결된 로봇 전원 모듈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단계Connecting a robot power module to the serial interface,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be accumulated in the connected robot power module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은,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상기 이동 로봇 내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이동 로봇을 호출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from the portable terminal, second control information for calling the mobile robot in a wireless interface in the mobile robot.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The controlling of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로봇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단계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ir interface, and controlling the robot movement module for movement to the identified position 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A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은,The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상기 이동 로봇 내 로봇 제어부에서, 상기 휴대 단말과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 로봇에 구비되는 로봇 이동 모듈, 로봇 센서 모듈, 또는 로봇 전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시리얼 통신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In the robot controller of the mobile robot,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rmed, the serial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statu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module of the robot mobile module, the robot sensor module, or the robot power module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Transmit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an interface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단말 센서 모듈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Generat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terminal sensor module, 상기 이동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robo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8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8 to 10 and 12 to 14.
KR1020080092653A 2008-09-22 2008-09-22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KR101021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653A KR101021694B1 (en) 2008-09-22 2008-09-22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653A KR101021694B1 (en) 2008-09-22 2008-09-22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75A KR20100033675A (en) 2010-03-31
KR101021694B1 true KR101021694B1 (en) 2011-03-15

Family

ID=4218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653A KR101021694B1 (en) 2008-09-22 2008-09-22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6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00B1 (en) 2011-06-08 2013-06-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Robot control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using a cognitive archite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3865A (en) 2010-10-27 2012-05-07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interaction servic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30268119A1 (en) * 2011-10-28 2013-10-10 Tovbot Smartphone and internet service enabled robot systems and methods
JP5937869B2 (en) * 2012-03-30 2016-06-22 日本信号株式会社 Train control system
WO2018117394A1 (en) * 2016-12-20 2018-06-28 솔리디어랩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800A (en) 1998-07-28 2000-02-18 Victor Co Of Japan Ltd Network remote control system
JP2002354139A (en) 2001-05-23 2002-12-06 Toshiba Tec Corp Robot control system and robot used for the system
JP2005161470A (en) * 2003-12-03 2005-06-23 Toshiba Tec Corp Robot
KR20070101704A (en) * 2006-04-12 2007-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pet brain system by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800A (en) 1998-07-28 2000-02-18 Victor Co Of Japan Ltd Network remote control system
JP2002354139A (en) 2001-05-23 2002-12-06 Toshiba Tec Corp Robot control system and robot used for the system
JP2005161470A (en) * 2003-12-03 2005-06-23 Toshiba Tec Corp Robot
KR20070101704A (en) * 2006-04-12 2007-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pet brain system by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00B1 (en) 2011-06-08 2013-06-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Robot control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using a cognitive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75A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694B1 (en)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mobile robot control method
US11220003B2 (en) Robot to human feedback
US20180082686A1 (en) Voice acquisition system and voice acquisition method
US20210132614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CN106548231B (en) Mobile control device, mobile robot and method for moving to optimal interaction point
KR20210057611A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included in image data
US20130218395A1 (en) Autonomous mo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0710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package receipt support system
KR20190096307A (e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providing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erera et al. Setting up pepper for autonomous navigation and personalized interaction with users
US202101548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Visually Impaired Individual
WO2022127829A1 (en) Self-moving robot, and path plann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20190095193A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Singh et al. Wi-Fi surveillance bot with real time audio & video streaming through Android mobile
JP2007245317A (en) Robot controller, program, and robot control method
JP2022118200A (en) Mobi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program
WO2018017094A1 (en) Assisted self parking
US20240069550A1 (en) Method for processing abnormality of material pushing robot,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JP6909386B2 (en) Car finder system
KR101919354B1 (en) A Removable smartphone intelligent moving robot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Speech recognition
JP2020042787A (en) Automatic driving support method, driving device, suppor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ran et al. An autonomous mobile robot system based on serverless computing and edge computing
CN109270925B (en) Human-vehicle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00101221A (en)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020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mo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