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86B1 -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86B1
KR950009586B1 KR1019920013275A KR920013275A KR950009586B1 KR 950009586 B1 KR950009586 B1 KR 950009586B1 KR 1019920013275 A KR1019920013275 A KR 1019920013275A KR 920013275 A KR920013275 A KR 920013275A KR 950009586 B1 KR950009586 B1 KR 95000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recording
recorded
tim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712A (ko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586B1/ko
Priority to JP5025777A priority patent/JP2694100B2/ja
Publication of KR93000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12A/ko
Priority to DE4323579A priority patent/DE4323579A1/de
Priority to GB9315455A priority patent/GB2269045B/en
Priority to US08/395,193 priority patent/US63632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9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24Duty cycle modulation of control pulses, e.g. VHS-CTL-coding systems, RAPID-time code, VASS- or VISS-cu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편집장치의 블럭도이다.
제2a도∼제2d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편집장치내의 화상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예이다.
제3도는 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시간정보에 대한 코드화의 예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편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자동편집방법내의 녹화정보입력기능에 대한흐름도이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자동편집방법내의 녹화모드 ON 기능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자동편집방법내의 편집모드 ON 기능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편집을 원하는 프로그램선택단계의 서브루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시스템제어부
30 : 메모리 40 : 재생용 데크
50 : 기록용 데크 60 : 더빙부
70 : 스피커 80 : 배경색생성부
90 : 자막정보발생부 100 : 혼합기
110 : 화상표시부.
본 발명은 영상 및 음향정보 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랜덤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중 동종 또는 동일 시간내의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복사할 수 있는 자동 편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재생장치는 영상 및 음향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계와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및 음향정보를 재생하는 재생계로 이뤄진다. 영상 및 음형정보 복사시스템은 이러한 기록재생 장치를 그대로(재생용 데크와 기록용 데크) 구비하고 서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1대의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된 정보를 다른 1대의 기록 재생장치에 복사(또는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술한 2대의 기록재생장치를 1유니트로 구성한 것을 더블데크기록재생장치라고 한다.
또한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매체(예를 들어 비디오테이프)는 비디오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트팩과, 오디오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트랙과 재생계의 주행속도나 위상제어 및 기타 구동제어를 위한 기준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콘트롤트랙으로 이뤄진다. 특히 콘트롤트랙은 예를 들어 N, S 자극으로 기록되는 "0"과 "1"의 2진정보가 비디오트랙 2개당 1비트, 즉 1프레임당 1비트가 기록되며,"0"과 "1"을 소정의 듀티비에 의해 규칙적으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최근들어 기록재생강치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이러한 콘트롤트랙의 듀티비를 변형시켜 다수의 프로그램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에서 원하는 프로글매을 고속서치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VISS는 이러한 기능의 일종이다. VISS는 비디오인덱스서치시스템(Video Index Search System)의 약칭으로서, 기록매체상의 임의 지점에 소정 방식에 의해 인덱스정보를 기입한 뒤, 원하는 프로그램 재생시 VISS제어키를 조작하여 해당 인덱스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되면 기록재생장치는 PLAY 모드(편집시에는 편집모드) 대기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VISS정보는 하나의 기록매체상에 랜덤하게 기록된 다수의 프로그램들에 대해 각각의 최초 재생지점을 검출할 수 있기는 하나, 하나의 기록매체상애 다른 프로그램을 사이에 두고 기록된 복수의 동종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복사하기 위해서는 매번 비스서치제어로 프로그램의 최초재생지점을 검출하고, PLAY모드를 통해 복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인지를 확인한 후 편집제어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매일 같은 시간대에 주기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영어회화 교육방송을 예약녹화모드제어로 일주일분을 녹화할 때 중간에 매뉴얼 녹화로 다른 프로그램을 녹화하거나 또 다른 시간대의 주기적으로 시청할수 있는 프로그램이 예약녹화되도록 제어하게 되면 동일한 기록매체상에 랜덤하게 프로그램이 기록되게 된다. 이렇게 기록된 기록매체를 통해 상기 일주일분의 영어회화 교육방송만을 연속해서 재생하기란 어려운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상애 기록되는 정보를 상기와 같이 랜덤하게이루어지지 않도록 매번 테이프를 교체하든지 아니면 복사기능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기록된 프로그램중 영어회화 교육방송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만을 검출하여 다른 기록매체에 모으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자는 매번 프로그램 녹화때마다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후자는 복사방법이 상술한 재생시와 같이 서치제어 및 PLAY 모드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및 음향정보복사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 녹화시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해 녹화시간을 코드화하여 기록되는 영상 및 음향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상애 기록함으로써, 랜덤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중 동일 시간대 또는 동종의 프로그램을 손쉽게 검출 및 복사할 수 있도록 편집하기 위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메체에 기록된 영상 및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계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영상 및 음향신호와 상기 재생계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계를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한 영상 및 음향정보 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중 동종과 동시간대의 프로그랭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편집하기 위한 자동편집방법은 ; 녹화시 상기 영상신호와 음향신호와 함께 기록된 상기 영상신호와 음향신호에 해당하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선택과정 ;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프로그랭중 상기 프로그램 선택과정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시간정보가 기록된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과정 ; 상기 검색과정에 의해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로 부터 검색된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계의 기록매체상에 복사되도록 제어하는 복사제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및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용 데크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영상 및 음향신호와 상기 재생용 데크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중 어느 하나를 기록하는 기록용 데크, 재생용 데크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를 상기 기록용 데크로 전달하기 위한 더빙부를 구비한 영상 및 음향정보 복사시스템의 자동편집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재생계의 기록메체에 기록되는 상기 영상 및 음향신호에 해당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상기 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표시부 ; 상기 화상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을 원하는 동종과 동일 시간대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제어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키입력부 ;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명령 및 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재생용 데크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매체에서 재생되는 신호에서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복사하도록 상기 기록용 데크 및 재생용 데크와 더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l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편집장치의 블럭도로서, 영상 및 음향정보 복사시스템의 일예인 더블데크 기록재생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제1도의 구성은, 사용자의 제어명령 및 정보를 출력하는 키입력부(10)와, 키입력부(10)의 출력단에 일측 입력단을 접속하여 시스템의 전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20)과, 시스템 제어부(20)의 일측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하여 자막정보를 출력하는 자막정보 발생부(90)와, 시스템 제어부(20)의 다른 일측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하여 자막정보의 배경색을 생성하는 배경색 생성부(80)와, 자막정보 발생부(90) 및 배경색 생성부(80)의 각각의 출력단에 각각의 입력단을 접속한 혼합기(100)와, 시스템 제어부(20)의 일측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하고, 출력단은 시스템 제어부(20)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한 메모리(30)와, 시스템 제어부(20)와 서로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접속된 재생용 데크(40)와 시스템 제어부(20)와 서로 신호를 입출력할수 있도록 접속된 기록용 데크(50)와 재생용 데크(40)의 출력단에 일측 입력단을 접속하고 일측 출력단은기록용 데크(50)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다른 일측 입력단은 시스템 제어부(20)의 일측 출력단에 접속한 더빙부(60)와, 더빙부(6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와 혼합기(10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화상표시부(110)와, 더빙부(6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스피커(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화상표시부(110)는 시스템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되는 혼합기(100)와 더빙부(60)의 출력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 상태가 제어된다.
제2a도∼제2d도는 제1도의 화상표시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로서, (a)는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콘트롤(REMOCON, 이하 리모콘이라함)상의 제어키를 나타낸 것이고, (b)는 (a)도의 리모콘상의 편집 ON키를 제어할 경우 화상표시부(11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고, (c)는 (a)도의 리모콘상의 키(▲,▼)를 이용하여 (B)도의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하여 예약녹화 편집모드에 놓은 뒤 (a)도의 엔터키를 제어하면 화상표시부(11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예약 녹화된 프로그램(PRO로 표시됨)에 대하여 편집하고자 할때 편집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편집모드화면이고,(d)는 (c)도와 같은 조작에 의한 매뉴열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편집모드화면이다. 여기서 리모콘은 제1도의 키입력부(10)에 포함된다.
제2c도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1∼n번까지 넘버링되어 세서(―·―)으로 박스처리된 부분은 메모리(30)에서 독출된 것으로, 예약녹화된 PRO에 대한 시간정보들이고, link와 SS(Start Search)는 편집제어시 선택사항으로, link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중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갖는 프로그램으로 연속성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편집순서를 정할 수 있는 명령으로서, 최대 m개의 프로그램에 대해 복사순서를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세선내의 시간정보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①, ②, ③로 넘버링되면, ①, ②, ③항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번호순으로 재생시켜 기록용 데크(50)의 기록매체에 복사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SS는 1∼n개의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예약녹화시 최초 날짜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서치하고자 할 때 제어되는 명령이다.
제3도는 녹화하고자 하는 PRO의 시간정보에 대한 코드(고유코드)의 예로서, 녹화시에는 어드레스존재 표시비트부터 최고 PRO 표시비트까지 총 16비트가 설정되어 기록매체상의 콘트롤트랙에 기록되고, 나머지 3비트인 1ink 코드 비트는 편집제어시 설정된다. 어드레스존재 표시비트는 VISS정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고속 서치시 콘느롤트랙상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 비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비트이다. 일반/Daily/Weekly비트하는 현재 녹화하고자 하는 PRO가 일반 녹화 PRO인지, 매일 녹화해야 하는 PRO인지, 주단위로 녹화해야 하는 PRO인지를 표시하는 비트로, 일반 녹화의 경우는 매뉴얼 녹화제어인 경우이고 매일 녹화나 주단위 녹화의 경우는 예약녹화제어인 경우이다. 요일비트는 녹화하고자 하는 PRO가 해당되는 요일을 표현하기 위한 비트이다. AM/PM비트는 녹화하고자 하는 PRO가 오전에 녹화되는 것인지, 오후에 녹화되는 것인지를 표현하기 위한 비트이다. 시간비트는 1∼12기간에서 해당되는 시간을 표현하기 위한 비트이다. 분비트는 0∼60분에서 해당되는 분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5분간격으로 코딩된다. 최초 PRO표시비트는 예약 녹화의 경우에 사용되는 비트로 최초 날짜에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되는 비트이다. 링크(Link)코드 비트는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편집순서를 정하기 위한 비트이다.
이와 같은 각 비트들은 예약 녹화의 경우에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명령에 따라 2진정보의 형태로 코딩되어 해당되는 PRO와 하게 기록매체상의 콘트롤트랙에 기록되고 매뉴얼 녹화의 경우에는 녹화모드가 제어되는 시점의 시스템내의 타이머(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상술한 예약 녹화시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기록영역은 녹화 PRO의 시작점부터 소정 구간내에서 기록된다. 콘트롤트랙에 기록되는 비트의 형태는 예약녹화나 매뉴얼 녹화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단 최초 PRO표시 비트의 경우는 예약녹화시에만 적용된다. 정전시에 예약녹화시간이 된 경우 정전이 해제된 뒤에도 예약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진행중인 경우에는 예약녹화시작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가 콘트롤트랙에 기록되면서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신호도 함께 기록매체의 해당 트랙에 기록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편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제200∼600단계는 기능모드선택과정이고, 제700단계는 예약녹화시 녹화정보 입력기능 수행과정이고, 제800단계는 녹화모드 수행과정이고, 제900단계는 편집모드 수행과정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자동편집방법내의 녹화정보 입력기능에 대한 흐름도로서, 제701단계는 키입력부(10)를 통해 녹화를 위한 모든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고, 제702단계는 인가된 정보를 코딩화하는 단계이고, 제703단계는 코딩된 정보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 단계이고, 제704단계는 예약 녹화할 PRO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자동편집방법내의 녹화모드 ON기능에 대한 흐름도로서, 제801∼804단계는 매뉴얼 녹화시 제어과정이고, 제805∼811단계는 예약 녹화시 제어과정이다.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자동편집방법내의 편집모의 ON기능에 대한 흐름도로서, 제901∼904단계는 예약녹화된 PRO에 대한 편집조건설정과정이고, 제928,929단계는 매뉴얼 녹화된 PRO에 대한 편집정보 입력 과정이고, 제905∼927단계는 프로그램 검색 (또는 서치) 과정 및 편집작동 수행과정이다.
제8도는 제7도의 편집을 원하는 PRO선택단계(제903단계)의 서브루틴으로서, 제9031단계는 편집형태 판단과정이고, 제9032단계는 단일 PRO선택과정이고, 제9033∼9035단계는 복수 PRO선택과정이다.
제1도의 작동을 제2도 및 제4, 5, 6, 7, 8도의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키입력부(10)를 통해 기능키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제4도의 제200단계) 시스템제어부(20)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전기능을 제어한다.
키입력부(10)에서 시스템제어부(20)로 인가된 제어신호가 녹화정보 입력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면, 시스템 제어부(20)는 예약녹화를 위한 녹화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키입력부(10)를 통해 인가되는 녹화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예약녹화에 필요한 시간정보(제3도에 도시된 코드화 대상정보)를 시스템 제어부(20)로 인가한다(제5도의 제701단계). 시스템 제어부(20)는 인가된 시간정보에 대하여 코딩한다(제702단계). 코딩은 입력된 시간정보에 대하여 제3도와 같이 분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도와 같이 분류된 비트들의 형태를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어드레스존재 표시비트는 본 표시비트에서는 1비트로 표현하였으므로 코딩정보는 "1"과 "0"으로서, 기록된 PRO에 대한 시간정보를 기록하게 될 경우에는 "1"로서 코딩되고, 기록하지 않을 경우에는 "0"으로 코딩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에서는 시간정보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경우이므로 일반적으로 이 비트는 "1"상태가 된다. 특히 어드레스존재 표시비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스정보와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에 편의상 1비트로 표현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비스정보와 유사한 비트수로 표현된다.
일반/Dally/Weekly 비트는 2비트로 표현하였고, 마찬가지로 2진정보로 코딩된다. 즉 예를들어 키입력부(10)를 통해 일반이 선택되면 "0"이고, Daily가 선택되면 "1", Weekly가 선택되면 "10"로 코딩된다. 요일비트는 7밀이므로 3비트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일요일을 "0"비트로 코딩하면, 토요일은 "110"으로 코딩되며, 요일이 필요없을 때는 "111"로 코딩된다. AM/PM비트는 표현비트가 1비트로 표현되므로 키입력부(10)를 통해 AM이 선택되면 "0"비트로 코딩되고, PM이 선택되면 "1"비트로 코딩된다. 시간비트는 1∼12시간이므로 4비트로 표현되는데, 코딩정보는 0001∼1100로 설정된다. 분비트도 4비트로 표현되고 0∼60분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5분간격으로 나뉘어 코딩된다. 즉 5분인 경우에는 "000l"로 코딩되고, 60분인 경우에는 "1100"로 코딩된다. 최초 PRO 표시는 녹화정보 코딩시에는 비어있다(Blanking상태)가 실질적으로 녹화가 이루어질 때 최초로 기록되는 PRO인가를 판단하여 비트형태를 결정하여 기록된다. 본실시예에서는 1비트로 표현하므로 최초 날짜에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서는 기록매체상에 "1"로서 기록되도록 하고 최초 날짜에 녹화되는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기록되도록 조건이 설정된다. 링크(link)코드는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n개의 비주기적으로 녹화된 프로그램중 m개에 한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편집순서를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link코드를 3비트로 표현할 경우에, 최대 6번째 PRO까지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코드를 설정할 필요가 없을 때 "0"으로 설정하면, 1번째 PRO으로 편집되기를 원하는 PRO에 대하여 "1"비트를 설정하고, 6번째 PRO로 편집되기를 원하는 PRO에 대하여는 "110"비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예를 보인 각각의 시간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비트수는 입력되는 시간정보의 조건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3도와 같은 기준에 위하여 입력된예약 녹화 PRO에 대하여 시간정보에 대한 코딩화의 예를 들면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10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일 경우, 어드레스존재 표시비트는 "1"데이터가 설정되고, 일반/Daily/Weekly 비트는"10"데이터로 설정되며, 요일은 "10"데이터로 설정되고, AM/PM은 "1"데이터로, 시간은 "111"로, 분은 "1010"로 설정된다. 그리고 최초 PRO표시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랭킹상태로 하여 입력된 녹화시간 정보에 대한 코딩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예의 PRO에 대한 코딩정보는 "110010101100001X"이 된다. 여기서 X는 블랭킹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시간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16비트를 이용하여 코딩화가 이루어지면, 시스템 제어부(20)는 메모리(30)에 상기 코딩화된 시간정보를 소정 영역에 기억시킨다(제703단계). 다음에 다른 예약녹화를 원하는 PRO에 대한 시간정보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고, 다른 예약 녹화 PRO가 존재할 경우에는 제5도의 제701∼703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에 예약 녹화할 PRO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키입력부(10)를 통해 인가된 제어신호(또는 명령)가 녹화모드 ON기능일 때(제4도의 제400단계)에는, 현재 녹화모드제어가 매뉴얼녹화인지 예약녹화인지를 체킹한다(제6도의 제801단계). 체킹방법은 매뉴얼 녹화제어의 경우 키입력부(10)를 통해 REC기능키를 이용하여 녹화모드상태를 제어하므로 REC기능키 제어에 의하여 녹화모드가 ON상태가 된 경우에는 매뉴열 녹화로 판단하고, 그 외에는 예약녹화모드로 판단한다. 이는 예약녹화모드의 경우에는 시스템의 메인전원이 OFF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녹화대기상태라고 볼수 있기 때문이다.
매뉴얼 녹화의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는 REC 모드를 제어한 시점의 타이머 출력을 녹화될 PRO에 대한 시간정보로 제3도와 같이 코드화한다(저1802단계). 이 때 타이머 출력은 시스템에 장착된 디지트론(Digitron, 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다음 튜너(도면에 예시되지 않음) 또는 외부신호 입력수단(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을 통해 인가되는 PRO와 상기 코딩된 시간정보를 각각의 해당 트랙에 기록한다(제1803단계). 이 대 해당트랙은 기록매체상에 기록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트랙을 말한다. 이와 같은 기록작동은 키입력부(10)를 통해 STOP제어신호 또는 녹화종료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계속 수행된다. 여기서 녹화종료신호는 기록되는 PRO 신호에서 발생될 수도 있고, 기록매체의 엔드센싱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제6도의 제801단계에서 매뉴얼 녹화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9)는 시스템의 기능을 예약 녹화모드로 설정한다(저1805단계). 그리고 현재 시간으로 상술한 매뉴얼 녹화시 시간정보가되는 타이머 출력을 체크하고(제806단계), 체크된 시간과 메모리(30)에 저장된 예약 녹화 PRO의 시간정보중에 현재의 시간과 일치되는 것이 있는지를 체크한다(저1807단계). 현재 시간과 메모리(30)에 저장된 시간정보가 일치되지 않을 때에는 반복적으로 체크되는 현재 시간과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정보와를 비교한다. 그러나 일치할 경우에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일치된 시간정보를 독출한다(저1808단계).
그리고 현재 녹화될 PRO가 예약 녹화정보 입력을 완료한 후 최초로 녹화되는 PRO인지를 체크한다(제809단계). 최초로 녹화되는 PRO인 경우에는 비어 있는 16번째 비트에 "1"을 첨가하여 16비트신호를 재구성한다(제810단계). 그러나 최초로 녹화되는 PRO가 아닌 경우에는 16번째 비트에 "0"을 첨가하여 16비트신호를 재구성한다(제811단계). 이때 비트결정은 시스템 제어부(20)내의 각 PRO에 할당된 카운터 레지스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제808단계에서 시간정보가 독출될 때마다 시스템제어부(20)내의 소정 카운터 레지스터는 업카운트를 하게 되는데, 이 때 카운트레지스터의 카운트 출력이 1인 경우에만 그대로 출력하고 1이외의 값에서는 0으로 출력하여 최도 PRO표시비트를 설정한다. 16비트 신호의 재구성이 완료되면 매뉴얼 녹화시와 마찬가지로 기록용 테크(50)에 장착된 기록매체상에 기록될 PRO와 함께 기록매체상의 콘트롤트랙상에 기록된다(제803 및 804단계).
이와 같이 녹화된 프로그램이 기록매체상에 비주기적으로 놓여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녹화된 프로그램만을 재생하고자 할 때는 번거로우므로 다른 기록매체에 동종의 프로그램(동밀한 시간대 PRO포함)만을 기록한 후 재생토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제2(a)도의 편집 ON키를 제어하면, 키입력부(10)는 편집모드 ON 기능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제500단계), 이에 따라 시스템제어부(20)는 배경색 생성부(80) 및 자막정보발생부(9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상표시부(110)상에 제2(b)도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화상표시부(110)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커서(▧)를 제2(a)도의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편집모드에 위치시킨 뒤 제2(a)도의 엔터키를 제어하면 시스템제어부(20)는 키입력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위하여 예약 녹화된 PRO에 대한 편집모드가 ON상태가 되었는지, 매뉴얼 녹화된 PRO에 대한 편집모드가 ON상태가 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901단계).
예약 녹화된 PRO에대한 편집모드가 ON상태이면, 시스템제어부(20)는 제2(c)도와 같이 예약 녹화된 PRO에 대한 정보리스트가 화상표시부(110)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제902단계). 여기서 예약 녹화된 PRO에 대한 시간정보는 후술할 자막정보발생부(90)를 통해 자막정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제2(c)와 같은 화면은 화상표시부(110)의 전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부분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자막정보 발생부(90)는 시스템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문자 및 도형을 발생하는 것이며 배경색 생성부(80)는 자막정보의 배경색이 블루나 기타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색을 생성하는 것이고, 혼합기(100)는 배경색 생성부(80)와 자막정보발생기(90)에서 출력된 신호를 혼합하여 화상표시부(110)로 보내주는 것으로 1991년 3월 29일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출원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91-4989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한다(제7도의 제903단계). 선택방법은 복사(편집)할 PRO의 유형에 따라 커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법과, link 명령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법 등을 들수 있다. 복사할 PRO의 유형은 단일 PRO만을 복사하는 것과 복수 PRO를 복사하는것이 있는데,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방법에 의하여 복사할 PRO유형이 결정된다(제9031단계). 여기서 단일 PRO는 하나의 동일 시간대의 PRO만을 복사하는 경우이고 복수 PRO은 여러 시간대로 연속성이 있는 시리즈 형태의 PRO를 함께 복사하는 경우이나 복수의 PRO인 경우 편집의 다양성을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시리즈 형태의 PRO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단일 PRO를 복사 할 경우에는 상술한 선택방법중 커서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되므로 PRO선택시 커서를 이용하면 단일 PRO를 편집하고자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커서의 이동 상태를 체크하여 커서가 설정되면 설정된 라인의 PRO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제9032단계). 즉 화상표시부(110)상에 제2(c)도와 같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때, 단일 PRO를 선택할 경우 제2(a)도의 (▲,▼)키를 이용하여 커서키를 원하는 PRO에 대한 시간정보가 기입된 라인으로 옮긴뒤 엔터키를 누르면 선택된다.
그러나 커서를 이용하지 않으면 복수의 PRO편집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9033단계에서 복수 PRO편집모드가 설정되고, 편집을 원하는 PRO의 선택은 상술한 링크코드방법을 이용한다(제9034단계). 예를 들어 화면상에 나타난 예약 녹화된 정보의 종류가 1∼n일 때, 편집을 원하는 복수의 PRO가 1, 3, 5이고, 이들을 3, 1, 5순으로 편집하고자 할 경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PRO정보에 대한 링크코드는 1번째 PRO정보에 두번째 순서로 복사할 것을 나타내기 위한 링크코드가 설정되고, 3번째 PRO에 첫번째 순서로 복사할 것을 나타내기 위한 링크코드가 설정되며, 5번째 PRO정보에 세번째 순서로 복사할 것을 나타내기 위한 링크코드가 설정된다. 이들은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순번이 표시될 수 있으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대한 실질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시스템 제어부(20)에서는 2진 정보의 형태로 코딩하여 이용한다. 즉 상술한 제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크코드를 3비트로 표현하면 정해진 순서에 대하여 첫번째로 복사대상이 된 PRO에 대한 16비트 정보에 001이라는 3비트의 링크코드가 더 부가되게 된다. 나머지 시간정보에도 마찬가지로 링크코드가 부가되는데 이 링크코드는 시스템제어부(20)내의 소정의 레지스터에 메모리(30)에서 독출된 해당 PRO의 16비트 정보와 서로 매칭시킬 수 있도록 저장되어 편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집을 원하는 PRO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시스템 제어부(20)는 메모리(30)에서 선택된 PRO에 대한 시간정보를 독출한다(제7a도의 904단계). 이 때 단일 PRO가 선택된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는 단순히 메모리(30)에서 독출된 PRO의 시간정보에 대하여 독출한 것으로 그치지만 복수 PRO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코드와 매칭시킨다.
그 다음 최초 PRO를 서치하도록 제어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905단계). 체크결과 서치하도록 제어되었으면 화면상의 SS부분에 1이라는 자막정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서치를 원하지 않을 때에는 0이라는 자막정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SS에 대한 자감정보의 형태는 0과 1외에 다른 형태로 표현될수도 있다.
이와 같이 편집조건이 설정되면, 실절적인 편집작업으로 들어간다. 제905단계에서 SS키가 ON상태이거나 OFF상태이거나 재생용 데크(40)는 시스템제어부(20)에 의하여 서치코드가 설정된다(제906 및 909단계). 그러나 SS키가 ON된 경우에는 서치목표가 우선은 최초 PRO를 검출하기 위한 것(제907단계)이고, SS키가 OFF된 경우에는 편집을 원하는 PRO를 서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재생용 데크(40)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매체가 스타트지점부터 서치가 수행된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서치모드수행중 기록매체상의 콘트롤트랙에서 시간정보가 검출되면 메모리(30)에서 독출된 데이터와 동일한지를 체크한다(제908 및 910단계)동일하지 않으면 계속 다음 시간정보가 검출될 때까지 서치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동일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는 재생용 데크(40)로 스톱모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톱시키고(제911단계), 다시 라와인드 모드로 제어하여 소정구간을 피드백되도록 한다(1912단계). 이 소정구간은 코드화되어 기록된 시간정보의 최초비트가 기록되어 있는 지점까지이다. 이 지점이 검출되면, 재생용 데크(40)는 다시 스톱모드로 제어되고 동시에 재생모드로 제어된다(제913, 914단계). 또한 시스템 제어부(20)는 더빙부(60)로 더빙작동을 O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용 데크(50)로는 기록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제915단계). 따라서 재생용 데크(40)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는 더빙부(60)을 통해 기록용 데크(50)로 인가된다. 더빙부(60)는 재생용 데크(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기록용 데크(50)에 인가함과 동시에 화상표시부(110)로 출력되고 오디오신호 역시 스피커(70)로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복사(편집)작업 진행중에 재생용 데크(40)의 기록매체로 부터 다른 시간정보가 검출되면(제916단계), 기록용 데크(50)로 스톱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더빙부(60)로 더빙작동을 OFF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저l917단계). 그 다음 제915단계에서 복사가 이루어진 시간정보에 링크고드가 존재하였는가를 체크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PRO를 선택한 경우에는 관계없으나 복수 PRO를 선택한 경우에는 복사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링크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검출된 시간정보와 메모리에서 독출된 시간정보를 비교한다(제923단계). 비교결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제911∼918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복사를 한다. 그러나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록용 데크(50)는 스톱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재생용 데크(40)를 서치모드로 설정하여 서치를 수행하도록 한다(제925단계). 서치는 새로운 시간정보가 검출되거나 기록매체의 엔드지점이 검출될 때까지 이루어진다(제926,927단계). 서치에 의하여 새로운 시간정보가 검출되면, 제923∼925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제918단계에서 링크코드가 존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순서적으로 복사하기 위하여 다음 링크코드로 전환한다(제919단계).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중에서 1, 3, 5에 해당되는 신호를 복사하고자 하고 그 복사순서는 3, 1, 5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면 제915단계에서 이루어진 복사는 3번째 시간정보에 해당되는 PRO가 서치되어 복사된 것이다. 이 때 기록매체상에 1번째 PRO가 3번째 PRO보다 앞서 있는 경우에도 우선저으로 3번째 PRO가 복사 대상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가진 것으로서 서로 연속하여 복사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서로 시간정보는 다를 지라도 내용이 시리즈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순서에는 큰무리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제919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링크코드의 전환은 상술한 예에 의하면 1번째 PRO가 된다. 링크코드의 전환으로 전환된 링크코드에 해당되는 PRO의 시간정보를 메모리(30)에서 독출하고(제920단계) 독출된 정보가 처음 편집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제921단계). 처음 편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SS기능을 수행하연 재생용데크(40)를 서치모드로 설정하고 최초 PRO를 검출하여(제906,907단계), 제908, 911∼917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처음 편집하는 것이 아닐 경우에는 제923단계로 가서 재생용 데크(40)로 부터 검출되는 16비트 시간정보가 메모리(30)에서 독출된것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제923단계) 제924∼927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제901단계에서 매뉴얼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편집모드가 설정되면, 매뉴얼 녹화된 프로그램편집모드에 해당되는 화면이 예약녹화시와 마찬가지로 제2(d)도와같이 화상표시부(110)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매뉴얼 녹화시에 대한 편집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2(d)도의 편집모드 화면은 세선으로 박스처리된 부분이 빈상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정보를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시켜야 한다(제929단계).
이와 같이 편집할 PRO에 대하여 시간정보가 입력되고 예약녹화된 PRO에 대한 편집조건 설정시와 같이 링크코드 및 SS코드가 설정되면 상술한 예약 녹화된 PRO에 대한 편집동작과 같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및 음향정보- 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예약녹화 또는 매뉴얼(일반)녹화시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정보를 해당 프로그램의 내용과 함께 기록매체의 콘트롤트랙상에 기록함으로써, 비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륵매체에서 주기적인 프로그램만을 검출하여 편집하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최초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서치가 가능하고 링크코드 설정에 의하여 비주기적으로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리즈형태로 편집할 수 있다.

Claims (9)

  1.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및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계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영상 및 음향신호와 상기 재생계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계를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한 영상 및 음향정보 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중 동종과 동시간대의 프로그랭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편집하기 위한 자동편집 방법은 ; 녹화시 상기 영상신호와 음향신호와 함께 기록된 상기 영상신호와 음향신호에 해당되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선택과정 ;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중 상기 프로그램 선택과정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시간정보가 기록된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과정 ; 상기 검색과정에 의해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로 부터 검색된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계의 기록대체상에 복사되도록 제어하는 복사제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선택과정은 동일한 시간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선택하는 단일 프로그램선택단계와,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갖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복수 프로그램 선택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방법.
  3. 제2항에 었어서, 상기 복수 프로그램선택단계는 프로그램선택시 편집을 원하는 순서를 지정하기 위한 특수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프로그램선택단계는 프로그팸선택시 선택된 프로그램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의 엔드센싱과 복사동작을 중지하는 제어명령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복사동작이 멈출 때까지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복사할 수 이있도록 제어하는 특수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은 상기 프로그램이 최초로 기록된 프로그램인지에 대한 최초 프로그램 검색단계와, 상기 복사를 원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정보와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로 부터 출력되는 시간정보가 일치될 때까지 검색하는 검색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제어과정은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편집시 지정된 상기 코드의 순서에 의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한 복사완료 후 다음 복사 순서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로 전환하여 복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의 콘트롤트랙상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자동편집방법.
  8.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및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용 데크(40)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영상 및 음향신호와 상기 재생용 데크(40)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중 어느 하나를 기록하는 기록용 데크(50), 재생용 데크(40)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를 상기 기록용 데크(50)로 전달하기 위한 더빙부(60)를 구비한 영상 및 음향정보 복사시스템의 자동편집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재생계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상기 영상 및 음향신호에 해당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기 이한 메모리(30) ; 상기 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표시부(110) ; 상기 화상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을 원하는 동종과 동일 시간대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제어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키입력부(10) ; 상기 키입력부(10)를 통해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명령 및 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재생용 데크(40)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매체에서 재생되는 신호에서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복사하도록 상기 기록용 데크(50) 및 재생용 데크(40)와 더빙부(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부(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10)는 상기 재생용 데크(40)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서로 다른 시간대를 갖는 동종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재생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특수코드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20)로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편집장치.
KR1019920013275A 1991-09-28 1992-07-24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KR95000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275A KR950009586B1 (ko) 1991-09-28 1992-07-24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JP5025777A JP2694100B2 (ja) 1992-07-24 1993-02-15 ビデオテープ複写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編集方法及び装置
DE4323579A DE4323579A1 (de) 1992-07-24 1993-07-1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Editieren von Programmen in Videoband-Kopiersystemen
GB9315455A GB2269045B (en) 1992-07-24 1993-07-26 Video program editing
US08/395,193 US6363205B1 (en) 1992-07-24 1995-02-27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diting programs in video tape cop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1-17012 1991-09-28
JP91-17012 1991-09-28
KR1019920013275A KR950009586B1 (ko) 1991-09-28 1992-07-24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712A KR930006712A (ko) 1993-04-21
KR950009586B1 true KR950009586B1 (ko) 1995-08-24

Family

ID=1933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275A KR950009586B1 (ko) 1991-09-28 1992-07-24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3205B1 (ko)
JP (1) JP2694100B2 (ko)
KR (1) KR950009586B1 (ko)
DE (1) DE4323579A1 (ko)
GB (1) GB2269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31B1 (ko) * 1995-07-19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기록재생기의녹화영상편집방법
JP2004062921A (ja) * 2002-07-25 2004-02-26 Orion Denki Kk 記録再生装置
JP3891147B2 (ja) * 2003-05-30 2007-03-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編集装置、動画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981A (en) * 1983-04-08 1986-02-04 Ampex Corporation Font reca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4774600A (en) * 1985-05-06 1988-09-27 Eastman Kodak Company Video tape editing technique
GB2187028B (en) * 1986-02-24 1989-11-08 Sony Corp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imecode data in a recorded digital video signal
US4858033A (en) * 1987-03-18 1989-08-15 Chippendale Arthur J Apparatus for pacing, queing and equipment control in audiovisual work
JPS6410482A (en) * 1987-07-03 1989-01-13 Hashimoto Corp Control system for vtr by computer
US5056070A (en) * 1988-06-06 1991-10-08 Sony Corporation Timer programming apparatus
JPH01181188U (ko) * 1988-06-09 1989-12-27
US5018027A (en) * 1989-05-10 1991-05-21 Gse, Inc. Method of and mean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edit a video tape
JPH03214091A (ja) * 1990-01-18 1991-09-19 Sony Corp タイマ予約記録装置
DE69225346T2 (de) * 1991-02-07 1998-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und Reproduktion von einem digitalen Signal
KR930012193B1 (ko) * 1991-07-08 1993-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Vtr의 블럭별 프로그램 예약 녹화방법
US5515173A (en) * 1993-03-05 1996-05-07 Gemstar Develope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television programs in television systems with tuners external to video rec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315455D0 (en) 1993-09-08
JPH06111542A (ja) 1994-04-22
KR930006712A (ko) 1993-04-21
US6363205B1 (en) 2002-03-26
GB2269045A (en) 1994-01-26
JP2694100B2 (ja) 1997-12-24
GB2269045B (en) 1996-01-31
DE4323579A1 (de) 199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1427B1 (en) Video recorder with indexing and programming of multiple recording media
US4989104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quickly retrieving video signal parts on a magnetic tape
EP0223423B1 (en)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s
US5546191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7780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JPH0799611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GB2252194A (en) Automatic copying in video recorder apparatus
KR19990028834A (ko) 비디오 재생 자동화 장치
JPH04506276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950009586B1 (ko)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JP309693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3685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KR100657238B1 (ko) A/v컨텐트에 대한 검색을 위한 장면 전환점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이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이 정보를 이용한 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
KR0143438B1 (ko) 지 코드를 이용한 고속탐색 시스템
KR0165300B1 (ko) 자기기록매체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KR0130373B1 (ko)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JP2004007725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6108751A (ja) 録画再生装置
JP3258967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
JP2004005996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2002158954A (ja) 記録再生装置
JPH06168545A (ja) 記録再生装置
KR20000043169A (ko) 더미데이터 구간에 기록된 부가서비스데이터와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950006810A (ko) 영상기록 재생기의 녹화 정보 출력장치 및 그 방법
KR970023278A (ko) 장시간녹화시 비디오테이프의 편집녹화제어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